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사이비언론, 시민포상제 실시하자
무분별한 사이비언론, 시민포상제 실시하자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5.06.02 1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는 지대내고 기사는 보도자료를 기사화해 콘텐츠를 생산하고......
[사회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고성중 기자] 신문의 문제점을 들여다보면 시 군 구의 주제기자들이 기자증을 구입하고 보도자료를 가공해 전문기자 행위를 하고, 사업을 이끌어가면서 세금을 축내는 것을 문제라고 지적하고 싶다.

고급신문사 흉내를 더 많이 내는 신문사일수록 ‘지대’를 지불해야 한다.

언론사가 많은 것은 민주주의에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이비 같은 기자가 많아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기자증 없이도 글을 얼마든지 쓸 수 있는 미디어 세상에서 기자증 없으면 말이 통하지 않는 사회구조가 더 많은 사이비 기자를 양산시키지 않나 고민해 본다.

같은 소식, 같은 자료를 기사로 유포하면서 합법적인 광고로 언론사를 운영하며 사이비기자들이 더불어 기생하는 사회구조다.

광역시는 약 30억, 시・군・구는 약 10억 이하를 공식적으로 언론사 광고비(공개정보청구확인)를 지불한다. 합법적이다. 합법을 가장해 밝혀야할 기사가 가려지는 시스템인지 삼척동자도 다 알고있다. 언론사의 입막음 인사용으로 광고를 주고받고 같이 기생하는 것이다.

종이신문이나 인터넷 뉴스사 기자증을 구입해 사업의 방패막이로 활용하면서 사업을 확장시켜나가는 것이 요즘 말하는 사이비언론의 작태일 것이다.

기자증을 가지고 다니며 행색하는 토목, 건설업자가 많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누가 기자‘윤리강령’에 가장 어긋나는 행위를 일삼는가? 시민 포상제를 실시하여 시군구의 검찰에 제보할 수 있도록 하고 포상제를 실시해야한다.

민주주의 평가는 조작하지 않는 저널리즘에서 나온다. 민주주의 70년 된 우리나라의 실정은 어떠한가?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온라인 뉴스공급매체 선별 제안에 대해 “사이비 인터넷 언론에 멍석을 깔아준 책임을 뒤늦게나마 인정한 것”이다.

언젠가부터 인터넷 뉴스사는 사업을 확장시키는 도구로 전략했고, 페이퍼 뉴스는 지자체에 버섯 종균처럼 퍼져 나갔다


네이버 다음의 언론정책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온 국민의 뜻을 모아 사이비 언론을 퇴치하는데 앞장서야 한다.

사이비언론을 색출하는데 시민과 함께하는 공청회를 열어야 한다. 만약 공정하게 구성하지 못하면 언론사들의 엄청난 불만이 터져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살아있는 언론이 밝은 사회를 유도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