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숙제 ‘적당히’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숙제 ‘적당히’
  • 배성철
  • 승인 2018.12.26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민훈(장애인주간보호센터 헬로)

흔히 말하길 부부는 전생에 인연(因緣)’이었다고 한다. 인연이 악연(惡緣)’인지, ‘선연(善緣)’인지는 모르겠으나 분명한 것은 필연(必然)’으로 만난 관계라는 것이다. 필연으로 만난 관계이기에 우리가 말하는 촌수(寸數)’도 없는 특수한 관계성을 갖는다. 우리의 속담 중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심하게 다툰다 한들, 쉽게 이해하고 화합할 수 있는 말을 비유한 정겨운 말이다. 친구나 지인들과 다툼은 오랜 시간 여운을 남기며 누군가 먼저 양보하면 풀릴 수도 있는 일이다. 하지만 부부관계에서 양보라는 말은 적절치 않는 것 같다. 부부는 양보하며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부족함을 채워주고 서로의 모습을 보며 배워가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며칠 전, 집에 있는 아내에게 호되게 혼이 난 적이 있다. 나보다 나이가 어린 아내지만 나보다 생각의 깊이가 더 깊은 사람이다. 아내는 항상 나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물론 이 조언은 어떤 상태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 될 수도 있다. 때론 잔소리처럼 말이다.

 

그러니까 내가 뭐라고 그랬어?”

항상 그렇게 하니까 이렇게 되는 거잖아?”

그러면 안 된다고 내가 몇 번을 말했는지 알아?”

 

높은 곳에서 낙하하는 물을 칼로 베기엔 도가 지나칠 정도로 자존심을 건드릴 때도 있지만 그때마다 고개를 들고 있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 그건 원인제공자 입장에서 아내에게 듣는 조언이란 공통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원인을 제공하며 약자가 된다. 약자가 되면 대답을 할 수 없다. 대답을 못하니 무조건 잘못한 거다. 만날 똑같은 잘못에 똑같은 오류를 저지르는 것을 보면 구제불가능인가. 그건 또 그렇지 않다고 변명하고 싶다. 남편이라는 존재는 아내에게 구차한 변명을 구할 때 보통 이런 말을 한다.

 

이 세상 살다보면... 이런 날도 있고 저런 날도 있고..”

 

사실 정말 세상 살다보니 이런 날도 있고 저런 날도 있더라. 공적으로 부득이하게 특정행위를 해야 할 때가 있고 사적으로 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걸 하나둘 모두 설명하기엔 남자의 뇌구조가 옳지 않게 발달되어 버린 인류학의 문제도 있을 것이다.

미국 심리학자 존 그레이 박사는 남자가 생각하는 수준과 여자가 생각하는 수준의 차이를 선천적 이유가 아닌 인간이 어디서 어떻게 경험하며 그 지식을 습득하느냐에 따라 판단하고 결정하는 수준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곧 성별에 따른 발달정도가 아닌 환경에서 생각하는 수준이 결정된다는 뜻으로 풀이 된다(미인백과 #1 남자와 여자 ).

 

부부관계에서 다툼을 살펴보면 대부분 별 것 아닌 상태에서 시작하여 크게 번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상대의 심리 중 자존심을 건드리는 말과 행동이 주된 이유가 될 것이다. 상호간 존중하고 이해한다면 감정싸움으로 번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고로, 사람과 사람은 인연이든 악연이든 신뢰를 쌓아야 한다.

 

여자는 남자의 구차한 변명을 들으며 이렇게 대답을 한다. 그런데 그 말이 완전히 틀린 게 아니라 대꾸를 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누가 하지 말라고 했어? 적당히 해야지!”

 

남자 입장에서 또 다른 변명이지만... 그 적당이라는 게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라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