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등산 자락 무돌라는 길 이름”은 구전으로 알려진 무등산의 옛이름 “무들뫼” 로부터 “무등산을 한 바퀴 돌아가는길 ”이라는 의미를 있습니다.
총 길이 약 50Km, 15개구간으로 기획. 복구된 이길은 오늘날의 자동차길이 아닌 옛날에 우리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소달구지나 지게에 짐을 얹거나 머리나 등에 이고지고 걸어서 넘나들던 길입니다. 지금도 광주.전남의 시. 도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곳도 있지만- 약간은 포장도로가 된 부분도 있으나- 대부분의 길은 아직도 옛날 그대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다보니 가시덤불로 덮여 보이지 않거나 비바람에 씻겨서 없어진 곳들도 있어 이를 조사 발굴 복구 했습니다.
무돌길을 걷다보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눈으로는 이 길이 과연 우리 조상들이 이용하던 길이 분명한가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의 가파른 고갯길도 있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길 축대등 그때의 길 흔적들이 아직도 남아있어 우리 조상들이 이용한 길이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오늘을 바쁘게 살아가는 우리들이 잠시나마 여유를 가지고 가족이나 벗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며 한가롭게 걷는 행복한 길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0. 무돌길이란
“ 무등산 자락의 마을과 마을, 재를 넘어 한 바퀴 돌아보는 옛길” 이라는 의미이고 무등산 옛 이름인 “무돌뫼” 와 무등산 사랑과 문화를 배우자는 의미를 가진다.
0.무돌길 특징
-1910년대 지도를 근거로 찾아낸길
-최소 100년에서 주로 500년 이상의 길
-무등산 자락 마을과 마을을 있는 생활 문화 소통의길
-무등산과 자연공간을 중심으로 한 개발제한구역내의 길
-시작지점(1길)과 끝지점(15길)은 진출입 교통이 아주 용이한 길
-남녀노소. 장애인까지 어렵지 않는길
@. 광주 북구구간(제1길~4길)12km, 4시간30분
-제1길(싸리길)
각화마을(각화중)-각화저수지-들산재(싸리재)- 신춘마을-등촌마을정자 <1시간20분(4km)>
찾아가기: 대중교통-두암81, 용전86, 금호36, 금남55, 송암74
돌아오기: 대중교통-석곡87
-제2길(조릿대길)
등촌마을정자-지릿재(조릿대재)-배재마을정자(충장사) <1시간(3km)>
찾아가기: 대중교통-석곡-87
돌아오기: 대중교통- 충효187,1187
-제3길(덕령골숲길)
배재마을(충장사)-금정이주촌-덕령골숲길-금곡마을정자(서림)<40분(2km)>
찾아가기: 대중교통-충효187,118
돌아오기: 대중교통-충효187
-제4길(금곡숲길)
금곡마을정자(서림)-원효계곡숲길-평촌마을(담안)-동림마을-우성마을
-증암천길-반석마을(명가은)-연천마을(남면초등학교)<1시간30분(3km)>
찾아가기: 대중교통-충효187
돌아오기: 대중교통-충효187,담양225
@전남 담양 구간(제5길~6길)8km, 3시간40분
-제5길(독수정길)
연천마을(남면초등학교)-산음마을(독수정)-함충이재-정곡마을-절골길(정행원한옥)-경상마을정자 <1시간50분(4km)>
찾아가기: 대중교통-담양225(1시간 간격 첫차 06:40)
돌아오기: 대중교통-담양225(1시간 간격 막차 21:00)
-제6길(백남정길)
경상마을정자-천년 느티나무-경상저수지-옥녀탕-
백남정재(호남정맥)-무동마을정자 <1시간50분 (4km) >
찾아가기: 대중교통-담양225(1시간 간격 첫차 06:40)
돌아오기: 대중교통-담양225(1시간 간격 막차 21:00)
인암삼거리 이동 (20분 소요)
@전남 화순 구간(제7길~제11길)17km, 6시간30분
제7길(이서길)
무동마을정자-무동저수지-송계마을(인계리)-서동마을-
용강마을-영평마을(이서초등학교) <1시간 3km) >
찾아가기: 대중교통- 화순217-1
돌아오기: 대중교통- 화순217-1
제8길(영평길)
영평마을(이서초등학교)-장복마을(도원마을)-영실골길-0k목장-
안심마을정자<1시간(3km)>
찾아가기: 대중교통-화순21
돌아오기: 대중교통-화순217-1
제9길(안심길)
안심마을정자-안심저수지-안양산휴양림 <1시간(3km)>
찾아가기: 대중교통 화순217-1
돌아오기: 대중교통 화순 군내버스(하루3대 08:30,13;30, 16:30)
제10길(수만리계곡길)
안양산휴양림-둔병재-수촌리-수만리계곡길-화순 큰재주차장(산림공원길)<2시간(4km)>
찾아가기:대중교통-화순 군내버스(하루3대 08:00, 13:30, 16:30)
돌아오기:대중교통-화순 군내버스(하루3대 08:00, 13:30, 16:30)
제11길(화순 큰재길)
화순 큰재주차장(산림공원길)-만수동공길-중지마을정자<1시간(3km)>
찾아가기: 대중교통-화순 군내버스(하루3대 08:00, 13:30, 16:30)
돌아오기: 대중교통-화순 군내버스(하루3대 08:00, 13:30, 16:30)
@광주 동구 구간(제12길~제15길)15km, 약5시간20분
제12길(용연골길)
중지마을정자-만연재(목장)-동박골-용연마을정자 <1시간30분(4km)>
찾아가기:대중교통-화순 군내버스(하루3대 08:00,13:30,16:30)
돌아오기:대중교통-지원52
제13길(용추골길)
용연마을정자-제2수원지-용추계곡길-용연정수장-선교동정자<40분(2km)>
찾아가기: 대중교통-지원52
돌아오기: 대중교통-지원42등 등
제14길(광주천길)
선교동정자-선교동-선교다리-광주천길(주남-용산-지원동-소태동-학동)-남광주역사(남광주시장) <1시간30분(4.8km)>
제15길(패션푸른길)
남광주역사(남광주시장)-폐션푸른길(학동-서석동-동명동-산수동-풍양동-계림동-중흥동)-광주역<1시간(4km)>
무돌길의 행정구역
0.광주광역시 동구
-용연,선교동,주남,지원동,소태동,학동,서석동,산수동,계림동
0.광주광역시 북구
-각화 시화마을,신촌,등촌,배재마을,금정촌,금곡리,평촌리,동림
0.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반석,연천리,산음,정곡리,경산리,무동리
0.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송계,서동,용강,영평리,장복동,안심리,수만리
무돌길의 개방목적
-무등산의 가치 보존을 위해서
-무등산을 보다 넓고 쾌적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무등산의 아름다운 조망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무등산 자락 우리 선조들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기 위해서
-산사랑 운동으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무등산사랑운동을 위해서
-자연 문화유산과 상생의 길을 도모하기 위해서
무돌길 탐방객 주의사항
-쓰레기를 버리지 말고 가져오기
-마을을 지날 때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기
-먼저 인사하기
-마을 주민들과의 대화 할 때 예절 지키기
-농작물에 손대지 않기
박석호 (사)자연보호연맹중앙지도위원,늘푸른화순21협의회 감사,
*12년 전 서울생활 정리하고, 녹색 생활의 터전인 호남 전라도에 내려와 화순에 살면서 광주.전남을 알리고, 무등산을 홍보하고, 지역사회에 봉사한다. 28기 등산문화해설사(2008-010호)수료-2008년4월15일부터 6월26일까지 무등산사랑 환경대학에서 (사) 무등산보호단체 협의회 , 광주문화방송에서 주관한 97시간의 교육을받았으며, 환경부에서 후원한 녹색생활 가이드 인력 양성과정(2010-3-0321호)을 전남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2010년8월4일부터 8월13일까지30시간 교육을 받았으며, 33기 화순구간해설사(2011_087호)수료-2011년9월15일부터 11월27까지 무등산사랑 환경대학 광주문화방송이 주관한 “2011 무등산사랑환경대학33기“ 교육과정 100시간 수료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