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위험 평화맨션, "부실시공 알고도 허가낸 관공서 책임"
붕괴위험 평화맨션, "부실시공 알고도 허가낸 관공서 책임"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4.09.24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진단 E등급..철거 불가피, 사회 전반에 퍼져있는 안전 문제들 광주가 선두해서 해결해야
▲ 평화맨션 주민들은 16일 아침부터 시청앞 릴레이 1인 시위에 돌입했다.
건물 정밀분석 결과 E등급이라는 낙제점을 받은 평화맨션 비상대책위원회가 "건물이 붕괴 위험에 놓이게 된 모든 책임은 부실 시공을 알고도 방치한 정부 책임" 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7월 24일 파열음과 함께 건물이 흔들렸다는 평화맨션 입주민들의 신고로 정부 당국과 관련 업계가 정밀분석한 결과 평화맨션은 '철거' 판정을 받았다.

정밀분석 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기둥들의 평균 압축강도는 당초 기분인 18Mpa의 71% 였으며 21cm의 건물 기움, 기둥 내 철근 부식 등이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파열음과 함께 주민을 놀래켰던 B동 뿐만 아니라 A동도 다를바 없는 상황으로 평화맨션 전체 입주민 500여명은 새로운 주거지를 구해야 한다.

평화맨션 비대위 성명서에 따르면 "정부측 담당자에게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청 건의서가 도착한지 하루도 안돼 '어려울 것' 이라는 의견이 언론을 통해 전달 됐는데, 이는 탁상행정으로 밖에 보여지지 않는다" 고 말했다.

특히 평화맨션의 기둥이 애당초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부터 부실하게 이뤄졌음을 지적하는 분석결과가 나옴에 따라 비대위는 "건축 당시의 혼란한 상황과 낙후된 기술력을 고려해 특별관리를 했어야 하는데 정부와 지자체는 이를 방치해 왔다" 고 지적했다.

이처럼 하루 아침에 피난민 신세가 된 평화맨션 입주민들의 입장을 알면서도 그들이 그토록 요청하는 '특별재난지역선포'를 광주시 측이 온전히 받아들이기 힘든 까닭은 '형평성' 때문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시측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시 내 15층 이하 건령 30년 이상 건물은 147개 단지에 달하며 이는 15층 이하 건물중 22%정도가 평화맨션과 비슷한 시기에 완공됐다.

이렇기에 혹 이 건물들 중 제2의 평화맨션 사태가 벌어졌을때 '좋지 않은 선례' 가 될걸 우려하는것이다.

비대위 측은 이에 "이미 붕괴가 시작되 전 주민이 대피 생활을 하고 있는 이 상태는, 단순히 노후 아파트와는 다른 상황" 이라며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조속히 조치해야만 하는 명백한 재난상황" 이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세월호 참사에서도 드러난 것 처럼 정부가 지금까지 제도적으로 방치한 안전 문제들이 한개씩 터져나오고 있다" 며 "평화맨션을 비슷한 맥락에서 본다면 어려운 시기를 선두해온 광주시가 다시한번 '국가개조' 에 앞장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할 때가 아니냐?" 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광주시 북구의회는 광주시에 평화맨션을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 했으며 광주시는 이에 따라 정부에 의견을 전달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