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신하지 못한 공직자, 공직 신분유지하면 안 된다
참신하지 못한 공직자, 공직 신분유지하면 안 된다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5.02.12 11: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직생활 중 세금 축낸사람은 안되
불량 위정자
[사회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고성중 기자]백화점 상품권 수 십억 원어치를 산 뒤 10%를 떼고 현금으로 바꿔 1억 8천여만 원을 당비와 생활비, 골프 접대비 등으로 쓴 혐의를 받았던 전 공직자는 공직신분을 유지 하면 안 된다.

소문으로 알려진 것은 빙산의 일각일 것이며, 九牛一毛 이다.

살기 어려운 인권도시에서 광주에서 시민의 혈세를 가지고 본인 곳간만 채웠던 위정자가  공직자 생활을 한다면 시민사회가 어찌 될까?

소문에 의하면 시청 앞 조경, 보도블록 등등으로, 집안 식구가 재산이 많아졌다고 소문만 무성했었다.  세금으로 카드깡을 하면서 본인 잇속만 차렸던 전 공직자가 또 공직자 생활을 하려고 준비 한다면 시민의 입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공직에서 세금을 축내는 것은 일반 시민이 배고파서 물건을 훔치는 것과는 다르다. 축내는 것도 잘못 된건데 외딴 곳간에 곡식을 채웠다면, 더 나쁜 공직자일 게다.

현실적으로 모든 위정자들은 뽑아주면 시민에게 잘할 것 같이 소리치는데. 당선되면 돈만 챙겨 위정자가 부자 되는 사회를 만들면 안 된다.

삭월세로 시작한 공직생활이면 전세 정도면 만족해야지 더 많은 부를 챙기고도 부족한 것인지...

인구수가 줄다보니 자살인구가 50명에서 40명 선으로 줄었다. 먹고 살기도 힘드는데 도덕성이 떨어지는 위정자들이 늘어난다면 결국 사회를 더럽혀진다는 결론이다. 사회구조가 다 같이 잘사는 구조를 만드는데 노력하고 있는 시국에 세금을 낭비했던 위정자는 보탬이 되지 않는다.

 당비, 골프, 접대비 등으로 사용한 협의로 사회에 물의를 일으켰다면 참신한 공직생활은 어렵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