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복지시민연합 관계자는 “부실한 관리로 인해 요구불예금에 거액을 넣어 이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유휴자금 관리의 허술함 등 재정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대구 교육청의 경우 이자수입율은 2012년 0.55%(시단위 평균 0.27%)로 시단위로는 울산 다음으로 이자수입율이 높았고, 2013년의 경우에는 0.32%(시단위 평균 0.28%)로 울산, 광주에 이어 세 번째로 이자수입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2012년에 비해 2013년 이자수입이 60억 이상 감소하게 된 사유는 여유자금인 전년도 이월금 및 순세계 잉여금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교육청 예금금리의 기준이 되고 있는 한국은행 예금금리가 1%(2012년도 3.64%⇒2013년 2.67% △0.97%) 가까이 낮아졌기 때문이다.고 했다.
덧붙여 "2013년에는 중앙정부의 예산 조기집행 추진정책 및 경기 부양을 위한 불용액 최소화 방침에 따라 사업비를 조기에 집행함에 따라 여유(운용)자금이 감소돼 이자수입율 감소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