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흥건설 순천에코밸리 탈 편법 의혹
중흥건설 순천에코밸리 탈 편법 의혹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4.08.11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창선, 중흥건설은 ‘택지개발예정지구(공공택지)’ 분양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최근 들어 시세가 크게 확장했다
[사회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중흥건설 순천에코밸리 탈 편법 의혹이 일고있다.   정창선 회장 성공신화 디딤돌 ‘순천 신대지구’에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중흥건설은 ‘택지개발예정지구(공공택지)’ 분양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최근 들어 시세가 크게 확장했다.

주택시장 침체로 중견 건설사들이 쓰러지는 것과 달리 전국구 업체로 도약을 준비할 정도다. 그러나 몸집이 커지는 동안 체제정비에 소홀히 하면서, 성과위주 경영방식 안전 불감증 편법 증여 등 곳곳에서 문제점이 불거지고 있다.

중흥건설은 순천 신대지구개발을 기반으로 지금의 기초를 세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창선 회장은 이 사업을 치적으로 삼을 정도다. 개발 용지가 팔리지 않자 고심 끝에 직접 분양을 결정한 정 회장의 결단의 결과라는 것.

그러나 성공은 온갖 비리와 특혜 의혹이 일면서 총체적 부실이라는 오명과 함께 비난과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흥건설은 순천시의회와 감사원 등으로부터 민·관 유착에 따른 실시계획 변경승인 과정의 위법 부당 문제를 지적받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2007년 7월 신대지구 개발을 위해 설립된 순천에코밸리는 자본금 300억원 규모로, 설립 당시 중흥건설이 59.4%, 삼능건설이 39.6%, 순천시 1%의 지분 투자로 시작됐다.

이후 삼능건설의 법정관리로 중흥건설이 관련 지분을 전량 인수해 사실상 단독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당시 순천시는 신도심에 대한 무작위 개발을 막고, 행정적 편의를 제공하겠다는 명분으로 1% 지분을 출자했다. 시 퇴직 간부가 순천에코밸리 사장으로 갈 정도로 영향력을 발휘했다.

시의 지분 출자는 유착으로 변질, 특혜의 연결고리를 만들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의회 신대배후단지조사특별위원회는 지난해 7월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신대배후단지 조성 관련 의혹’에 대해 감사원에 감사 청구했다.

감사원은 감사를 벌여 2010년 3월 전남도가 승인한 신대배후단지 내 공공청사 용지에 대한 개발과 실시계획에서 경제청의 실시계획 변경업무 처리 부적정, 순천시의 업무 소홀 등을 일부 확인했다.

이에 따라 사업시행자인 순천에코밸리와 경제청 해당 공무원을 지난 6월 검찰에 고발 조치했다.

시의회는 이에 그치지 않고, 이달 들어 신대지구 개발이 애초 목적과 다르게 진행되고 감사원 감사도 부실하다며 2차 감사를 청구했다.

한편, 신대지구 인근에 조성되는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2차 배후단지, 선월지구 개발 시행자로 중흥건설이 선정돼 지역사회에서는 반발이 거세다.


▲ 순천에코밸리
중흥건설은 신대지구와 마찬가지로 별도 SPC(특수목적법인)를 설립해 사업비 2257억원을 들여 내년 초 사업에 착공할 예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 내에서도 중흥건설에 대한 비난이 적지 않다.

지역 내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그동안 전남·광주 지역에서 프로축구단 광주FC 지원 등 지역 발전에 공을 들이는 것을 보고 향토기업으로 자부심이 컸지만 모든 것이 부조리를 감추기 위한 포장이라는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창선 회장이 장학회를 키워 학생들에게 공부할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하지만 부도덕한 기업의 도움으로 공부를 하겠느냐”고 밝혔다.

이와 관련 중흥건설 관계자는 “개발 과정에서 생긴 불미스러운 일에 대해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역개발을 위해 그동안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