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뮤지컬, 콘서트, 연극 등 공연에 매년 관객 증가와 함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것은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공연문화를 즐기려는 국민이 많다는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제활동을 하면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고 문화의 갈증을 해소하고자 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도 공연장에 더 많은 관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고 개최되는 공연마다 매진이 되고 관객이 많은 것은 아니며 소수의 관람객으로 적자 공연이 펼쳐지는 것도 부지기수다.
무엇보다 많은 관객이 공연장을 찾게 하기 위해서는 공연 제작사와 기획사는 먼저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내놓아 한다.
물론 좋은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기 마련이다.
많은 제작비를 들여서 만든 좋은 공연에는 비싼 티켓을 구입해서라도 관객들은 공연장을 찾고 있다.
그렇다면 매진된 공연의 관객들은 전원 유료 티켓을 구입해서 관람을 하고 있는 것일까?
기획사 관계자의 말을 종합해보면 100% 유료 관객은 현재 우리나라 공연장에는 없다고 단언할 수 있다.
문제는 흥행에 실패한 공연에 공짜 관객과 할인 관객이 더 많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이것은 제작사와 출연진들의 무리한 요구에서부터 생긴다.
관객이 적어서 설렁하면 리얼한 공연을 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공짜 관객들로 공연장을 어느 정도 채워달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런 출연진과 제작사의 요구에 주최 기획사는 거절하기 힘들다.
왜냐면 ‘갑을’관계에서 제작사나 출연진보다 주최 기획사는 ‘을’의 입장인 경우가 많다.
물론 기획사가 스스로 공짜 티켓을 남발하고 소셜커머스 등에 대폭 할인해서 판매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는 제값 내고 구입한 관객들을 우롱하는 것으로 기획사 스스로 반성해야 될 대목이다.
또, 대관 관계자나 소위 힘 있는 사람들이 공짜 티켓을 요구하는 일이 아직도 비일비재하다고 한다.
이것은 스스로 뇌물을 달라고 드러내놓고 말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공연 티켓은 엄연히 공연 일까지는 재산 가치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비싼 티켓을 구입한 관객은 공짜로 보는 관객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좋은 공연을 관람하고도 뒷맛이 개운치 않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많은 병폐도 나타난다.
공연 티켓을 오픈하면 공짜 티켓과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하고자 하는 기대심으로 초기에 구입하는 관객이 줄어들고 공연이 다가올수록 티켓이 팔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보니 매진돼야 하는 공연이 매진되지 않는 경우가 생기고, 공연이 임박해서야 티켓을 구입하려고 하니 원하는 좌석이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폐단을 없애려면 제값 주고 티켓을 구입하는 올바른 공연 문화 조성에 우리 모두가 동참해야 한다.
서울로 가는 KTX 좌석이 매진되지 않고 남았다고 해서 빈자리에 공짜로 타고 갈 수 없듯이 공연장에 좌석이 많이 비워 있다고 제작사나 출연진이 공짜 손님으로 채워달라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또한 어느 누구도 공짜 티켓을 바라거나 요구해서는 안 된다.
점차 공짜 티켓은 줄어드는 추세이나 아직도 잔재하고 있다. 올 연말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공짜 티켓은 없어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