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역사를 알아야 한다"

목차
1장. 전운이 감돌다
-어떤 만남
-이매야, 이매야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2장. 이게 나라인가?
-임금이여, 어디로 가시옵니까?
-조선을 버릴 순 없다
-사람들은 저마다 탈을 쓰고 산다
-누구를 위해서 싸우는 것인가?
-우리를 구할 곳은 우리뿐이다
-전란은 끝나지 않았다
-보이지 않는 전쟁이 더 무섭다
3장. 하늘의 뜻, 사람의 뜻
-아, 순신이여
-나를 모른다고 비웃거나 말거나
-하늘의 뜻, 사람의 뜻
-그대는 왜 세상을 등지게 되었는가?
4장. 경계하라 또 경계하라
-이제 돌아가리라
-민심은 나라를 무너뜨린다
-준비한 사람만이 희망을 가질 수
보이지 않는 전쟁이 더 무섭다!
역사에는 수많은 전쟁이 있었다. 그리고 지금도 전쟁이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전쟁은 계속될 것이다. 조선을 죽음 직전까지 끌고 간 7년 전쟁의 현장에서 그는 비겁하게 외면하거나 도피하지 않았고, 당쟁에 빠진 선비들이 공론으로 분열할 때 자기의 직분을 다하기 위하여 치욕을 곱씹으며 나라와 백성을 챙겼다. 탁월한 혜안으로 이순신과 권율을 추천하여 전쟁에 대비하였으며, 명분에 사로잡힌 기득권층의 견제와 무능한 왕의 정치싸움 틈바구니에서도 명과의 외교를 슬기롭게 전개하여 전쟁을 마무리하였다.
이를 계기로 병들어 가는 조선을 다시 세우고자 하였던 ‘징비록’의 주인공 ‘류성룡’의 삶과 철학을 이야기 형태로 풀어주는 소설이다. 그가 진정으로 두려워하였던 것은 그 치욕의 역사를 후손들이 잊어버릴까 하는 것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냉혹한 국제 질서 속에서 안팎으로 총성없는 전쟁을 겪고 있다. 갈라지고 분열된 우리 사회를 보면서 통합과 소통과 포용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나라를 이끌어 줄 진정한 지도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이 책이 위로가 될 것이다.
행복 나눔 기자단 허 현 호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