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손상으로 인한 수술을 시행한 경우라면 수술 후 체중부하 시기에 맞는 안정성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이 더욱 필요하게 된다. 수술 후 초기에는 체중 부하가 거의 없는 열린사슬운동이 주요 운동이 되고, 체중부하가 가능한 정도에 따라 점진적인 닫힌사슬운동이 권장된다.
무릎의 손상은 크게 외력에 의한 손상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되는 퇴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전에는 후자인 퇴행에 의한 무릎 손상으로 인한 수술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무리한 스포츠활동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의 무릎 손상 또한 증가 추세이다. 이러한 손상이나 퇴행은 무릎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정상적인 작용을 방해하고, 뼈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고, 이는 무릎의 불안정을 일으키게 되는데, 수술 후 재활치료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무릎은 체중 부하 관절로 보행과 같은 체중이 실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손상 방지를 위해 근육 및 인대, 뼈의 정렬 등을 통해 흔들림이 없는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업무 시작전이나 운동전이라면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관절손상을 예방하여야 하고, 평소에 관절을 자극하는 무리한 활동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광주광역시 첨단 2지구에 있는 더나은병원에서는 무릎 수술 후 체중부하 시기에 따른 단계적인 재활프로그램을 통해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빠른 일상으로의 복귀를 앞당기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