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도 빈, 부 社會는 무엇을 해야 하나
어린이날도 빈, 부 社會는 무엇을 해야 하나
  • 정덕구 기자회원
  • 승인 2015.05.05 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좋은 프로그램으로 같이 사는 사회로 거듭나는 어린이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국시민기자협회 정덕구 기자회원] 오늘은 제93회째 맞는 어린이날이다. 벌써 40여 년 전에 있었던 어린이날과는 세상도 바뀌었지만 엄청나게 바뀌어 왔다.

그때만 해도 간단히 도시락을 싸들고 버스에 몸을 싣고 아이들과 들뜬 마음으로 자연 속에서 하루를 즐기곤 했다.

요즘은 모든 일이 돈으로 해결한다는 인식이 몸에 배어있다. 광주 패밀리 동물원으로 향하는 차량행렬은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주차장에서부터 좌우로 약 2km 정도 이어졌지만 되돌아가는 차량도 상당히 많았다.
▲ 모든 어링이가 행복한 사회로 거듭나는 어린이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나 빈민가족 어린이들은 어린이날이란 거 실감이 날까 하는 생각이다. 부모는 생존경쟁사회에서 아이들을 돌볼 시간까지도 빼겨 버렸고, 아예 어린이날에 외출이나 외식은 꿈도 못 꾸는 어린이들이 있어 가슴이 아프다.

이런 사정을 교육 관계자들은 모를 리가 없다, 이런 날일수록 오히려 더 가엾은 어린이들을 보살펴야 할 곳이 교육청일 것이다. 물론 기자가 이야기한 것이 정답은 아니다, 이런 일에 관심을 두는 것도 밝은 사회로 가는 길이다. 학교에서 전교생이 한데 모여 즐거운 시간을 얼마든지 만들어줄 수 있을 것이다.

두 장의 사진에서 보듯이 이사회는 정말로 간격 자체를 좁혀줘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어린 자녀들을 행복하지 못하게 해준 부모는 더 안타값겠지만 그렇지 못한 어린이들에 희망 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새판짜기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린이 헌장에서 말했드이 누구나 밝고 명랑하게 뛰놀 수 있는 어린이날을 모든 사회인, 교육계, 정치권에서 이런 일에 좀 더 연구하여 좋은 프로그램으로 같이 사는 사회로 거듭나는 어린이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