대한민국육군 , 중국산, 오토바이크 구입
대한민국육군 , 중국산, 오토바이크 구입
  • 한국시민기자협회
  • 승인 2012.02.05 2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중국산, 오토바이크 구입. 2012-02-03 20:16:58

작성인 xingkey 보고싶은남자 조회:5208 추천:1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429948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4299651

 


이번에 배치하는 산악용 오토바이크는 중국의 "CFMOTO"가 제작한 배기량 594㏄ 4륜 ATV를 개조한 것으로 최대 탑승인원 2명, 250㎏를 적재할 수 있다.

폭이 1.32m에 불과해 좁은 도로에서 운행이 가능하고, 37도에 이르는 경사도 오를 수 있어 산악지형에 안성맞춤이다. 평지에서 최고 80㎞(산악지형 25㎞)의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다. 대당 가격은 약 1500만원이다. http://www.ajs-rad-rides.com/CFMOTOATV.html

이 버젼 중 롱버젼 MSRP: $ 6799.00 입니다.

그러면, 가격이 760만원 정도죠.

물론, 개조 비용도 있고, 수리용 부품도 구입했겠지만, 가격이 좀 비싼 감이 있군요.

흠, 저만 비싸게 느껴지나요.

추가합니다!

육군이 구입한 것은 Z6 모델로써, 스타일러님이 지적하신 것과 같이 11000달러 근처입니다.

즉 1200만원~1300만원입니다.

가격 자체로는 합당한 가격입니다.


--------------------

여기서 질문!

그런데, 제가 밀리터리 초보라 그런데요. 프라이드 해치백이 1100만원 정도하거든요.(세금 제외시)

그냥, 프라이드 보급해주면 안될까요?

전방 DMZ가 겨울철에 춥거든요.

프라이드로 보급해주면, 창문도 있고, 히터도 있고, 짱박혀서 잠도 잘 수 있을 것 같은데 ㅜㅜ 안될까요?

프라이드도 1.720m 이고(오토바이크는 폭이 1.32m), 37도 경사 올라갈 수 있거든요.
대신 최고속도는, 190km 이거든요.(오토바이크는 80km)
진짜. 40센티미터가 꼭 폭이 좁아야할 이유가 없다면, 그냥 프라이드 좀...

뒷자석 들어내고, 짐 싣도록 하면, 오토바이크보다야 훨씬 많이 싣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참고로, 오토바이크는 현행법상 도로에서 운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레져용 장비로 구분되어지는 것으로, 아님말구요)

그래서, 군부대도, 기존 도로에서는 위 오토바이크를 운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하더군요.

-----------------------

위의 질문은 반농담이였으니까요.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마시고.

http://blog.naver.com/youngedison?Redirect=Log&logNo=90038712494

위 블로그에 가시면, 미군 4륜 오토바이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미국의 디자인이 우월해보이는군요. ㅜㅜ

디자인적으로는 미군의 것에 비해서, 활용 공간이 부족하고, (미군은 앞 뒤로 평평하게 만들었고, 뒤는 미니 트럭처럼, 짐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타이어도 하나 싣고 다닐 수 있고, 뒤에 짐싣는 것을 하나더 연결해서 끌수도 있도록 만들었죠.

거기다가 결정적인 것은 엔진의 위치입니다.

중국산 육군 오토바이크는 엔진이 앞에 위치함에 비해서, 미군용은 가운데 아래부분에 위치하는 것 같군요.

어떠한 디자인 철학이 있을텐데.... 왜 그랬을까요?

-----------------------

중국산 수입품은, 국산으로 미국 제품 참고해서 만들면 좋겠습니다.

민수용으로도 팔면, 팔릴 것 같은데(특히 농업용), 이참에 국산으로 저는 미군용 검은색 윗사진이 맘에 듭니다.

야포도 끌 수 있음, 좋겠는데, 욕심일까요?



-------------------------------------------------------------------------------------------------------------------------------
메모

보고싶은남자
2012-02-03
20:21:06 개인적으로, 위의 산악용 오토바이크를 장기간 운행할 생각이 있고, 향후 지속적으로 구입할 생각이 있다면,

국산으로 대체하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도 아니고, 저 가격이면, 충분히 만들어주겠는데요.

이참에, 국산 4륜 바이크도 CC 제한 때문에 개발하지 못했던, 것을 개발하면서, 서로 윈윈

보고싶은남자
2012-02-03
20:23:49 참고로 현대자동차에서 만든, "이온" 경차가 760만원 정도합니다. ㅡ.,ㅡ

백두산범
2012-02-03
20:58:00 일반 도로 주행용 차량과 산악용 오토바이를 비교하는것은 좀... 프라이드 해치백이던 뭐든지 간에 산악용은 폭이 좁고 가벼우면서도 기동성이 우수해야 합니다.. 하물며 장시간 사용시 수리비와 야전정비를 생각했을때.. 저정도면 우수하다고 보여집니다... 군 장비는 어디까지나.. 전시에 쓰기위한 물건입니다. 민간인이야 다연히 창문이 있어야 하고 희터가 빵빵하게 나와야 하고 여름엔 에어컨은 필수지만....
그리고 도로법과 상관없이 DMZ 인근 부대들 해당 GP이동과 순찰 등에 사용할 물건입니다...
다시말해 그쪽은 일반 승용차 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4륜구동 차량 아니면 절대로 GP/GDP 이동도로 이용 못할정도의 경사도를 자랑합니다...

백두산범
2012-02-03
20:59:00 그리고 수입품인 만큼 관세도 생각주서야 하고... 수입업체의 이익도 생각을 해주셔야 합니다..그럼.. 1500만원 정도면 적당한것입니다..

스타일러
2012-02-03
23:06:49 위에 예를 드신 버전은 오토바이 같은 승마식 인데요?...동일버전은 1200만원정도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1200에 관세와 방사청을 상대하는 업체 이익에...일정 수량의 정비부품 이면 그닥 나쁘진 않은듯...

맥시멈 300대 구입정도면 45억인데....

그 정도를 위해서 공장짓고 개발비 붓고 하려는 업체가 없을듯 합니다.

오지와 땅떵어리 큰 미국/중국/호주 정도 아니면 민수용으로도 수지타산이 안나올듯 하구요.

못만드는게 아니라 안만드는 거겟죠....돈이 안되니..

보고싶은남자
2012-02-03
23:51:16 스타일러님 그렇군요.
그런데, 국내수요도 어느 정도는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현행법률상으로 CC 제한이 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일정 CC 넘어가면, 자동차로 분류될걸요.

강기갑부대장의원
2012-02-04
01:48:40 반농담이라 하셨는데.. 국산 경차를 개조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군부대 차가 부족해서, 2.5톤이 불필요하게 기름 낭비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는데.. 우리나라 군부대, 정부기관은 좀 관용차들 교체수요는 전부 경차로 바꿨으면 합니다. 기관장이란 답시고 전담 운전기사 두는 것도 가급적 지양하고 자가운전 시켜야 하구요.. 혈세 낭비를 최대한 막아야 합니다..

보고싶은남자
2012-02-04
03:26:59 강기갑부대장의원님, 반농담이니까, 진심도 있는 것이죠.

BMW 에서 생산한 MINI 중에는 천장이 높고, 4WD 로 나온 버젼도 있습니다.

굳이 엔진이 앞에 위치한 것을 유지한다면, 국산경차를 4륜형으로, 개조하는 방법도 유효하죠.
경차, 예를들어 RAY 4WD 같은 경우에는, 수요가 있을 수도 있고요.

그것도 아니라면, 기존에 오토바이크 생산하는 국내업체의 모델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도 있죠.
S&T, 대림도 오토바이크는 생산합니다. 다만, CC 가 작죠.(국내 법률때문으로 알고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전투기와 레이더 등을 제외한 부분은 대부분 국산화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위의 오토바이크가 100%국산이면(충분히 가능하죠), 20대 이번에 구입했는데, 10개의 가정이 1년간, 먹고사는 돈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레져용으로 개발된 제품과, 군용으로 개발된 제품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겠죠.
엔진의 위치, 앞뒤의 화물공간 등만 고려해도요.



강기갑부대장의원
2012-02-04
03:31:34 물론입니다. 가뜩이나 내수시장이 작은게 한국의 치명적인 약점인데.. 이건 재벌밀어주기니 뭐니 다 떠나서, 국내 고용 증대 및 내수시장 키우는 차원에서도 나쁘지 않은 행보라 생각했어요..말씀하신대로 레저수요도 분명히 있는 것이고.. 외국인 관광객이 강원도 가서..강원랜드 같은데서만 달러 쓴다고 생각 않습니다.. 강원도 저런 것 타고 아이슬랜드 마냥 알아서 여행 , 돌아다니게 하면 좋은 관광 자원이 되지 않을지. =)

윤준식
2012-02-04
14:42:50 중국산 오토바이라니;;;;;;;;

헤파이스토스
2012-02-04
15:53:08 저게 중국산이지만 엔진은 분명 해당회사에서 만든 제품이 아닐겁니다.
왜냐하면 중국도 2사이클에대한 기술은 있지만 4사이클 고배기량엔진에대한 기술은 불과 얼마전 S&T에서 유출해 간걸로압니다. 아직은 양산단계가 아닐테죠.
시중에 600cc 수입레플리카도 1300은 합니다.
거기에 군용이라는 특정용도를 고려해본다면 비싼가격은 아닌것같군요. 아마 국내서 발주한다면 2~3년주행후 엔진 내구성대한 의문점이 분명 제기될수도 있으며 가격은 더욱 오를것입니다. 그리고 요즘 오토바이는 중국산이나 국산이나 다를바없습니다. 기종에따라서 오히려 중국산보다도 못하다는 평가도 받고있구요.

바람의검심
2012-02-04
17:20:26 오토바이 엔진이 차량보다 시끄러운 단점이 있죠.

일단 써보고 괜찮다 싶으면 대체차량으로 생각할수 있을겁니다. 지금은 소량 도입해서 운용하는것이니..

패러다임
2012-02-04
21:54:13 글쎄요...제가 중국산 산악오토바이 하나 가지고 있던 적이 있었는데요. 엔진은 일제를 써서 괜찮았는데 빌어먹을 얼마 타지도 못하고 고철 되었습니다. 산악오토바이가 경사 좀 있는 계단을 내려왔다고 쇼바가 주저앉았습니다 ㅡㅡ

백두산범
2012-02-05
00:01:24 그냥 농업용 트렉터를 활용하는것이.. 기본 105mm야포는 견인 가능합니다.. 험지 돌파능력도 좋은 만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