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교육활동을 하는 가운데 학습을 돕기 위해 조직하는 방식, 학습자와 교육활동을 제공하는 주제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제 6장 평생교육방법의 유형과 개인중심 방법6.1. 평생교육방법의 유형
○ 교육방법의 개념
- 교육방법(method): 사람들이 교육활동을 하는 가운데 학습을 돕기 위해 조직하는 방식, 학습자와 교육활동을 제공하는 주제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 기법(technique): 방법이 결정된 후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실천행위
- 장치(device): 기술을 지원하거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학습 보조기구
○ 평생교육방법의 개념 및 분류
- 교육방법과 기법 그리고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평생교육의 대상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동원되는 교수방법을 총칭
- 평생교육현장에서는 교수-학습활동을 돕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적 지식과 이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됨
- 평생교육방법의 분류
구분
분 류 준 거
학습자 조직
학습 목적과 내용
교수 보조물
유형
개인중심
집단중심
지역중심
이해중심 방법
기능중심 방법
태도형성 방법
예시적 자료 방법, 조작적 모형 방법
원격매체 활용 방법, 환경적 조건화 방법
6.1.1. 학습자 조직에 따른 분류
1. 개인중심 교육방법 - 개인학습자가 단독으로 교수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습하는 방법을 의미 (예. 도제제도, 예체능 실기지도)
2. 집단중심 교육방법 - 여러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하는 것으로 평생교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예. 강의, 강연, 토의, 역할극)
3.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
- 특정 지역사회 주민들이 함께 모여 자신들의 문제를 논의하고 공동적인 노력과 참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교육방법
- 주민들의 자아실현과 함께 지역사회의 발전(community development)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지역평생교육(community education)이란 용어로 널리 사용 (예. 덴마크의 국민대학, 우리나라의 새마을 교육)
6.1.2. 교육 목적과 내용에 따른 분류
1. 지식(knowledge)획득과 이해 - 새로운 지식을 보다 학습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개인 및 집단중심방법이 모두 활용 (예. 강의,매체활용방식)
2. 기능(skill)개발 - 읽기․쓰기․셈하기 등의 기초지능, 대인관계 및 민주적 참여기능, 자동차 정비 등의 직업훈련상의 기술 및 기능을 말한다.
3. 태도(attitude)변화 - 성인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도록 가치관 및 태도 형성을 촉진시켜야 한다.
6.1.3. 교수-학습 매체에 따른 분류
1. 예시적 매체 - 언어적 매체: 강의 및 강연, 학습과제와 관련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적절한 예를 들어 주는 것이다.
- 시청각 매체: 기각, 청각, 시청각 매체로 나뉘며, 그러한 예로 사진, 그림, 표본 및 모형, 슬라이드, OHP, 영화, VTR 등이 있다.
2. 조작적 매체 - 학습자들의 직접적 조작이 요구되는 학습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를 위해 제공되는 교수용 기재를 의미
3. 확산적 매체 - 주로 대중 원격매체를 의미하며, 인쇄매체, 방송매체, 통신매체가 있음
4. 환경적 매체 - 학습장소의 물리적 환경과 관련하여 교실의 구성과 배치(layout), 교육장소에 대한 내적·외적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함.
6.1.4. 교수기법에 따른 분류
1. 교수자중심의 교수기법 (예. 강의나 질문법, 시범 등)
- 교사는 지식이나 기술을 학습자에게 전달시키며 학습자는 이를 듣고 받아 적으면서 이해하고 학습하는 교수중심의 교육방법
- 장점: 동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지식이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점: 학습자들을 지속적으로 집중시키면서 이끌어 가는 것이 쉽지 않고,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어렵다
2. 참여식 방법 -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교수법으로 문제풀이, 게임, 조사 및 탐사 방법
- 장점: 학습자들의 협동심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상호학습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인학습의 특성과 원리에 적합
단점 : 토론이나 패널과 같은 공식적 자유토론은 시간적 제약이 따름
3. 상호작용적 기법 - 예: 집단토론이나 집단과제, 강의와 토론을 병용하는 방법 등
- 교수기법과 참여식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 (혼합형 교수기법)
- 작은 규모의 학습집단 내에서는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집단토론을 교수자의 안내와 지도하에 할 수 있음
6.2. 개인중심 교육방법
6.2.1.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의미
○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의미
- 학습자는 스스로 학습의 계획을 세우고 독자적인 방식으로 학습을 해 나가면서 교수자의 지도를 받거나 상담을 통해 진행하기도 함
- 매체나 시설을 이용하면서 독자적으로 학습을 하기도 함
○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유형
개인지도방식
상담활용방식
매체활용방식
시설활용방식
교수자와 학습자의 직접적 접촉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의 대표적인 것
대면접촉과 매체가 동시적으로 활용
서적, 시청각기재, 방송·통신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타인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없이 독자적으로 학습
교육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의 물적·인적자원을 활용해 개인적으로 학습하는 형태
6.2.2.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필요성
① 학습자 욕구와 특성의 다양성 - 교수자는 개인차를 최대한으로 고려하여 개별학습자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도와야 할 것
② 현대사회의 다양화와 복잡화 - 직업의 다양화, 근무형태의 복잡화, 통근의 원거리화, 개인중심 학습방법을 더욱 선호
③ 정보와 지식의 폭발적 증가 - 현대인은 증가하고 있는 정보를 재구성하고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필요가 있는 것
6.2.3.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원리 : 자기주도학습
<노울즈의 자기주도학습 6단계>
① 학습분위기 조성
② 학습욕구 진단
③ 학습목표 설정
④ 학습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 파악
⑤ 적절한 학습전략 선정
⑥ 학습결과 평가
1.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필요성
○ 노울즈(knowles)에 의한 자기주도학습
-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필요와 학습욕구를 진단하여 목표로 진술한 뒤, 학습 자원 및 방법을 선정하여 학습활동을 수행하고, 자신이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학습방법을 의미함
- 자기주도학습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교사주도학습'과 비교하여 다섯 가지 가정을 설정
① 학습자를 본질적으로 의존적인 존재로 본다
② 학습자의 경험 역시 학습하는 데 풍부한 자원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생각
③ 개인별로 학습준비도가 다르다고 본
④ 자기주도학습에서는 문제중심지향을 택함
⑤ 내재적 동기(예 : 자존감, 지적 호기심, 성취욕)를 충족하고자 학습을 함
2. 자기주도학습의 모형
○ 자기주도학습의 3가지 모형
(1) 선형 모형(linear models) 타프(Tough) 노울즈
- 자기주도학습이 일정한 절차에 따라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고 보는 견해
- 타프(1979)도 자기주도학습을 개인의 학습과정으로 인식하고, 성인이라면 자신의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봄. 자기주도학습을 자기계획학습(self-planned learning)으로 명명하고 성인교육에서의 학습과정을 13단계로 제시
(2) 상호작용 모형- 게리슨(Garrison)
- 개리슨은 자기주도학습을 학습환경,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인지과정, 그리고 학습의 맥락 등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봄
- 협력적 구성주의관점에 입각하여 자기주도학습의 상호작용적인 모형을 제안. 153페이지〔그림 6-1〕 참조.
- 개리슨은 통합모형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이 의미 있고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ㆍ자기관리: 학습에 대한 자기 책임을 강조하는 의미
ㆍ자기점검: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적 및 메타 인지적 과정(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을 점검하는 능력과 관련
ㆍ동기유발: 학습자가 학습활동이나 과제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차원에 해당 등이 상호작용이 원활히 일어나야 한다고 봄
(3) 교수모형 - 그로(grow)
- 교수자가 교수활동과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신장시키는 데에 목적을 둠
- 그로(Grow)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4단계로 파악하고, SSDL모형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단계에 따라 교수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교육방법이 효과적인지를 보여 줌
<그로의 단계적 자기주도학습 모형>
단계
학습자
교수자
교수법
1
의존적(dependent) 학습자
권위자, 코치
구조화된 반복연습, 철저 한 개인교수
2
관심있(interested) 학습자
동기유발자, 안내자
강의, 교사주도의 토론, 시범, 구조화된 프로젝트
3
참여적(participatant)학습자
촉진자
동등한 참여자로서의 교수자와 함께 하는 세미나, 집단 프로젝트
4
고도의 자기주도적
(self-directed) 학습자
상담자, 조언자
인턴셉, 독립연구, 학습자주도의 토론, 연구논문
3. 자기주도 학습자의 특성
○ 자기주도학습자란?
- 오디(Oddi, 1986) 적극적으로 행위하고자 하는 욕구, 인지적 개방성, 그리고 학습에 대한 열정 등을 인성적 특성으로 밝힘
○ 자기주도학습자의 인성적 특성
첫째, 활동수행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 때문에 하게 된다는 내재적 동기가 강하다.
둘째,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갖고 있다.
셋째,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다.
넷째로, 스스로를 통제하여 충동에 의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독립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6.3.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유형과 교육적 기능
6.3.1. 개인지도 방식
1. 도제제도 - 개인지도 방식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기능전수에서 주로 활용, 인턴십이나 수습제도
2. 독립연구 -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특정 학습과제 수행을 위한 계약을 통해서 독립적으로 학습을 해나가는 방식
3. 계약학습 - 노울즈에 의해 최초로 소개 - 교육자, 멘토 혹은 상급자와 학습자 간의 합의로서 학습과제 수행을 완수하겠다는 하나의 약속
- 학습자가 학습내용, 학습방법, 학습평가기준 등을 상세화한 공식적인 합의서를 작성하여 학습자주도하에 학습을 실시하도록 하는 교육방법
6.3.2. 상담활용 방식 - 평생교육에서의 상담이란 개인이 문제해결을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체험을 가진 상담자로부터 조언과 지도를 받는 것
6.3.3. 매체활용 방식 - 매체는 학습자가 교수자와의 의사소통과정에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혹은 교수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 인쇄매체: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활용. 자신의 독서 속도와 능력에 맞게 학습속도 조절가능. 자아개발, 언어교육, 직업교육 분야
- 시청각 매체: VTR, Tape.. 언어, 음악, 건강, 요리등의 교육에 활용
- 방송매체: 라디오, TV 영향력, 침투성, 확산성, 속보성에서 뛰어난 효력
- 통신매체: Computer, internet 이용, 가상수업, Multi-media.
- 기타 : 평생학습시설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경우가 있음 예: 도서관, 박물관, 문화원, 문화 센터, 과학관, 전시장 등과 같은 문화시설
6.4. 개인중심 교육방법의 과제
○ 장점 : ① 학습자의 욕구와 특성을 반영 ② 개인에게 적합한 시간과 장소 활용 가능 ③ 독립성, 자율성을 갖고 자기주도적 학습
○ 단점 : ① 정보 획득이 용이하지 않다. ② 높은 자발성과 계획성, 강인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③ 학습계획에 차질을 가져오기 쉽다.
④ 자기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방법의 파악이 쉽지 않다. ⑤ 시행착오의 손실이 크다.
⑥ 전체적인 안목의 결여로 부분학습에 그칠 우려가 있다. ⑦ 집단적 상호작용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살릴 수 없다.
○ 평생교육 차원에서 노력해야 할 몇 가지 과제
첫째, 학습기회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해 주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인중심 교육방법이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개인학습이나 경험에 대한 사회적 인정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제 7장 평생교육방법 : 집단중심 교육방법
7.1.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기초
7.1.1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개념
○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개념
- 집단 내에서의 적극적인 상호학습을 통해서 공동체의식을 기르거나 과제를 해결하며 집단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교육방법
7.1.2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의의
○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장점
① 일시에 많은 교육이 가능함
② 집단효과 등을 통해 학습동기 유발이 용이함
③ 학습자 간 또는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친교와 만남을 통하여 정서적, 인격적 성숙에 보다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
④ 다양한 사고와 의견의 접촉을 통해 시야를 확대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과 생활태도를 쉽게 형성할 수 있음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부정적 효과
① 교육의 질보다 학습자 인원수 위주의 실적에 얽매일 수 있음
② 학습자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집단구성으로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음
③ 교육기관의 권위주의적이고 일방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비판적이고도 창의적인 사고를 방해할 수 있고, 나아가 민주적인 태도형성에 비효과적일 수 있음⇒ 그러므로 집단중심교육은 학습목표, 내용, 집단규모, 장점과 단점 등에 유의하면서 수행되어야 할 것임
7.2.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유형
○ 학자에 따른 집단중심 교육방법의 유형 (교재 170쪽 참고)
학자
교수기법
하위교수기법
Carton & Weston(1989)
교수자중심기법
강의, 질의, 시법
상호작용기법
학급토론, 토론집단, 집단과제, 동료에 의한 교수
개별화학습기법
프로그램 학습, 모듈학습, 컴퓨터학습
경험 학습
현장학습, 실험실방법, 역할극, 시뮬레이션 및 게임, 연습
Waldron & Moore(1991)
소규모 집단
강의, 브레인스토밍, 사례연구, 질의, 현장견학, 버즈그룹, 패널토의, 역할극, 세미나, 워크샵
대규모 집단
강의, 패널 토의, 회의, 심포지엄, 집단토의, 워크샵
7.2.1 강의식 교수방법
1. 개념 및 의의
○ 강의식 교수방법의 의의
<장점>
① 교수-학습 목적과 관련하여 사실적 정보나 지식 제공 및 특정 태도나 가치를 고취시키고자 할 때 효과적임
②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이 요구되는 내용의 경우에 효과적임
③ 강의는 교수자의 능력과 재량에 따라 융통성을 가지고 교수활동을 전개할 수 있음
④ 강의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함
<단점>
① 강의는 교수자 주도의 교수활동으로서 자칫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저해할 우려가 있음
② 개별학습자의 욕구와 특성을 고려할 여지가 많지 않음
③ 강의자가 자질과 능력 면에서 미흡한 경우 역기능적인 교수활동이 될 수 있음
2. 효과적인 강의를 위한 전략
① 강의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목표설정, 내용선정 및 조직화, 유용한 자료준비, 강의실의 물리적·심리적 환경구성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
② 강의를 실제로 전개할 때에는 친화관계, 주의집중, 화술 등에 유의해야 할 것
③ 본격적인 강의 진행과정에서는 이 같은 친화관계와 주의집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
④ 강의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을 때 중요사항을 복습·요약하거나 결론을 맺고, 새롭게 학습한 지식을 기존의 것과 연관시키거나 활용방법을 제시
7.2.2 토론식 교수방법
1. 토론식 수업의 개념 및 의의
○ 토론식 수업의 개념
- 토의는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이 무엇보다 강조되며, 정의적 태도의 변화나 고등사고능력의 함양에 적합하다.
○ 토론식 수업의 의의
- 민주주의를 실현함에 기본이 되는 참여적 시민성을 기르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음
2. 토론학습기법
(1) 세미나 (seminar)
- 소규모로 일정한 주제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인정받는 단체가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 5~30명 정도 모여 전문적인 훈련을 하는 상호작용식 토의
○ 장점
① 토의주제가 되고 있는 분야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전문연수의 기회를 제공
② 전문적이고 다양한 발표와 토의를 통해서 참석자들의 관심 및 흥미유발과 전문성 제고 효과
③ 집단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짐
○ 단점 - 해당분야와 관련하여 전문적 식견과 배경이 없는 사람들이 집단구성원인 경우에는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
(2) 버즈그룹 (buzz group)
- 버즈(buzz)는 벌이나 기계 등의 윙윙거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집단으로 구성된 학습자들이 왁자지껄하게 토의를 진행하는 방식
○ 장점
① 학습자, 즉 집단구성원 모두에게 직접토의에 참여할 기회가 제공되며 따라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음
② 전체집단이 논의할 대주제가 여러 개의 하위주제 또는 소주제로 나뉘어 토의됨으로 심층적이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짐
③ 역동적 상호작용을 경험함으로써 공동체의식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음
④ 비공식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의견이 개진 될 수 있음
⑤ 민주적인 의사결정능력을 기르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단점
① 다른 토의방식과 마찬가지로 토의진행과 학습효과가 사회자와 분과장의 능력에 따라 크게 좌우됨
② 몇몇 소수 학생들의 주도적·독점적 행위가 통제되지 않을 경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음
③ 침묵 속에 사고하기를 즐기는 학습자에게는 분과집단에서의 토의가 부담스럽고 학습에도 부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
(3)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 1941년 미국의 한 광고회사에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기 위해 사용한 기법
- 제기된 주제나 문제에 대해서 구성원의 자유발언을 통한 아이디어 제시를 요구하며 그러한 아이디어가 누적되는 가운데 새로운 발상을 도출해 내는 기법
○ 장점
① 모두의 아이디어가 똑같이 존중된다는 점에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기여함
② 어떤 제약이나 제한도 고려하지 않는 다양성과 창의성을 표출할 수 있는 열린 사고를 함양
③ 각자의 아이디어가 집단의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낼 수 있다는 점
○ 단점 - 제시된 아이디어의 약 10%만이 최종분석에서 유효하기 때문에 시간낭비가 심함
(4) 패널 (panel)
- 배심토의라고도 하며, 특정 주제에 대하여 의견을 달리하는 3~6명의 참가자들이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청중학습자 앞에서 토의하는 방식
○ 패널을 활용하는 경우
① 문제나 쟁점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키고자 하는 경우
② 문제나 쟁점을 확인하고 명료화하고자 하는 경우
③ 문제나 쟁점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해와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경우
○ 장점
① 토의되고 있는 문제나 쟁점과 관련하여 무엇이 문제이며, 왜 그것이 문제인지에 대해 보다 명확한 이해를 가능하게 함
② 다양한 관점을 접할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에 문제나 쟁점에 대한 총체적 안목을 기를 수 있음
③ 자신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 정립하고 합리적인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기할 수 있음
④ 전문적 식견을 지니지 않은 청중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함
⑤ 집단의 규모에 관계없이 활용 가능함
○ 단점
① 원만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유능한 사회자를 구하기가 쉽지 않음
② 능력과 경험이 부족한 패널 구성원이 참여할 경우 체계적이고 조직화된 학습보다는 오히려 산만해질 우려가 있음
③ 패널은 간접참여에 의한 학습이기 때문에 준비되지 않은 청중학습자의 경우 수동적 자세를 취하거나 흥미를 잃을 수 있음
(5) 청중반응 팀 (audience reaction team)
- 청중학습자 중에서 3~5명의 대표가 필요에 따라 연사의 발언을 중단시키고 질문하거나 자신들의 의견을 개진하면서 청중의 이해를 돕는 방식
○ 청중반응 팀이 활용될 수 있는 경우
① 학습자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나 문제가 다루어지는 경우
② 발표주제와 관련하여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쟁점이 될 만한 내용이 있는 경우
③ 집단의 규모가 너무 커서 모든 청중이 토의에 참여하기 어려운 경우
○ 장점
① 청중학습자들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학습효과를 제고할 수 있음
② 장황하고 중복되는 불필요한 발언이나 비효율적인 학습요인을 제거할 수 있음
③ 청중학습자에게 즉각적인 의사소통 기회와 피드백이 제공되기 때문에 학습욕구 진작과 학습효과를 제고할 수 있음
④ 발표자에게도 반성의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⑤ 학습자대표가 토의에 참여함으로써 청중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 및 참여를 진작시킴
○ 단점
① 발표자가 이 방법의 사용에 동의할 경우에만 활용 가능함
② 발표자의 발언이 수시로 중단되기 때문에 체계성을 잃거나 발표자의 감정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음
③ 학습자대표가 너무 자기 과시적이거나 소심한 경우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 따라서 청중반응 팀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회자, 발표자, 학습자대표들이 자신들의 역할과 자세를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함
(6) 대담토의 (colloquy)
- 보통 6~8명으로 구성되는데 3~4명의 학습자대표, 3~4명의 전문가나 자원인사, 그리고 1명의 사회자에 의해서 운영
- 패널과 다른 점 :학습자대표와 외부전문가가 대등한 수로 구성된다는 점, 학습자대표나 청중학습자들이 직접 토의에 참여하여 쌍방 의사교환을 함
○ 장점
① 학습자들의 직접적인 참여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동기와 흥미 및 참여를 제고할 수 있음
② 전문가의 다양한 관점과 의견을 접할 수 있음
③ 토의주제와 관련된 학습자 자신들의 의문점과 문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결함
④ 사회자의 진행능력에 따라 상당한 융통성이 발휘될 수 있다는 점
○ 단점
① 어느 토의방식에서나 존재하는 것처럼 유능한 사회자를 구하기가 쉽지 않음
② 학습자대표나 청중학습자들이 자원인사에게 핵심적인 질문을 할 능력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음
⇒ 따라서 사회자의 진행능력은 대담토의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 요건
(7) 포럼 (forum)
- 약 25명 이상의 집단구성원과 1명 이상의 전문가나 자원인사가 사회자의 진행 하에 대체로 15~60분 동안 공개적으로 토의를 진행하는 방식
- 특징: 발표자인 전문가나 자원인사에게 학습자들이 질의응답하고 의견을 개진하며 직접적으로 토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학습한다는 점
○ 장점
① 학습자들이 직접 토의에 참여할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토의주제나 문제에 대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탐구하는 자세를 갖게 됨
② 포럼은 학습자들의 질의와 의견을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들의 욕구와 필요를 반영할 수 있음
③ 학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집단적 지혜를 구할 수 있음
④ 학습자들의 질문과 의견개진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함
○ 단점
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유능한 사회자를 구하기가 쉽지 않음
② 다수의 학습자들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가나 자원인사가 필요하지만 그런 인사를 물색한다는 것 또한 쉽지 않음
③ 바람직한 토의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의 경우 아무 때나 끼어들거나 발언을 독점하려 하는 등 효율적인 진행에 지장을 줄 수 있음
④ 학습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 개인별로 충분한 발언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움
⑤ 토의주제나 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는 학습자의 경우 참여기회를 제공하기 어려움
7.2.3 경험학습 기법
경험학습이란 행동을 직접 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지식적 측면의 변화뿐만 아니라 태도나 가치관, 나아가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기법으로, 학습자들이 몸소 체험하여 느끼도록 하는 교육방법이다.
1. 역할극 (role playing)
- 연기를 통해 타인의 역할을 경험해 봄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돕는 교수-학습 방법
○ 역할극의 절차
① 문제 파악 ⇒ ② 상황 설정 ⇒ ③ 사전 준비 ⇒ ④ 배역 결정 ⇒ ⑤ 실연 준비 ⇒ ⑥ 역할극 실시 ⇒ ⑦ 토의 및 지도
○ 장점
① 세상을 다양한 시각에서 볼 수 있는 안목이 길러진다는 것
② 집단구성원이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서로 간에 대화가 깊어지는 등 결속감을 높임
③ 다루어진 문제에 대해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집단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도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음
④ 자신의 감정이나 신념을 자유로이 표출함으로써 심리적 억압을 해소할 수 있음
○ 단점
① 실제 연출을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이 요구된다는 점
②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
③ 연기가 너무 서툴게 수행될 경우에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
④ 교육효과를 정확히 예측하거나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2. 감수성 훈련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개발하여 감수성 훈련이란 명칭으로 사용
- 허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훈련방법
○ 감수성 훈련의 목적과 특징
목 적
- 유능한 지도력을 발휘하기 위한 대인 이해력을 경험하고 개발함
- 공감적 인간관계에 대한 체험학습을 통해 자기를 깊이 이해함
- 체험학습 및 통찰발견과 결부된 사회학적 근거, 이론학습과 그것에 합치하는 효과적이고 유연한 훈련 실천방식을 실험적으로 연구하는데 적합함
특 징
- 프로그램 진행 중 일어나는 대인관계 속에서의 정신적인 갈등, 대립 등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갈등의 해결이나 대인관계의 경험을 통해 자기통찰, 감수성의 개발이 촉진되고, 상황에 적합한 태도, 행동을 취하는 등 되도록 본인의 능력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함
- 관리자층 훈련에 적합하지만, 경험이 풍부한 전문적 트레이너가 필요
방 법
- 훈련기간은 2-3주간의 합숙훈련으로 이루어짐
- 최소 필요한 시간은 1주일 정도임
- 훈련장소는 사회생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리적, 심리적으로 차단된 환경을 택함. 훈련장소로 '문화적 고독'이라고 불리는 장소를 선택하는 이유는 인간은 심리적, 사회적으로 고립될 때 비로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토로하고 가면을 벗길 수 있다고 이해하기 때문임
- 훈련내용으로는 T-group, 실험집단 등이 있음
3. 현장견학 (field trips)
- 학습자집단이 직접적인 관찰과 탐구를 통한 학습을 위해서 필요한 대상이나 장소를 방문하는 방식
○ 현장견학이 활용되는 경우
① 학습자집단이 평소에 쉽게 접할 수 없는 대상이나 장소로서 학습을 위해서 직접적인 관찰과 탐구가 요구되는 경우
② 조작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상황 속에서의 관찰이나 검증이 필요한 경우
③ 탐구할 필요가 있는 문제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자 할 경우
④ 이론과 실제를 확인하거나 이론의 적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 장점
① 직접경험의 기회를 통해서 자기주도적으로 살아있는 학습을 가능케 함
② 교수자, 동료학습자, 때로는 안내자와 함께 관찰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관찰과 이해 및 해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됨
③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서 문제의식이 제고되고 이해의 폭이 넓어질 수 있음
④ 다소의 오락적·유희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진행과정에서 학습자 상호간의 친근감을 높여 줌
○ 단점
① 사전에 충분한 계획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초점 없는 오락여행으로 그칠 우려가 있음
② 학습이 특정 견학 대상이나 장소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경향이 있음
③ 육체적 장애로 여행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음
④ 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함
제 8장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
8.1.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개념과 의의
- 교육은 지역이라는 물리적 기반 위에서 구성원들이 진행하는 활동으로, 지역에 대한 교육일 수도 있고 지역사회 자체를 위한 교육일 수도 있음
- 프레이리는 민중해방교육론에 기초하여 지역중심 교육이나 지역중심 성인교육은 지역사회에서의 경제개발, 주택재건, 보건사업, 직업훈련, 성인문해, 계속교육을 포함하는 교육활동이라고 정의
○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방법적 특징
① 가급적 학교와 같은 공공기관을 이용한다. ② 나이, 소득, 종족에 상관없이 지역민 모두를 교육에 참여시킨다.
③ 모든 지역민들의 요구와 문제들을 교육에 반영해야 한다. ④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 간의 협조체제와 연계를 마련해야 한다.
⑤ 재원을 지역에서 공동으로 마련하여 교육을 실시한다.
○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사례 : 외국의 사례
① 1926년 설립된 미국성인교육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Adult Education)와 그 계승조직으로 1953년에 설립된 성인교육협회(Adult Education Association) → 지역사회의 문제해결, 지역사회 발전,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민주적 습관형성을 성인교육의 사명으로 강조
② 캐나다의 경우에도 해외에서 이주한 주민들에게 캐나다 인으로서의 정체감을 형성시켜 주기 위한 시민교육
→ 성인교육의 일환으로서 각 대학에서 확장교육(agricultural extension)의 형태로 이루어짐
○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사례 : 우리나라의 사례
① 1970년대부터 국가주도적이긴 했지만 지역사회개발과 주민의 공동체의식 함양에 초점을 둔 새마을운동을 지역사회중심 교육의 대표적 유형
② 각 지방의 문화원이나 문화학교들도 지역중심의 평생교육사례
- 최근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은 1) 변화하는 사회의 교육적 요구, 2) 교육체제의 변화, 3) 지방자치시대의 도래와 함께 그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8.2.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유형과 교육적 기능
8.2.1 프레이리의 민중교육 모형
1. 민중교육의 목적
- 프레이리는 사회현실에 대한 지배자들의 논리가 피지배자들에게 강요됨으로써 피지배자들은 왜곡된 현실인식을 갖게 된다고 주장
- 프레이리는 과거의 학교교육은 '은행예금식 교육(banking education)'이라 비판하고 비판적 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음.
- 프레이리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지역사회중심 교육을 강조. 발생적 주제(generative themes) 파악, 주제탐구활동(thematic investigation circle), 문화활동(culture circle)이라는 세 단계에 따른 교육을 제안. 그 과정에서 대화(dialogue)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것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됨.
3. 민중교육의 의의
- 민중교육모형은 너무 정치적이고 세상을 갈등론적으로만 파악한다는 약점이 있기는 하지만, 지역사회에서의 평생교육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함
글을 알게 함으로써 주민들의 의식을 깨우치게 함
⇓
대화식 교육을 통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은지역사회의 갈등과 문제를 찾아내고,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
⇓⇓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발전과 민주주의의 실현에 기여하게 될 것임
8.2.2 스웨덴의 학습동아리 (study circle)
1. 학습동아리의 역사와 특징
○ 학습동아리의 역사
- ‘학습동아리(study circle)’는 스웨덴의 대표적인 학습공동체로서 1902년 오스카 올슨(Oscar Olsson)에 의해 창시 됨. 그는 성인교육이 성공,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이 학습자 자신들에 의해 조직되고 지지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가 있어야 한다고 믿음 →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기구로 ‘스터디 서클’을 조직
- 스웨덴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스터디 써클을 장려함으로써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학습을 통해 민주시민사회를 정착시킴
- 학습동아리는 20세기 초 룬트 대학에서 최초로 등장, 이후 주로 노동자들의 계발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사용되다가 점차 지역사회 주민들을 위한 민주적 교육방법으로 인식·조직되어 계속 발전
○ 학습동아리의 특징
- 구성원들 내의 공동체 의식을 중요시하며, 구성원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학습적 요구를 수렴하여 자신들이 선택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학습
- 성원들의 능동적인 참여이며 자기주도적 학습
- 소집단 토의를 통해 대면적 접촉과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함
- 학습내용은 어학, 예술, 사회 등 다양하나 주로 시민교육과 관련된 과목 중심
- 교사가 아닌 동아리의 리더가 이끌며, 리더들은 협회 등에서 교육을 받음
→ 스웨덴의 성인학교협회(Adult Schools Association)에서는 국민대학(Folk high school)과 연계하여 1년에 600여 개의 강좌를 학습동아리 리더들을 위해 개설함. 강좌내용으로는 집단심리, 성인교육, 교육방법 등이 있으며, 장애자들을 위한 특별훈련도 제공됨
2. 학습동아리의 기본원칙
- 학습동아리의 학습원리는 성인교육의 원칙에 입각하여 학습자중심의 민주적․참여적 교육을 기본원리로 삼으며,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통찰력과 이해력, 기술교육을 강조함
- 학습동아리의 기본원칙
① 평등과 민주주의의 원칙(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democracy)
② 해방의 원칙(The principle of liberation)
③ 협동심과 동료애의 원칙(The principle of cooperation and companionship)
④ 동아리 운영의 자유와 목표설정의 권리(The principle of the freedom of the study circle and its right to set its objective)
⑤ 연속성과 계획성의 원칙(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planning)
⑥ 적극적 참여의 원칙(The principle of active participation)
⑦ 학습자료 준비의 원칙(The principle of printed study material)
⑧ 변화와 행동의 원칙(The principle of change and action)
3. 학습동아리의 운영방식
① 테마 중심 접근방식 - 한 주제에 관해 책을 읽고 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하거나 글을 통해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
② 코스 중심 접근방식 - 구체적인 계획하에 하나의 과정을 끝낼 수 있도록 연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행
③ 토론중심 접근방식 - 자신의 입장을 민주적 절차를 통해 주장하고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들의 견해를 듣고 문제를 해결해 가는 방식
④ 연구중심 접근방식- 한 연구주제를 설정하여 구성원들이 함께 문헌연구도 하고 현장조사도 하면서 문제해결을 도출해 가는 방법
8.2.3 덴마크의 국민대학 (Folk High School)
1. 국민대학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 국민대학의 역사적 배경
- 국민대학의 사상적 기초 : 그룬트비히(Grundtvig)의 의식개혁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음
- 1844년 콜드(Kold)에 의해 실제로 국민대학이 처음으로 설립됨
- 서민 출신이었던 콜드는 농민들을 위한 교육시설로 국민대학을 세움. 국민대학은 주로 농한기인 겨울철에 농민들의 자녀들을 교육시켰음
- 이후에도 그들의 제자들은 농촌지역사회에 들어가 ‘마을공동의 집’, ‘조합체’, ‘기숙제 국민대학’을 설립함
○ 그룬트비히의 교육사상
① 교육의 목적을 삶의 계몽으로 파악
② 학교는 삶을 위한 학교가 되어야 한다는 것
③ 살아있는 말의 중요성을 강조 (살아있는 말이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모국어이자 문자가 아닌 입으로 전해지는 말을 의미)
④ 교육의 내용과 대상에 있어 국민평등을 강조
⑤ 교육적 인간관계에 있어 살아있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
○ 국민대학의 특징
① 기숙제 교육기관이라는 점 ②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다는 점 ③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향상을 교육목적으로 삼고 있다는 점
2. 국민대학의 현황 및 운영방식
○ 국민대학의 운영방식
- 교육목적 : 학생들로 그들 나라의 역사, 예술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하며 시민으로서의 민주적 책임감을 고취시킨다는 공통적인 교육목적
- 주요 교과 : 덴마크 역사와 문학, 수학이나 외국어(주로 영어와 독어), 사회과학(주로 심리학, 사회학, 세계문제).자연과학 등
- 학습방법 : 학습동아리(study circle), 토론, 강연, 자기주도적 학습, 연구과제(project work), 현장학습, 집단작업 등이 사용됨
- 종류 : 전통적인 국민대학 외에 다양한 형식과 특수한 목적을 가진 다양한 대학이 있음
3. 국민대학의 평생교육적 의의
- 국민대학운동은 농촌생활의 향상을 가져다 준 역사적인 범국민운동
- 인간의 내면적 교육인 인간교육, 정서교육 그리고 전인교육을 강조하였다는 것
- 덴마크의 국민대학은 북유럽 3국에 전파되어 엄청난 파급효과
→ 유럽을 대표하는 평생교육기관이 되었으며,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도 이와 유사한 지역기반 사회교육기관의 모델이 됨
○ 국민대학이 각국에 영향을 미친 이유
① 농촌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났다는 점
② 지도자들의 희생정신이 있었기 때문
③ 국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있었기 때문
8.2.4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
1. 새마을운동의 역사와 특징
○ 새마을 운동의 역사와 의의
- 1970년 무렵 절대빈곤을 극복하기 위해 근면, 자조, 협동 정신을 기반으로 한 실천적 성격의 ‘잘살기 운동’이라 할 수 있음
- 그러나 그 본질은 애향심을 기초로 한 '지역사회개발운동', 정신계발을 중요시하는 '의식개혁운동',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한 '국민운동'이었음.
○ 새마을운동의 특징과 의미:
첫째, 빈곤에서 탈출하고자 시도된 총체적인 '국가개발운동'이었다.
둘째, 한국사회의 근대성 확립에 기여한 '정신계발운동' 이었다.
셋째, '지역사회개발운동'이었으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농촌사회 부흥 및 각종 사회문제 해소에 기여하였다.
넷째, 하나의 '국민통합운동'이었다.
다섯째, 한국사회 고유의 공동체 의식과 가치를 계승하고 사회구성원 모두의 삶을 향상시킨 '공동체운동'이었다.
2. 새마을운동의 발전과정
○ 1단계 : 기초작업 시기 (1970~1973) - 생활여건을 위한 활동이었다는 것이 특징
- 과제로는 내부도로 확충, 생활조건 향상을 위한 세탁시설, 농로확충, 농가의 수입증대를 위한 농토와 씨앗 품종개발 등을 선정
○ 2단계 : 자조발전 단계 (1974~1976) - 사업의 범위와 영역이 확대되면서 새마을교육이 높은 관심을 갖게 되는 시기
- 높은 관심과 더불어 새마을교육이 강화되었으며, 주민들이 농가의 수입을 올리는 일을 하도록 장려
○ 3단계 : 정신적 계몽시기 (1977~1979)- 계몽운동 프로그램은 2단계 이후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음
- 새마을운동의 세 가지 정신, 즉 근면, 자조, 협동과 더불어 "나는 할 수 있다."는 정신이 주입
○ 4단계 : 진단시기 (1980~1989) -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로 인해 사회·정치적인 혼란 속에서 체제를 재정비하는 시기
- 행정기구가 축소, 폐지됨에 따라 민간주도체제로 전환되었다는 것이 특징
○ 5단계 : 자치성장 시기 (1990~1998) - 농촌과 도시의 교류 등을 통한 경제회복 및 경제안정이 중심
- 새마을운동이 국제적으로 확산이 되는 시기인 동시에 외환 위기를 겪게 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업에 주력
- 전통문화 발전과 건전한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하면서 건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함
○ 6단계 : 제2차 새마을운동의 시기 (1999~현재) 정신 개조 : 도덕성과 시민정신 구축, 생활환경 향상 : 농촌경제 활성과 생활환경 보호,
- 사회 안전 : 불우이웃돕기이며, 도덕성을 촉진하고 정신을 개혁하는 것, 온정 있는 지역사회를 구축하고, 국제협력사업을 강화시키는 것
3. 새마을운동의 의의와 발전과제
○ 새마을운동의 의의 (최영출, 2008)
첫째, 지도자의 리더십으로 지역주민들을 정신적으로 재무장하게 하고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가치를 통해 공동체적 가치관을 심어 주었다.
둘째, 경제적인 자생능력을 교육시킴으로써 자립심과 협동심을 갖게 하였고 소득증대사업을 통해 지역사회개발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 품격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정신'을 강조하여 남에 대한 배려, 신뢰와 같은 사회자본을 구축했다.
○ 새마을운동의 발전과제
첫째, 정부에서도 전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과 조치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
둘째, 프로그램도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야 할 것
셋째, 시대변화에 걸맞은 새마을운동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
8.3.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과제
○ 시민성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육방법의 과제
- 지역평생교육은 지역주민과 지역사회 모두를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성인교육방법
- 지역사회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시민성 함양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
- 특히 오늘날은 지방화와 세계화가 동시적으로 일어나므로 주민성, 국민성, 세계민성으로 구성되는 다중시민성(multiple citizenship)이 요구됨
첫째 지역사회의 공공의사 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과 동시에 세계의 관심사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함
둘째, 지역·국가·세계에 대해 동시에 순기능적으로 작용하는 공동체의식을 갖추어야 함
셋째, 타 지역 및 외국에 대하여 관용과 개방의 자세를 견지해야 함
넷째, 민주적 의사결정 태도가 갖추어져 있어야 함
○ 시민의식 함양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과제
첫째, 지역 평생교육전문가 양성과 활용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있어야 할 것
둘째,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과 관련하여 지방화·세계화 시대가 요구하는 시민성 함양에 보다 많은 관심이 두어져야 할 것
셋째, 다양한 평생교육시설과의 확충과 연계가 요구
제 9장 평생교육매체
9.1. 매체의 개념과 필요성
9.1.1 매체와 교수매체의 개념
9.1.2. 매체활용의 필요성과 목적
○ 매체활용의 필요성
① 학교교육의 대중화로 학생수가 급증, 학습자의 욕구와 특성이 다양화되어 전통적인 의사소통 방법만으로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에 한계가 있음
② 정보와 지식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가르쳐야 할 내용이 많아짐
③ 탐구학습의 강조와 함께 새롭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요구됨
④ 방송, 통신매체의 발달로 인해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다양한 교수법이 요구됨
○ 매체활용의 목적
① 학습동기유발과 학습에의 능동적 참여를 제고하고자 함
② 학습자들에게 보다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함
③ 교수-학습 매체의 활용을 통하여 이해력과 통찰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둠
9.2. 교수매체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원칙
9.2.1. 교수매체의 역할과 의의
○ 교수매체의 역할
① 교수활동의 표준화 - 동일한 형태의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개인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업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음
② 교수-학습의 효과성 향상 - 직접적 경험이나 영상적인 표현이 언어와 같은 상징물보다 더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고 이해하기 쉬움
③ 교수-학습의 효율성 향상 - 다양한 감각기관을 자극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빠른 시간에 제시할 수 있음
④ 교수-학습의 질 제고 및 매력성 향상 - 시청각 매체를 이용하면 학습자들의 주의와 흥미를 유도하는 데 더 효과적
⑤ 학습자가 필요한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학습 가능 - 학습자는 언제든지 자신이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을 할 수 있음
⑥ 교사의 역할 변화 - 교사는 수업의 다른 부분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할 수 있음
○ 매체활용의 교육적 의의
① 시청각자료는 학습자에게 구체적인 경험을 주므로 학습의 다양성과 능률화를 도모할 수 있음
② 시청각자료는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므로 자발적인 학습활동을 자극시키며, 학습결과의 지속성을 기할 수 있음
③ 시청각자료는 정확한 사고와 그 발전을 도와 줌
④ 시청각자료는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의 형성에 공헌하여 올바른 현대사회에의 적응을 도와 줌
9.2.2. 매체활용의 원칙과 준거
○ 코메니우스(Comenius)의 시청각교육을 위한 세 가지 교수원리
① 교과서는 쉬운 내용부터 어려운 내용으로 단계적으로 구성해야 하며 직관적인 회화자료와 함께 가르쳐야 함
② 교육내용은 구두로 제시하기 전에 구체적인 시각적 자료를 먼저 제시해야 함
③ 교수과정에서는 먼저 실물을 다루고 난 후에 언어적 설명을 제공해야 함
○ 활용 매체 선정준거
① 매체의 적합성: 교수학습목표 및 내용, 학습자의 욕구와 특성을 고려해야 함
② 경제성: 매체 자체의 비용뿐만 아니라 투입된 시간과 노력에 따른 학습효과도 고려해야 함
③ 활용가능성: 매체구비의 가능성 및 조작 가능성 고려
④ 매체의 양호성: 매체의 내용과 품질상태 검토
9.3. 교수매체의 유형과 교육적 기능
○ 매체의 특성
- 고정성: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재생가능하며, 복잡한 과정도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재생할 수 있음
- 조작성: 특별한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사물이나 사실을 조작하여 가시화할 수 있음
- 확충성: 동시에 많은 학습자들에게 정보 및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9.3.1. 매치의 유형 및 활용상 유의점
○ 매체의 유형 및 특징
분 류
종 류
특 징
인쇄매체
서적, 잡지, 신문
가독성과 보존성을 가지며 반복학습이 가능,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
시각매체
비투사매체
실물, 모형, 차트, 사진, 그래프, 포스트,만화
광학적/ 전기적 투사방법을 사용하지 않음
투사매체
슬라이드, OHP, 실물화상기
광학적/전기적 투사방법을 사용함
청각매체
라디오, 녹음기, 전축
청각적인 정보를 전달
시청각매체
VTR, 영화, 텔레비전
시각과 청각적 정보를 동시에 활용함
상호작용매체
CAI, 상호작용 비디오, 멀티미디어, 쌍방향 TV
컴퓨터가 기본, 학습자와 상호작용 가능
9.3.2. 매체활용 교육
1. 인터넷 (Internet)
○ 정보화 사회와 인터넷 활용교육
- 정보화 사회는 정보 처리 및 활용 능력,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협력에 의한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인 의사결정 능력 등을 요구하며, 교육은 그것을 충족시켜야 할 책무를 가지고 있음
○ 인터넷 활용교육의 특성
① 학습자가 자기주도하에 독립적, 자율적으로 학습하며 의미를 구성해 가도록 도움
② 언제 어디에서든지 필요한 학습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해 줌
③ 다양한 정보를 수집,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정보처리 및 활용 능력과 고등사고능력이 배양될 수 있음
④ 인터넷상에서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
⑤ 참여자들과 함께 토의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학습이 가능함
⑥ 열린 학습 환경 속에서 다양한 배경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접촉함으로써 편견과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 열린 사고를 가능하게 함
⑦ 다양한 게임이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학습 그 자체를 즐길 수 있게 해 줌
2. 멀티미디어 (multimedia)
- 멀티미디어란 문자, 그림, 사진, 영상, 애니메이션, 음향, 음악, 출판 등이 컴퓨터를 중심으로 디지털 방식에 의해서 통합된 매체로서,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복합 다중매체를 의미함
- 예로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상호작용적 비디오디스크(interactive videodisk), CD-ROM 등이 있음
○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장점
①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학습이 가능 - 청소년 및 성인들에게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이 가능하게 해줌
② 열린 학습환경 제공 - 세계로부터 가져올 수 있는 풍부한 정보와 자료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함
③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 - 컴퓨터만 있으면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음
④ 상호작용이 가능한 학습 - 상호작용을 통해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을 극복할 수 있음
3. 컴퓨터 보조 수업 (CAI)(CAI :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컴퓨터 보조수업은 컴퓨터를 직접 수업매체로 활용하여 지식, 태도, 기능 등의 교과내용을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수업방법임
○ CAI의 장점
① 개별적인 수업이 가능함
② 학습자에게 흥미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해 줌
③ 상호작용적이다. 컴퓨터는 학습자의 반응과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며 반응에 대한 피드백과 함께 오답에 대해서도 응답을 할 수 있음
④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수 있음
○ CAI의 단점
① 다른 매체에 비해서 하드웨어에 소요되는 비용이 많음
② 개발된 코스웨어(CAI 프로그램)는 질, 양, 다양성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고, 코스웨어 개발에 노력, 시간, 경비가 많이 소요됨
○ 코스웨어 구성방법 및 특징
① 반복연습형(drill and practice mode) - 이미 습득한 지식이나 기능을 반복연습하게 하여 정규수업을 보충강화하기 위한 것
② 개인교수형(tutorial mode) - 사실적 정보의 제공, 교사가 정규수업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음
③ 시뮬레이션 형(simulation mode) -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컴퓨터로 모의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갖도록 함
④ 교수 게임 형(instructional game mode) - 경쟁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승자와 패자를 구분하는 것이 특징 이미 습득한 지식, 강화 함
⑤ 발견학습형(discovery mode) - 학습자에게 스스로 원리를 발견하도록 하는 과정중심의 학습형태
⑥ 시험형(testing mode) - 학습자의 성취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자의 선수능력 정도 및 학습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음
9.3.3. 교수매체의 선정 준거 및 고려 사항 레이저(Reiser)와 가네(Gagne)
1. 교육적 요소 - 교수학습이 전개되는 과정과 관련된 학습자, 학습목표, 학습상황, 교육장면 등을 말함.
- 이때 고려해야 할 점
① 매체가 학습자 유형에 따라서 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한 매체를 확인해야만 함
② 학습의 유형을 고려하여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함
③ 각각의 상황에 맞게 매체를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함
④ 교육장면은 교수학습이 전개되는 장소, 인원을 고려하여 매체를 선택해야 함
2. 물리적 요소 - 매체마다 특성이 있어 교육내용과 학습상황에 적절하게 매체의 물리적 속성을 고려하여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함
3. 실용적 요소 - 실용적 요소란 매체를 구입하거나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과 기계의 활용과 같은 실용적인 요인을 매체선정 과정에 고려
제 10장 평생교육자료 개발
10.1. 평생교육자료 개발의 이해
10.1.1 평생교육자료의 개념과 실제
○ 학교교육자료와 평생교육자료의 차이점
- 평생교육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평생교육사가 제작한 교재가 교육자료이고 주교재임
○ 평생교육자료의 개념
- 평생교육자료란 교육내용과 교육매체가 통합된 물리적 실체를 의미함
교육내용
+
교육매체
=
평생교육자료
체계화된
지식과 정보
매체특성별
문서화/시각화
청각화/영상화
교육내용과 교육매체가 통합된 물리적 실체
○ 평생교육자료의 예
- 인쇄자료 : 교수학습요목, 강의자료집, 행사자료집, 교육 워크북, 워크샵 자료집, 교육 매뉴얼, 차트, 교육 마스터플랜 등
- 청각자료 : 해설 및 설명과 강사의 음성이 수록된 카세트 테이프 등
- 시각화자료 : 슬라이드 필름, 사진, 모형물, OHP TP용지, 파워포인트 자료
- 동영상자료 : 비디오 테이프, 캠코더 테이프, 원격 동영상 등
10.1.2 평생교육자료 개발의 개념과 유용성
○ 평생교육자료 개발의 개념
- 평생교육의 현장에서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교육매체 제작을 포함하는 개념
○ 평생교육자료의 유용성
① 교수-학습 과정이 표준화 될 수 있음. - 체계화된 교육내용에 의해 표준화된 교수-학습 과정이 전개
② 교수-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음 - 학습내용을 의미 있게 잘 조직하고 피드백, 강화를 제공해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
③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다양한 감각기관을 자극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빠른 시간에 제시함
④ 교수-학습의 매력성을 높일 수 있음 -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하고, 주의를 집중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
10.2. 교육자료의 유형 및 자료 개발의 원리
10.2.1 교육자료의 유형
○ 매체의 종류
① 인쇄매체 - 평생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쉽게 활용되고 있는 매체
- 제작이 용이하고 별도의 장치나 작동이 필요하지 않음
- 차트, 워크북, 매뉴얼, 자료집, 지침서 등이 포함
② OHP매체 - 투시물 환등기인 OHP에 TP용지를 투사시켜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매체
- TP용지에 교육내용을 축약시켜 간략히 제시하는 방법으로 평생교육 현장에서도 일반화되어 있음
③ 컴퓨터 프로젝션 -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인 파워포인트, 그리고 빔프로젝트를 통합시켜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방법
④ 비디오 - 교육장면을 실시간 촬영하여 동영상자료로 제작한 교육자료
⑤ WBI - 사이버상에서 교수-학습의 상황을 전개하기 위해 적용되는 교육매체개발의 유형으로 최근 사이버 교육, 혹은 e-learning으로 각광
10.2.2 교육자료 개발의 원리 (내용, 표현, 설계)
○ 내용 - 교육자료로서의 가치를 판단하는 출발점이며, 내용과 관련된 원리에는 적절성, 정확성, 완전성이 있음
○ 표현 - 교육내용을 학습자에게 언어적·시각적으로 보다 잘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
○ 설계 - 교육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학습방법을 구상하여 연계시키는 방식으로 다음의 열 가지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좋음
10.3. 평생교육자료 개발의 과정
10.3.1 평생교육자료 개발 모델
○ ASSURE 모델
- 하이니히 등이 고안한 것으로, 교육내용과 교육매체를 통합시켜 교육매체로 개발하는 데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
- 효과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보증(assure)한다는 의미도 내포함
○ ASSURE의 단계
A 학습자 분석(Analyze learners)
-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함
-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선수지식의 정도, 학습양식 등을 파악
S 목표 설정과 진술(State objectives)
- 교육 후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을 진술해야 함
- 학습자가 획득하게 될 학습경험과 지식을 위주로 명시해야 함
S 교육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정
(Select methods, media and aterials)
-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획득하게 될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적합한 방법과 매체, 그리고 자료를 선정하는 단계
U 매체와 자료의 활용
(Utilize media and materials)
- 교육방법을 전개하기 위해 선택된 매체와 자료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는 단계
R 학습자 참여 촉진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 학습자가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유도
- 학습자의 반응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
E 평가와 수정(Evaluation and revise)
- 교육 종료 후, 학습자의 목표달성 여부, 매체와 교수방법,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실시
10.3.2 평생교육자료 개발의 전개과정 ASSURE 모형에서 제시된 과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자 분석
-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파악
- 학습자의 선수지식 및 경험의 정도 파악
- 학습자의 학습양식 파악. 학습양식과 관련된 변인들은 다음과 같다.
① 지각적 선호와 강점 - 학습자는 자신들이 즐겨 사용하고, 잘 적응된 다양한 감각적 통로를 가지고 있음
② 정보처리 습관 - 구체적 계열적 학습자, 구체적 무선적 학습자, 추상적 계열적 학습자, 추상적 무선적 학습자 등 으로 분류
③ 동기적 요소 - 학습자가 무엇에 주의를 기울이고, 어떤 느낌이 학습으로 간주되는지에 관한 다양한 정서적 요소를 포함
④ 생리적 요소 - 성별, 건강, 환경조건과 관련된 요인으로 학습효과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
2. 목표 설정과 진술
- 학습목표를 진술하는 과정은 목표진술 방식의 선정, 학습주체의 명시, 학습내용의 선정, 동작동사의 선정, 도달점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 성취 수용 수준의 결정으로 요약
3. 교육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택
- 교육방법 선택 : 주어진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과제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결정
- 매체유형 선택 : 교육방법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적당한 매체유형을 선택
- 이용 가능한 자료 선택 : 이미 만들어져 있거나 이용 가능한 자료를 선택. 만일 도움을 받을 만한 자료가 없을 때에는 기존 자료를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음.
4. 매체와 자료의 활용 - 효과적으로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정이 필요함
① 자료에 대한 사전검토 : 자료가 학습자의 특성과 목표에 적당한지에 대해 검토
② 자료 준비하기 : 교수자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자료와 기자재를 준비
③ 환경준비하기 : 학습자들의 매체와 자료 사용에 알맞은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야 함
④ 학습자 준비시키기 : 학습자가 그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 준비되어 있는지가 중요
⑤ 학습경험 제공하기 : 교수자중심 교육장면과 학습자중심 교육장면에 따라 적절한 방법과 자료를 통해 학습경험을 제공
5. 학습자 참여 촉진 - 학습자의 반응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반응이 강화될 수 있도록 배려
6. 평가와 수정 - 교육 종료 후 학습자의 목표달성 여부, 매체와 교수방법,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를 실시
10.4. 평생교육자료 개발의 방법 및 활용
10.4.1 인쇄자료 개발의 방법 및 활용
1. 인쇄자료 개발의 지침
(1) 자료수집 - 기존자료를 이용하거나 새롭게 자료를 만드는 과정, 수집된 원고를 교육의도에 맞게 조절하는 것도 포함
(2) 배경과 중심 패턴 정하기 - 페이지 여백을 충분히 준다. 여백이 적고 문자가 꽉 차면 읽기 어렵다. 무난한 색을 사용한다.
(3) 확인 및 수정 - 줄 간격이나 글자 간격을 조정한다. 주제목과 하위제목을 반드시 확인한다.
2. 인쇄자료 활용 - 인쇄자료 활용 시 중요한 원칙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
- SQ3R : 학습자들이 잘 학습할 수 있는 방법
① (S)개괄 파악하기(survey) : 학습자들이 인쇄자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요약
② (Q)질문하기(question) : 학습자들이 인쇄자료를 읽으며 생기는 의문을 적어봄
③ (R)읽기(read) : 질문단계의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게 함
④ (R)낭독하기(recite) : 학습자들이 자신의 언어로 읽은 내용을 말해보고 기억함
⑤ (R)복습하기(review) : 학습자들이 인쇄자료를 다시 한 번 살펴보도록 함
10.4.2 시청각교육자료 개발방법
1. 개발의 필요성 재확인 - 개발에 착수하기 전에 정말 직접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
2. 사항의 구체화
① 프로그램에 들어가야 할 교육내용을 선정
② 프로그램의 유형과 형식을 결정
③ 선정된 내용들을 독서 카드나 포스트잇에 써서 칠판에 붙여 가며 대강의 순서를 결정
④ 전체 줄거리, 선정된 학습목표, 프로그램의 유형 및 형식에 맞는지 확인
⑤ 내용이 정리된 독서 카드 중에서 직접 찍어야 할 부분은 어느 것들이고 다른 그림 등에서 따오거나 복사할 수 있는 부분을 확인
3. 스토리보드 작성
- 시청각자료로 개발할 대상과 내용에 대한 해석과 설명을 위한 나래이션을 작성
- 가능하면 언어적 표현은 줄이고 시각적 표현이 우선하도록 하되, 사용 가능한 대상, 인물, 세트, 장비, 기간, 계절 등을 고려
4. 촬영준비 - 비디오테이프 트랙킹, 배터리의 준비, 카메라 조작법 익히기는 가장 기본
5. 촬영과 녹화 - 스토리보드를 확인해야 하고, 촬영과 녹화에 필요한 각종 준비물을 세팅
6. 편집 - 촬영과 녹화된 자료는 편집과 더빙과정을 통해 교육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음
10.4.3 웹 기반 교육자료(WBI) 개발의 방법 및 활용
1. 교육매체로서의 웹의 특징
- 웹 기반 교육은 인터넷망과 하이퍼텍스트를 통해 교육내용을 재구조화시키고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전개하도록 하는 데 유용한 방법임
- 교육매체로서 웹의 특징
① 학습내용을 전달하는 강력한 전달매개체의 기능을 발휘함
② 정보제공의 기능이 뛰어나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세계로 학습자를 쉽게 이끔
③ 교육내용이 인간의 정보구성과 유사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조직되어 있어 독립된 특정 주제별로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
④ 교육내용이나 교육자료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함
⑤ 실제와 매우 유사한 가상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므로 현실에 가까운 경험을 제공함
⑥ 지식을 습득해 가는 추론 과정이 그대로 유지함
⑦ 학습자료를 쉽게 수정·보완 가능함
⑧ 교육 자료를 유지하고 보급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저렴함
2. 웹 기반 교육자료 개발의 과정
① 원시안 작성 : 간략하고 명료한 문장으로 체계적으로 다듬어진 원시안 작성이 요구됨
② 가상적 화면구성 및 스토리보드 작성 : 웹마스터가 웹 기반 교육자료의 가상적 화면을 구성하고 각 화면에 적합한 스토리보드를 작성함
③ 검토 및 수정: 구성된 가상적 화면과 스토리보드에 대한 검토와 수정이 반드시 필요함
④ 하이퍼텍스트화 : 웹 인터페이스 설계의 원리에 충실하게, 모든 자료를 하이퍼텍스트화 시킴
⑤ 재검토 및 수정 : 다시 한번 자료를 검토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함
⑥ 업로드 :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서버에 업로드함
⑦ 시현 : 일정기간 동안 시범적으로 운영해 보고, 문제점이나 개선할 사항을 수정하여 최종 웹 교육자료를 완성함
3. 웹 기반 교육자료의 효과적인 활용
① 학습자가 웹 기반 수업의 특성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준비시킴
② 학습자가 웹 기반 수업 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도움 제공
④ 융통성 있고 가변적인 수업운영
⑥ 웹의 '열린' 학습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동등한 학습 참여 촉진
⑧ 교수자는 적극적으로 중재자의 역할을 수행
⑨ 제공되는 피드백에 대해 학습자가 신뢰감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유지
⑪ 학습자의 공동체 의식의 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활용
⑬ 학습자가 쉽게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원 및 관리 확보
제 11장 평생교육 실천현장 (기관 및 프로그램)
- 평생교육시설은 이 법에 의하여 인가·등록·신고 된 시설 및 학원과 다른 법령에 의한 기관으로서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11.1. 평생교육 기관 및 시설
11.1.1 평생교육시설의 유형
○ 평생교육 기능수행 정도에 따른 분류
유형
기관의 특성
대표적 사례
평생교육
전담기관
기관의 주된 기능이 평생교육 실시
- 지역 평생교육 센터
- 성인을 위한 특수대학
-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연수원
일반 교육기관
(정규학교)
- 1차적 목표: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정규 학교교육 실시
- 2차적 목표: 사회교육 실시
- 일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평생교육
- 대학 부설 평생교육센터
준교육기관
- 교육적 요구와 교육 이외의 요구
충족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성격을 지닌 기관
- 문화시설(도서관, 박물관 등)
- 대중매체, 문화원
- 여성회관, 노인회관, 청소년 회관
- 종교시설 및 유관단체
- 사회복지시설
비교육기관
- 본래 기관의 1차적 기능은 교육이 아니지만 부차적 또는 제3의 기능으로 특정목적의 달성을 위해 사회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 병원, 노동조합
- 교도소, 군대
- 정부기관, 산업체
○ 운영 기관 및 단체의 성격에 따른 분류
① 학교중심의 평생교육기관
② 준학교체제의 평생교육기관
③ 관인학원 및 신고학원
④ 민간단체 설립 평생교육기관
⑤ 공공연구기관
⑥ 자원단체 평생교육기관
⑦ 문화시설중심 평생교육기관
⑧ 기타
11.1.2 정부차원의 평생교육 전담기관
○ 평생교육 전담기관
- 정부에서는 평생교육 진흥을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추진체제를 정비함
- 국가단위로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소속하에 ‘평생교육진흥위원회’를 설치함. ‘평생교육진흥위원회’에서는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사항과 평생교육 업무의 체계적인 협력‧조정 사항을 심의함
- 지역단위로는 시‧도지사 소속하에 ‘시‧도 평생교육협의회’를 설치함으로써 시‧도 교육감과 협의하여 지자체 중심의 평생교육 진흥업무를 수행하도록 함
- 시‧군 및 자치구에서는 ‘시‧군‧자치구 평생교육협의회’를 설치하여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의 실시와 관련되는 사업 간 조정과, 유관기관 간 협력증진을 모색함.
- 이상의 업무 추진기구로서는 광역단위의 ‘시‧도 평생교육진흥원’과 기초단위의 ‘시‧군‧구 평생학습관’을 설치‧운영함
○ ‘평생교육진흥원’의 주요 업무
① 평생교육진흥을 위한 지원 및 조사 업무
② 진흥위원회가 심의하는 기본계획 수립의 지원
③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원
④ 평생교육사를 포함한 평생교육 종사자의 양성·연수
⑤ 평생교육기관 간 연계체제의 구축
⑥ 시·도 평생교육진흥원에 대한 지원
⑦ 평생교육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운영
⑧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및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학점 또는 학력인정에 관한 사항
⑨ 학습계좌의 통합 관리·운영 등
11.1.3 평생교육시설의 문제점
① 시설의 수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설이 주로 대도시에 편중해 있다는 점
② 시설 간의 연계와 거시적인 학습체제의 구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
③ 평생교육기관들이 지나치게 상업주의적으로 흐른다는 점
④ 평생교육시설 종사자들이 평생교육에 관한 기본적 지식이나 마인드가 부족하다는 점
11.2. 주요 평생교육시설 현황과 프로그램
11.2.1 청소년교육시설
1. 교육적 기능 및 현황
2. 교육 프로그램
○ ‘수련거리’ 프로그램
- 청소년시설에서 수련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수련거리’라고 명명함
- 프로그램 특징: 체험적 활동을 전제하고, 집단적 활동을 가정하며, 정책적 의도를 포함함. 또한 일련의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프로그램 사업이며, 덕성함양에 중점을 둠
○ 청소년기본법에 명시된 6대 덕목
① 문화적 감성
② 과학능력과 정보 마인드
③ 봉사와 협력정신
④ 모험과 개척 정신
⑤ 전문적 직업능력
⑥ 자원단체 평생교육기관
11.2.2. 여성교육시설
1. 교육적 기능 및 현황
- 교육적 비수혜집단(educationally disadvantaged group)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한 평생교육시설이 만들어 졌고, 여성들을 위한 학교 밖의 교육을 특별히 여성 평생교육이라 지칭해옴.
- 여성 평생교육시설의 효시는 1921년 설립된 ‘태화여자관’
(1) 여성회관 -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에 저소득여성을 대상으로 기술교육을 실시함
(2) 서울시 여성발전 센터 - 여성의 부업 또는 소규모 창업, 1차적인 기술습득을 돕기 위한 기술교육과 여가 생활을 위한 생활문화교육
(3) 여성인력개발 센터(구 일하는 여성의 집) -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및 취업알선을 통해 여성 취업난 해소에 기여함
(4) 여성단체- 목적: 회원자질 향상 및 권익옹호, 복지사업 및 지역사회봉사, 식생활개선 및 국민보건향상, 경제활동과 소비자보호 등
(5) 농협주부대학 - 1985년 경기도 부천농협에서 관내 부녀자 65명을 대상으로 6개월 과정의 교육을 실시한 것이 효시가 됨
11.2.3 노인교육시설
1. 교육적 기능 및 현황
- 196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노인대학(노인학교)이 널리 보급
- 1972년 종로 태화관에 ‘서울평생교육원’이 처음으로 설립
- 1989년 노인복지법이 개정되어 노인학교를 여가복지시설로 간주
- 1990년에는 보건사회복지부가 별도로 ‘노인교실 운영지침’을 발표
2. 노인교육기관 및 교육 프로그램
(1) 복지시설에서의 노인교육
- 노인복지관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된 복지 서비스를 담당하며, 고령화추세로 인하여 현재 전국 163개소가 설치ㆍ운영되고 있음
- 노인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서비스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① 교양교육 프로그램 : 한글교실, 일어회화, 영어회화, 한문교실, 수족침교실 등
② 건강증진 프로그램 : 단전호흡, 생활요가, 체조, 스포츠댄스, 사교 댄스 등
③ 취미여가 프로그램 : 노래교실, 한국무용, 한글서예, 한문서예, 바둑, 장기 등
④ 동아리 프로그램 : 게이트볼, 수영교실, 당구교실, 일어동아리 등
⑤ 정보화 프로그램 : 한글·윈도우 반, 인터넷 반, 홈페이지 제작반, 인터넷 카페
⑥ 특별행사 프로그램 : 신년잔치, 노인예술제, 송년잔치, 수료식, 테마 여행 등
(2) 노인교실 및 경로당에서의 노인교육
○ 노인교실에서의 노인교육
- 노인교실은 개인이나 등록된 사회단체가 교육법에 의한 형식이나 절차 없이 설립한 기관으로, 설립자에 의해 학칙이 정해지며, 교재ㆍ수업년한ㆍ강사ㆍ교육과정ㆍ학생관리ㆍ경비조달 등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짐
- 정형화된 교육과정이 없고, 학교마다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운영되며, 교육 프로그램이 전혀 없이 단지 노인들을 보호하는 시설도 많음
○ 경로당에서의 노인교육
- 경로당은 지역노인이 자율적으로 친목도모, 노후 건강유지, 소득보장 등 기타 일상생활과 관련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
- 경로당에서의 여가 프로그램은 전체의 70~80%가 바둑, 장기, 화투놀이 등이며, 실제 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편임
(3) 대학 및 대학평생교육원에서의 노인교육
- 여가, 건강, 문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됨
- 노인교육지도강사 양성과정, 원로지도자 과정, 사회지도자 고급과정 등 개설·운영됨
- 향후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이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게 될 것임. 외국의 경우, University for Third Age(U3A)가 각광을 받고 있음
11.2.4 도서관
1. 교육적 기능 및 현황
○ 선진국의 도서관
- 미국의 도서관 : 어린이들을 위해 영화, 슬라이드 등 다양한 시청각자료를 통해 많은 교육적 경험을 제공 / 청소년들을 위해서도 학과에 필요한 내용의 강습회·토의를 비롯한 영화·연주·콘서트·전시회·독서지도 등을 제공 → 문화와 교육의 중심체적 역할
- 영국의 도서관 : ‘대학확장운동’의 일환으로 대학들이 교내에 지역주민을 위한 도서관을 세우고 독서자료 제공 / 근로자교육(workers’ education)과 주민들을 위한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 실시
- 스웨덴의 도서관 : 학습동아리들이 공공도서관에서 모임 장소를 마련해주고 그에 필요한 책과 비디오테이프 등의 교재를 빌려 줌
- 일본의 도서관 : 공민관과 대학이 공동으로 지역사회 출장 공개강좌 등 지역주민은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
○ 우리나라의 도서관
- 1980년대 부터 공공도서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 그러나, 도서관의 수요에 비해 도서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도서관을 개방하기도 하지만 활성화되지는 못한 편
2. 교육 프로그램
(1)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 - 독서교육이 주를 이루며 그 외에 이야기교실, 종이접기, 동화구연, 컴퓨터 교실 등이 이루어짐.
(2)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 방과 후 면학지도를 위한 공공 청소년독서실을 따로 운영하고 있음
(3)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 대부분 주부를 대상으로 한 교양과 여가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짐
(4)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 현재 노인들만을 위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으며 성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함께 참가하도록 하고 있음
11.2.5 문화 센터
1. 교육적 기능 및 현황
- 우리나라의 문화센터는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잠재고객개발 및 그에 따른 매출액 증진의 기업적 필요에 따라 태동되고 육성되어 왔음
- 최근에는 정신병원부설 문화 센터가 개설되어 사회기술훈련과 인간관계훈련, 지역사회 적응훈련 등 다양한 문화센터가 등장하고 있음
2. 교육 프로그램
- 최근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프로그램이 신설되고, 음악·미술 분야의 전문화와 컴퓨터 등의 첨단시설을 이용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짐
11.2.6 박물관과 미술관
1. 교육적 기능 및 현황
- 오늘날 미술관과 박물관은 모든 국민들에게 인류의 상속물들을 보여 주고 그것을 통해 국민들의 자긍심을 불어넣어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을 도모하게 하는 평생교육의 주요한 장이 됨
- 최근에는 큐레이터가 직접 작품들을 설명하거나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예술과 문화에 관한 다양한 강좌를 마련하고, 실제로 사람들이 참여하여 예술품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음
- 박물관의 종류
분류 기준
구분
전시 내용
종합박물관, 전문박물관
설립 주체
국립․공립․사립․대학 박물관
소장자료의 성격
인문과학계 : 인류․역사․고고․민속․예술 등
자연과학계 : 자연사․천문․동물․식물․광물․과학․기술․ 산업․ 동물원․식물원․수족관 등
2. 교육 프로그램
-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교육 프로그램과 학교교육지원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음
- 일반교육 프로그램 : 공개강좌, 문화학교, 전시실, 설명회, 단체학습, 연수과정, 세미나, 영화 및 비디오 상영 등
- 학교교육지원 프로그램 : 학생단체교육, 교사지원, 이동박물관의 운영, 유물 등의 교육자료 지원, 박물관 전문가의 학교지원 등
-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평생교육사업으로 1977년부터 ‘박물관 특설강좌’를 개설해왔으며, 1986년에는 ‘문화교육과’를 신설하여 박물관의 교육사업을 전담하고 있음
제 12장 평생학습도시와 네트워크 방법 및 전략
12.1. 평생학습도시의 이해
12.1.1 평생학습도시의 배경
- UNESCO, OECD, ASEM, World Bank, EC 등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국제기구들과 선진국들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누구에게서나 원하는 학습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학습인 평생학습의 시대’를 강조 함
- 1968년 허친스(Hutchins)의 『학습사회론』이 나온 이후, 평생학습사회 건설을 슬로건으로 학습도시, 학습지역, 학습타운 등의 명칭이 사용
- 1979년 일본의 가케가와 시에서 선언한 이후, 영국, 스페인, 호주, 캐나다, 미국, 남미,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급속하게 확대됨
- 평생학습도시는 시대적 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라는 성격을 지님. 즉, 지식과 정보의 통합화 및 지식 저장의 디지털화, 지식전달과 공유의 가속화에 따른 지속적 학습의 일반화 및 평생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학습도시를 통한 일상세계에서의 학습은 하나의 생활양식이자 직업세계에서의 생존방식이 되고 있음
12.1.2 평생학습도시의 개념 및 목적
○ 평생학습도시의 개념
- 롱워스(Longworth, 2001)의 정의 : '학습도시'란 도시의 사회적 안정 및 시민들의 기본적 번영과 행복을 추구하고, 시민의 잠재력을 완전히 개발하고자 하며, 해당 도시의 인적물적재정적 자원을 합리적헌신적으로 동원하는 데 학습이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이다.
- 평생교육 센터(2002)의 정의 : 평생학습도시는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통합 증진, 경제적 경쟁력 제고를 도모한다고 정의함. 또한 평생학습도시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의 삶의 질 제고와 도시 전체 경쟁력 향상을 위해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를 건설하고자 하는 총체적 도시 재구조화(restructuring)에 있다고 규정함.
→ 따라서 평생학습도시란 이상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모든 교육자원을 기관 간ㆍ지역사회 간ㆍ국가 간에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지역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시민의 지역사회 교육운동의 일환이라 할 수 있음
○ 평생학습도시의 목적
① 한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학습제도와 학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
② 지역단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적 자원의 육성과 개발을 지향
③ 지역 주민 간의 교류와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
④ 학습도시 사업은 해당 지역의 행정력과 더불어 주민의 주체적 참여를 통하여 주민자치 활성화를 지향
→ 결과적으로 평생학습도시는 지역사회 주민의 요구를 발굴하고, 지역사회의 모든 부문을 포괄하는 사회적 결속, 혁신과 경제적 발전을 증진시키는 전략으로 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공동체 형성을 추구하는 것임
12.1.3 외국 및 국내의 평생학습도시 현황
1. 외국 평생학습도시의 현황
(1) 영국
①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재정을 지원하는 형태
② 지역사회의 평생학습기반 구축을 위하여 '성인과 지역사회 학습기금'을 조성하여 지원
③ 영국의 학습도시는 노팅엄(Nottingham), 셋포드(Thetford), 노리치(Norwich), 에딘버러(Edinburgh), 리버풀(Liverpool), 버틀리(Betley), 버밍엄(Birming- ham) 등 40여 개가 있음. '학습도시연대(Learning City Network)'를 결성하여 사업을 추진하며, 상호 간의 사업추진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교환하고 있음
④ 학습도시사업에 대해 유럽위원회(EC)는 공동재정을 지원하는 국제연대 움직임을 보임
(2) 독일
① 2001년 레아르네 레지온(learne region) 사업을 추진하여 2008년 76개의 도시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② 독일 교육과학부는 2008년까지 독일 전역에 50개의 평생학습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
(3) 일본
① 1979년 시즈오카 현에 위치한 가케가와 시(掛川市)가 세계 최초로 평생학습도시 선언,
그 후 1987년 임시교육심의위원회의 제3차 답신에서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중심의 평생학습체제 정비를 추진
② 지역 살리기 전략에 평생학습 개념을 접목하는 형태로 평생학습 도시가 추진됨
③ '지역만들기'와 '인간만들기'를 통한 지역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지역만들기는 인간형성과 생활향상에 필요한 통합적인 시스템 개발을 도모
④ 일본의 평생학습도시 전략은 OECD 전략에 비해 문화적 요소가 강한 특징을 보임
(4) 기타
- 미국 : 버클리(Berkeley), 팔로알토(Palo Alto) 등에서 시정부와 공공 및 민간조직의 파트너십을 조성하여 기업정보와 지역정보 교류 활성화를 위하여 학습도시를 개발함
- 캐나다 : 에드몬튼(Edmonton)시의 평생학습연합은 성인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연대로 74개 교육조직을 위한 포럼을 제공함
- 호주 : 빅토리아 주의 벤디고(Bendigo) 등 42곳이 학습도시, 학습공동체를 선언하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함
2. 국내 평생학습도시의 현황
- 2001년부터 지역활성화를 위한 평생학습도시 조성 정책을 수립
2001년 공모를 통해 경기 광명시 등 3개, 2002년 부산 해운대구 등 3개,
2003년 순천시 등 5개, 2004년 전주시 등 8개, 2005년 서울 양천구 등 14개,
2006년 광양시 등 24개, 2007년 부산 사상구 등 19개로 현재 총 76개의 지방자치단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됨
12.2. 평생학습도시의 유형과 지원체제
12.2.1 평생학습도시의 유형
유형
특성
경제지향형
학습도시사업의 주된 목적이 평생학습 기회 제공을 통한 지역주민이 평생고용력 개발과 지역의 산업기술 혁신을 지향하여 궁극적으로 지역의 경제적 발전을 지향함
공동체지향형
지역주민에게 평생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문제 해결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주민자치의 촉진을 통한 단위지역의 학습공동체 형성을 지향함
행정주도형
학습도시사업 추진이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행정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임
기관위탁형
학습도시사업 추진 주체를 지방자치단체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형태임
파트너십 형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주체간의 협력체를 구성하여 학습도시사업을 추진하는 형태임
경제발전중심
산업혁신 형
지역을 위하여 주로 기업체가 주도하는 학습지역 운동으로 산업단지 및 산업 복합단지에서 혁신을 증진시키려는 것이 주된 목적임
학습파트너십 형
학습 파트너십 형은 교육훈련 제공자와 학습자를 위하여 지역사회 내에 학습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협력을 증진하고 시민의 학습 참여를 활성화함
시민사회중심
지역사회재생형
현대사회와 같은 급속한 변화의 시대에 새로운 역할 또는 정체성 탐색을 목표로 시, 군, 구 범위에서 종합적이고도 광범위한 지역재성(regeneration)을 기본 특징으로 함
이웃공동체 형성형
이웃을 위하여 형식적 학습, 비형식적 학습, 성찰적 학습을 활용, 새로운 형태의 이웃 공동체를 형성하여 시민정신 함양과 적극적 시민정신 형성을 주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12.2.2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
-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는 관련 법령 및 조례 제정과 지원행정조직으로 탐색할 수 있음
- 관련 법령 및 조례 제정은 주로 평생학습도시 정책 추진 입법 내용임
- 지원행정조직은 추진체제, 인력 및 시설 정비, 정보 인프라 구축 현황, 예산 확보 등으로 이루어짐
○ 평생학습 관련 법령 및 조례 제정
- 현행 평생교육법은 교육과학기술부 소관의 평생교육시설 중심의 법제에만 한정하고 있음. 따라서 직접적으로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법령 구비는 미흡한 편임
- 지역단위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식이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감으로 분리․운영됨
- 평생학습도시의 실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들은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함
-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지원 체제에서 조례 제정은 어느 정도로 구비되었다고 볼 수 있음
○ 평생학습도시의 지원 행정조직
- 평생학습도시 정책 추진을 위한 중앙정부의 주무부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평생학습저책과와 평생교육진흥원이 있음
- 지역행정단위는 지역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가 있음
○ 평생학습 지원부서의 인력현황 및 평생교육사 배치현황
- 일반직 공무원과 별도채용의 계약직 공무원 또는 직원, 일용직 및 기타 임시직 등 있음
- 평생교육 전문인력이 아니며, 평생교육 담당인력은 대부분 소수인력임
○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운영주체
- 민간위탁형, 시청주도형의 관주도형, 교육청과 협력하는 관주도형으로 구분됨
12.3.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기본 모형
12.3.1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중요성
- 평생교육에서 네트워크는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이라는 사회적 공통가치를 실현하는 실천영역의 중요한 부분임
- 성공적인 평생학습사회의 정착과 실현은 한 기관의 독자적인 노력이나 특정 부서의 역량만으로 불가능함. 또한 평생교육사업은 특성상 단일기관의 한정된 자원과 역량만으로는 학습자 요구와 필요에 부응하는 평생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듦.
→ 따라서 기관 간의 협력과 연계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평생교육 네트워크임
- 평생교육 현장에서 평생교육 네트워크란 평생교육이 지향하는 다양한 공동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평생학습사업 추진의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인적ㆍ물적 자원과 정보 등을 다른 기관 혹은 조직과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협력ㆍ협동하는 조직적 행위이자 평생교육 실천가의 행위라 정의할 수 있음
- 양병찬(1991)은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핵심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함
① 기관시설단체 간의 연계 강화는 학교를 포함한 모든 평생학습 관련 기관시설단체 간의 연계제휴 강화
② 시설의 효율화를 위한 공유화는 평생교육 기능의 확산과 효율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하나의 시설을 시공간적으로 공유화(공용화)하는 것
③ 시설의 복합화는 성격이 다른 평생교육 관련시설, 즉 직업훈련시설, 스포츠문화 시설, 도서관 등을 복합화하거나 특정 평생교육의 대상(노인, 성인, 청년, 직장인, 여성 등)별로 특화된 시설을 복합화 하는 것
12.3.2 평생학습 네트워크의 기본 모형
- 평생교육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식과 방법으로 전개될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몇 개의 핵심적인 네트워크의 영역 속에서 작동됨
- 양병찬(2000)은 평생교육 네트워크가 전개되는 핵심영역을 다음과 같이 나눔
① 인적 네트워크는 양질의 평생학습 서비스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 교ㆍ강사, 소속된 기관 내 타 평생교육사 및 직원, 유관 평생교육기관 내 평생교육사 및 직원과 연계하는 것을 의미
② 사업 네트워크는 평생교육기관의 사업 및 프로그램을 유관 기관과 연계하여 전략적으로 제휴하고, 공동주최 또는 후원하는 것을 의미
③ 정보 네트워크는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사가 학습자, 교강사, 소속된 기관 내타 평생교육사 및 직원, 유관 평생교육기관 내 평생교육사 및 직원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교류하여 공유하는 것을 의미
④ 공간네트워크는 물리적으로나 사업상 연계가 가능한 유관기관과 시설 및 설비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
- 평생교육 네트워크 기본 모형은 교재 310쪽 〔그림 12-2〕를 참고
12.4.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방법 및 전략
12.4.1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방법 및 사례
○ 국가 및 지자체의 행정중심 네트워크
- 평생교육 센터 혹은 평생학습 센터를 중심축으로, 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기존의 평생교육 자원을 교류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진행방식
- 지자체의 강력한 지원에 기초하여 형성되므로 지속성과 안정성이 보장되지만, 지자체의 정치적 비전을 따를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음
- 지차체의 관련부서, 교육청, 지역평생학습관, 시민사회 단체, 각종 평생교육시설, 대학평생교육원, 각종 언론매체, 기업체 내 사내대학, 정당종교 단체, 지역 내 초중고등 학교, 개인 및 가정 등과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함
○ 민간 평생교육기관 간 네트워크
- 민간기관의 실무 차원에서 제기된 자발적 필요에 따라 모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됨
- 평생교육의 현장에 대한 감수성이나 시민들의 교육요구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대처하며, 모임의 주제 역시 형식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인 사안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짐
- 가장 큰 한계는 네트워크 자체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며, 사안 중심의 네트워크로 인해 해당 사안이 해결되거나 사라졌을 경우 네트워크 자체가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함. 또한 뚜렷한 핵심조직이 없어서 단체 간 이해관계의 대립 시 중재가 어려움
12.4.2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성공 전략
○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성공전략
① 지역 공동의 이슈사업을 선택하라. ② 현실적인 네트워크 예산을 편성하라.
③ 관습적인 이해관계를 이해하고 존중하라. ④ 동의할 수 없는 데에 동의하라.
⑤ 네트워크 사업의 중심에서 논의하라. ⑥ 기여할 수 있는 점은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하라
⑦ 모든 기관의 독자적인 이해관계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라. ⑧ 가시적인 성과를 획득하라.
⑨ 안정적인 협의체를 구성하라. ⑩ 명성을 공평하게 분배하라.
제 13장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
13.1. 프로그램 운영의 개념과 원리
13.1.1 프로그램 운영의 개념
○ 프로그램 운영의 이해
- 프로그램 운영은 일면 조작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으나, 프로그램의 실행과 운영이 교수자, 학습자, 운영요원 등의 협동적 실천 행위이기 때문에 조작적인 행위로만 간주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음
- 따라서 프로그램 운영이란 기계론적 조작이나 작동의 의미가 아니라, 교수자의 교수행위, 학습자의 학습행위, 운영요원의 운영 및 관리행위가 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에 의해 전개됨 (교재 324쪽 〔그림 13-1〕참고)
○ 프로그램 운영의 의미
- 프로그램 운영이란 계획되고 조직화된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하며, 광의적인 의미와 협의적인 의미로 구분됨
- 광의적 의미 : 설계된 프로그램을 실제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운영조직을 편성하는 단계에서부터 실제로 활동을 실천하고 그 활동내용을 기록 정리하여 평가에 이르는 과정까지를 모두 포함
- 협의적 의미 :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실행을 위한 도입과정에서 정리단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만을 말함
13.1.2 프로그램 운영의 원리
① 평생교육사는 설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제반 여건을 확보하고 마련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법과 전략을 이용
② 프로그램 실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적ㆍ물적 자원을 확인하고 동력화하며 이를 발전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함
③ 계획된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함
④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 있어서 평생교육사는 계속적인 강화요인을 제공해야 함
⑤ 학습자의 변화 상태를 감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감수성과 이해력이 있어야 함
13.2.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행과정 및 영역
13.2.1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행과정
1. 준비단계
-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준비 단계에서의 철저한 점검과 확인이 필요 (준비단계에서 점검해야 할 내용은 교재 327쪽 <표 13-1> 참고)
2. 실시단계
- 목표가 실현되는 과정으로, 프로그램 효과와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단계
-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로는 다음과 같음
① 역할분담 내용의 확인은 주로 프로그램 운영조직과 관련된 것으로, 인적요인 및 운영조직의 확인, 준비물의 사전 체크 등이 포함됨
② 프로그램의 진행은 도입-실행 및 심화-종결의 단계순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각 단계마다 의도하는 바가 달성될 수 있도록 제반 조치 마련이 필요함
③ 상황변화에의 대응이란 프로그램의 편성 시 예상치 못했던 기상조건의 변화, 평생교육사의 사정, 강사의 사정, 학습자들의 상황변화 등과 같은 일에 직면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임
3. 정리단계
- 실행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실행과정과 결과를 기록하고 정리 요약하는 것
-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요약하여야 함
13.2.2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영역
- 평생교육사가 프로그램 운영 시 수행하야 하는 역할들은 강사관리 교육생관리 수업관리 교육기자재 및 시설 관리 이다.
13.2.3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유의사항
- 평생교육사는 프로그램을 실행ㆍ운영ㆍ관리하는 과정에서 다음을 유의해야 함
① 프로그램 편성 후, 실행안 구상 시 결정한 활동대상자의 수준 및 활동목표가 상정했던 바와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목표 변경, 내용 방법 대체 등의 배려가 필요함
② 예상치 못한 조건의 의해 프로그램을 변경해야 할 경우 작성된 프로그램에 집착하지 않고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세가 중요함. 그러기 위해서 기상조건, 참가상황, 강사 사정 등 예측할 수 없는 사태를 미리 예상하고, 만약을 대비한 준비(영화, 필름, VTR 등을 예비적으로 확보해 두는 일 등)가 필요함
③ 프로그램의 운영계획을 변경해야만 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검토한 후에 의사결정을 내리는 지혜가 필요함
④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조직들이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상호 역할을 분담하고 연락ㆍ협력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함. 또한 철저한 사전준비와 최종점검으로 프로그램 실행에 차질이 없어야 함
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목록을 마련해 두고 이를 철저히 지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13.3.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법
13.3.1 프로그램 일정 및 준비사항
1. 프로그램 일정
- 프로그램의 내용을 충실히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총 시간 수의 배분과, 실행시기 및 진행단위, 그에 따른 과업 선정을 명확히 하는 일임
- 평생교육 프로그램 일정은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설계ㆍ편성해야 함
① 성인들이 시간적 문제로 학습참여에 제한 받지 않도록 학습자 입장에서 편성
② 보다 많은 참여자의 확보를 위하여 학습자 집단이 선호하는 프로그램들이 같은 시간대에 배정되지 않도록 시간표를 조정
③ 성인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생활구조 속에서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집중 프로그램은 되도록 짧고 알차게 실시
④ 연휴나 휴가철 혹은 명절 등은 피하되, 가족중심 프로그램은 이 시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
⑤ 성인학습자들의 지속적인 흥미 유발을 위하여 학습 실행의 중간 중간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일정을 마련
2. 프로그램의 실시 장소
- 프로그램 실시 장소는 교육목적, 수업방법, 접근성, 참여자 특징, 비용, 시설의 서비스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 시설에 따라 장ㆍ단점이 다르지만, 보통 성인학습자들은 자신들이 편안하게 느끼고 교육받기에 적절한 환경에서 더 잘 학습함
- 프로그램 실시 장소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① 학습자의 거주지역으로부터 가까워 접근이 용이해야 하지만 때로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적합한 장소로도 이동하여 실행할 수 있어야 함
② 학습목표와 계획된 학습활동이 최대한 실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설이어야 함
③ 교육장소를 옮기고자 할 때는 프로그램 실시 예정일에 사용 가능한 시설이라야 하며, 대여비용 또한 저렴하거나 적정한 가격이라야 함
④ 숙박이 필요한 집중 프로그램인 경우 식당, 잠자리, 샤워실, 휴게실, 외부 전화 등 부대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 이어야 함
⑤ 프로그램 진행을 위하여 강의실의 모든 시설이 완벽하게 갖추어졌는지를 점검하고, 문제가 있으면 사전에 반드시 조치를 취해야 함
3. 외부 시설 이용 시 유의사항
(1) 현장 확인 - 현장 확인을 통해 실시하고자 하는 교육의 성격과 내용 및 교육 참가자의 여건에 적합한지를 점검해 두어야 함
(2) 주변환경 - 주위의 경관, 번화가 및 일반 민가와의 인접관계, 출입의 통제 유무는 어떠한가?
(3) 시설의 유무 및 상태 - 방송시설의 상태 및 작동 방법은? (실내, 실외)
(4) 진행시설 - 행담당자들의 숙소 및 진행실은 강의실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가?
(5) 비용 - 시설 내용에 따르는 경비문제도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
(6) 왕복시간 및 교통편 - 프로그램 참가자 및 강사의 수송 시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곤란함
(7) 기타 - 비상연락 방법은? -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숙소 열쇠(Key) 관리 방법은?
13.3.2 강사 선정 및 관리의 실제
1. 강사의 선정 -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강사의 자질은 다음과 같음
①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지식
② 다양한 교수방법과 실제 적용 능력
③ 학습자들의 경험과 교육내용을 연결할 수 있는 능력
④ 성인학습자에 대한 관심과 가르침에의 헌신
⑤ 강사의 직위, 교육 경력, 전문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신뢰성
⑥ 학습자 요구에 따를 수 있는 융통성
2. 강의 청탁의 실제
① 강사에게 강의를 의뢰할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의뢰해야 하며, 사내강사의 경우에는 강의준비시간을 넉넉히 주어야 함
② 강의 의뢰 시 POINT
• 강의 의뢰시의 예절:교육 담당자의 전화응대 한마디, 옷차림, 교육수준을 짐작케 하고 강의 승낙 여부를 결정하게 함
• 강의 의뢰 전에 저서, 논문 등을 보고 사전예비지식을 가져야 함
③ 의뢰를 거절할 때에는 서로 어색하지 않게 통화를 끝내도록 거절에 대비한 화법 준비
3. 강사관리
13.3.3 평생교육 프로그램 예산 편성
1. 비용 산출 - 예산을 편성한다는 것은 계획한 프로그램의 모든 활동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산출ㆍ확보하고, 프로그램의 비용 할당을 효율적 으로 조정하는 것임
(1) 인적비용 - 프로그램 개발자, 관리자, 강사, 자문위원, 보조원에게 지급되는 비용
(2) 수업비용 - 교재와 매체 비용으로, 교재 및 매체 종류의 필요한 분량을 정하여 비용을 산출함
(3) 시설비용 - 시설을 임대하여 활용하는 경우 : 연간 총비용에 시설 임대비용을 합함
(4) 프로그램 관리비용
① 마케팅 비용 : 모집 요강, 광고, 홍보물 등의 제작ㆍ배포비용과 직접적인 광고 홍보비
② 행정비용 : 학습자 관리, 서류 작성, 복사, 보관, 사무용품 구입 등 일반 행정 비용
③ 행사비용 : 수료식, 졸업 전시회, 졸업 발표회 등 행사를 위한 비용
④ 학습자 서비스 비용 : 자료실, 복사실, 취업 정보 수집 등 학습자 개인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기관의 지원비용
2. 비용의 확보 - 각 기관의 수입원은 기관의 성격과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다름
- 평생교육기관의 수입원을 분류 하면 다음과 같음
① 학습자 : 학습자들이 지불한 수강료
② 정부 : 정부에서 후원하는 프로그램에 정부가 학습자를 대신하여 수강료를 지불하거나 프로그램 개발, 운영비용을 보조하는 경우
③ 학습자 소속기관 : 학습자 소속기관에서 수강료를 지불하는 경우
④ 프로그램 운영기관 : 프로그램 운영기관이 교육 프로그램 외의 다른 수익사업이 있어서 이 이윤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보조해 주는 경우
⑤ 교재 및 출판물 판매 : 학습자나 일반인을 상대로 교육기관이 개발한 교재나 출판물을 판매하여 얻은 이윤을 프로그램 운영에 보조하는 경우
3. 비용 절감법
- 기관에 따라 재정적 제한 때문에 주어진 예산으로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정해야 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비용 절감법을 강구해야 함
-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 (Caffarella, 1994)
① 프로그램 관련 직원들이 효율적으로 활동하도록 관리
②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외부에 맡기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은 외부 기관에 맡김
③ 최대 한계비용에 달하는 참여자 수를 정하여 정원을 제한
④ 각 단위 시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수업을 설계
⑤ 빌릴 수 있는 장비와 교재는 빌림
⑥ 비용이 덜 드는 교수법을 선택
⑦ 새 교재의 개발보다는 기존의 좋은 교재를 이용
⑧ 홍보물의 내용량을 줄이고 덜 화려하게 만듦
제 14장 평생교육 평가 원리와 방법
14.1. 평생교육 평가의 이해
14.1.1 평생교육 평가의 중요성
-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으로 과학적인 평가가 필요
- 평생교육사가 사전에 계획한 프로그램들을 실천한 후에 그 가치와 효과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그들의 중요한 책무이며, 나아가 평생교육의 질적 개선과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
14.1.2 평생교육 평가의 개념
○ 프로그램 평가의 4가지 기초
① 프로그램의 가치나 장점을 판단하거나 결정하는 것
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을 파악하고 판단하는 것
③ 프로그램의 목적달성 정도를 확인하는 것
④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것
14.2. 평생교육 평가의 영역과 원리
14.2.1 평생교육 평가의 영역 - 평생교육 평가의 영역이란 평가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범위와 대상을 말함
○ 평가의 4가지 영역 (Kirkpatrick, 1987)
① 학습자 만족도 평가 (혹은 매력성 평가)
학습자들의 반응을 통해 그들이 프로그램에 대해 느낀 호의의 정도를 평가
② 목표성취도에 대한 평가(혹은 효과성 평가)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태도기능을 평가
③ 실생활 적용도 평가 (또는 실제행동 평가)
교육 프로그램 이수 후 실생활에서 어떤 긍정적 변화를 평가
④ 프로그램의 효율성 평가
프로그램 운영에 투자한 시간과 노력, 비용 등에 대비한 교육성과를 평가
○ 프로그램 평가의 핵심 영역
① 프로그램 목적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바가 성취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것에 초점
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프로그램 내용의 혁신성, 현실성, 즉시성, 적용성, 요구반영정도 등에 초점
③ 참여자 반응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태도, 느낌, 호감도, 만족도 등을 파악하는 데 초점
④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
시설, 매체, 수강료, 강사자질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점검하는 데 초점
14.2.2 평생교육 평가의 기능
① 평가는 대상에 대한 이해, 진단, 치료의 기능을 갖는다.
② 교육 구성요소들을 개선시켜 주는 기능이 있다.
③ 학습자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심리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④ 평가결과를 학습자의 학습효과 판정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생활지도나 상담의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⑤ 주기적이든 불규칙적이든 평가가 실시됨으로써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 내지 향상시킬 수 있다.
14.2.3 평생교육 평가의 일반적 원리
- 프로그램 평가의 기본 원리
① 교육의 과정 속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사상, 조건 또는 상태들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필연적으로 평가하게 됨
② 현장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 활동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임
③ 항상 의사결정 또는 정책수립을 촉진하기 위한 필수불가결의 활동임
④ 평가는 계속해서 종합적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본래의 평가 목적을 성취할 수 있음
14.2.4 평생교육 평가의 준거
평가준거
질문
예시적 준거
효과성 Effectiveness
가치 있는 산출이 성취되었는가?
교육효과 평가
효율성 Efficiency
교육을 위해 어느 정도의 노력이 투입되었는가?
교육비용/ 수익률
적정성 Adequacy
교육결과에 의해 문제해결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가?
문제해결 능력 평가
형평성Equity
비용과 효율이 개인 혹은 집단 강에 공평하게 배분 되었는가?
교육 기회 및 자원배분 근거 평가
대응성 Responsiveness
조직의 목표, 집단의 필요 등을 프로그램을 통해 만족할 수준으로 달성했는가?
조직체의 교육목표 달성 여부
적절성 Appropriateness
기대된 산출이 실제로 가치가 있는가?
적정성을 제외한 모든 준거 검증
14.3. 평생교육 평가의 모델
14.3.1 목표도달 평가 모델
○ 목표도달 평가 모델의 장점
① 프로그램이 목표를 성취하였는지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상식을 제공
② 프로그램 담당자로 하여금 결과를 명확히 파악하고, 결과물에 대해서도 책임감을 느낄 수 있게 함
③ 평가자의 입장에서도 시간적인 소모 및 그에 따른 장애를 최소화시킴
④ 표준화된 기재로 채점하는 시험을 실시할 경우 평가가 용이하고 비교적 비용도 저렴함
⑤ 프로그램 참가자의 성과를 쉽게 수량화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를 제공함
○ 목표도달 평가 모델의 단점
①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고 판정할 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없음
② 목표 성취를 평가하는 데에는 성공적이라 할 수 있으나, 목표 그 자체가 잘못 설정되었거나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음
③ 프로그램의 목표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둠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결과들이 인정되거나 평가되지 않을 수 있음
○ 목표도달 모형의 대표적 모형 : 타일러(Tyler) 모형의 순서
① 목적 선정 : 일반 교육목적을 설정한다.
② 목표 명시 : 일반 교육목적을 행동목표로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③ 도구 제작 : 평가방법과 평가도구를 선정 또는 개발한다.
④ 자료 수집 :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⑤ 가치 판단 : 수집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목표의 성취도를 결정하고 판단한다.
14.3.2 의사결정 평가 모델
○ 의사결정 평가 모델의 이해
- 의사결정 평가 모델은 평가를 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돕는 과정으로 설명함. 또한 프로그램 운영자의 입장에서 그 프로그램을 계속 시행할 것인가 중단할 것인가에 대해 결정하기 위한 평가를 의미함
- 구체적으로 이 접근법은 프로그램의 요구분석, 계획, 시행, 평가 등 모든 국면을 평가하여 의사결정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여 정보처리모형 혹은 과정모형이라 함
○ 의사결정 평가 모델의 장ㆍ단점
- 장점 : 의사결정 평가 모델은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를 고루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계획, 시행, 평가를 포함한 모든 의시결정의 국면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어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줌
- 단점 : 평가자료가 사장될 우려가 있고, 실제의 교육상황 개선에 활용될 소지가 적음. 또한 평가자는 단지 프로그램에 관한 정해진 정보와 자료만을 수집할 뿐이며, 자료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권한은 의사결정자에게 주어지게 됨. 따라서 현장의 개선이나 혁신을 위한 평가보다는 현상 유지를 위한 평가, 의사결정자의 결정을 합리화해주는 평가가 되기 쉬움
○ 스터플빔(Stufflebeam)의 CIPP모형
- 평가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설계, 획득, 제공하는 과정이라는 정의를 바탕으로 CIPP 모델을 제안함
- Context evaluation (상황평가)-> Input evaluation (투입평가) -> Process evaluation (과정평가)->Product evaluation (산출평가)
상황평가
•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이전 상황에서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인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하였다면 그 목표는 어디에 두어야만 하는가의 문제를 평가
• 요구조사, 직무분석, 반성법 등이 사용됨
투입평가
•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떤 자료와 전략이 사용되어야 하는 가에 관하여 평가
• 집단합의, 전문가의 판단, 목표에 의한 관리, 시험적인 실험과 방법 등이 사용됨
과정평가
• 프로그램이 학습자 혹은 참여자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초점
• 교수자(강사)가 준비한 측정지침과 전문가가 제작한 측정도구 등 사용됨
산출평가
•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에게 즉시적으로 나타난 변화(output)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지속된 변화(outcome), 즉 활용정도를 평가하는 데 초점
14.3.3 탈목적 평가 모델 → 프로그램의 내용과 활동을 참여자의 요구와 연계시켜 참여자의 반응과 만족 정도에 관심을 기울임
-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반응을 체크하고, 그들의 만족정도와 요구 충족도를 파악하는 것이 탈목적 평가 모델의 구체적 사례임
- 탈목적 평가 모델은 평생교육 현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방법인데, 이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에 포함된 교재, 교수자(강사), 시설, 방법, 내용 등에 종합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평가방법을 설계함으로써 평가의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임
14.3.4 참여자 평가 모델
-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행하는 비판적 숙고과정(critical reflection process)을 통해 산출된 결과를 평가로 규정함
- 'Doing-Reflective-Apply' 과정이라고도 함
14.4. 프로그램 평가의 절차
14.4.1 평가의 세부목표 설정
14.4.2 평가 내용과 방법의 결정
○ 평가 방법의 결정
지식이나 정보의 전달과 관련된 경우
고사(필답 또는 구술), 또는 통신충실검사(communication fidelity inquiry)
내용이 태도의 변화나 정신 및 의식과 관련된 경우
설문형 반응이나 교육 전후의 태도 및 의식조사, 의견청취, 관찰 등의 형태
실기검사의 경우
학습자들이 스스로 어떤 감정진단의 문항에 응답하게 하는 방법, 평가자나 심사위원이 실제로 학습자가 만들어 낸 작품이나 작업과정을 지켜보면서 이미 만들어 놓은 척도에 따라 평정(rating)을 하게 하는 방법
프로그램이나 기관 및 지역사회 활동에 관련된 경우
주로 심사위원이 전문적 평가기술을 적용하여 만들어 놓은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를 하고, 점수를 합산해내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
14.4.3 평가도구의 제작
- 좋은 평가 도구란
• 도구가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과 일치되는 타당성이 있어야 함
• 문항 응답 시 평가목표에 알맞은 응답을 정확히 얻어 낼 수 있는 신뢰성이 있어야 함
• 누가 평가해도 서로 어긋나지 않는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객관성
•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용성
14.4.4 평가의 실시
- 평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평가의 내용 선정 및 평가도구 제작이 완료되면, 정해진 방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게 됨
- 평가의 방법에는 고사 또는 시험, 설문응답, 심사분석, 관찰, 집단협의 등이 있음
- 평생교육의 평가는 자체 평가의 형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간단한 설문에 대한 응답이나 집단협의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음
14.4.5 평가결과의 처리와 분석
① 데이터의 편집(editing) : 평가자료를 하나하나 검토하면서 보충할 점이나 잘못된 점을 점검하여 보완, 수정하는 과정
② 부호붙이기(coding) : 일정한 범주로 나누어 번호를 붙이거나 일정한 점수를 주어 자료 전체를 부호화 또는 계량화
③ 표만들기(tabulating) : 해석이 가능하도록 단순하게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변인으로 나누어 단순 집계표(cross table)를 작성
④ 통계분석(computing) : 각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견주어 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통계 분석을 실시
14.4.6 프로그램 평가의 활용
- 활용 시 고려할 점
① 프로그램 및 교육의 목표를 잘못 설정하지는 않았는가? 앞으로의 교육목표는 어떻게 설정하면 좋겠는가?
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기획에서 너무 무리한 점은 없었는가? 또는 너무 쉽거나 막연한 계획을 세우지는 않았는가?
③ 교육의 내용에서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반드시 들어가야 할 내용은 무엇이며 빼도 좋은 내용은 무엇인가?
④ 교육의 방법 면에서 어떤 점을 고쳐야 하겠는가?
⑤ 교육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좋겠는가? 앞으로 효율적인 교육을 계속 실시할 좋은 방안은 무엇인가?
14.5.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실제 (기업체에서 실시되는 프로그램 평가 준거의 사례임)
수준1의 평가 준거 : 학습자의 반응 평가 준거
• 프로그램이 참석자의 기대에 부응하는지 확인
• 프로그램 중 도움이 된 정도(흥미, 정보제공 등)
• 프로그램의 디자인, 교보재 등에 대한 참석자의 반응
• 강사에 대한 만족도(강사의 전문성, 참여 유도 등)
• 학습한 내용에 대한 참석자의 활용의 확산 정도
• 학습한 내용에 대한 가치 부여
• 학습한 내용의 활용에 대한 장애 정도
• 환경적 요소에 대한 만족도
수준2의 평가 준거 :
학습자의 지식과 기능 향상 정도 평가 준거
• 의도된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실제 학습 정도
• 학습에 영향을 준 요인의 확인
• 프로그램의 내용
• 학습활동
• 교보재
• 학습장비
• 학습자 자신
수준3의 평가 준거 :
학습내용의 현장 적용성 평가 준거
• 학습한 내용의 현업 적용 정도
• 학습한 행동과 기능 중 어떤 것이 가장 잘 사용되고 있는가?
•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은?
• 학습자가 소속된 부문별 실천의 차이 정도
• 처음 요청된 비즈니스의 충족여부
• 학습결과로서 학습자의 가치 변화나 믿음의 변화정도
수준4의 평가 준거 :
프로그램 파급효과의 평가 준거
• 교육이수자들의 생산성 증가
(예 : 주문 처리량의 증가, 소프트웨어 진단시 오차의 감소 등)
• 교육이수자들의 업무 수행 능력의 향상
(예: 새로 훈련받은 마케팅 대표들에 의한 상품 판매의 증가)
• 입사 단계에서 필요한 능력의 소유자가 되기까지의 시간단축
(예 : 입사 첫해에서의 산출량의 증가)
제 15장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전문성
15.1. 평생교육사의 개념
15.1.1 평생교육사의 정의
15.1.2 평생교육사의 유형
- 휼(Houle)은 평생교육사의 유형을 자원교육자, 시간제 교육자, 전문교육자로 구분함
① 자원교육자(volunteer adult educator) : 교육계에 있었거나 현재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자유의사에 따라 무보수로 평생교육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일정한 강좌나 과목을 일정기간 동안 담당하거나 혹은 어떤 기술적인 면에서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을 말함
② 시간제 평생교육사(part-time adult educator) : 일정한 급료를 받고 시간제로 평생교육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이들에게는 추후 자기의 전공 이외의 평생교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지식이나 교육방법들을 연수시킬 필요가 있음
③ 전문평생교육사(professional adult educator): 대학의 평생교육전공 교수를 비롯하여 각종 평생교육기관이나 연구기관에서 오랫동안 전문적인 평생교육행정 및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인사를 말함
15.2.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직무
15.2.1 평생교육사의 역할
1. 학습자의 요구와 목표달성을 도와주는 멘토로서의 역할
- 멘토의 주요기능
• 성인학습자와의 일대일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형성해줌
•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학습을 촉진시켜 주는 촉진자가 됨
•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이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용기를 주고 비전을 제시해 줌
•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에 직면하게 하고 이를 해결하는 역할모델(role model)로서의 역할을 함
• 학습자로서의 멘티(mentee)를 격려하고 가르치면서 도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관찰자, 논평자, 옹호자, 역할모델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2. 기관의 요구와 목표달성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개발ㆍ운영자로서의 역할
< 평생교육 기관과 단체의 필요 및 욕구 >
• 기관과 단체의 설립취지에 따라 개인들의 발달을 가져오게 하는 것
• 각 기관이나 단체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것
• 지역사회의 공적인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것
- 프로그램개발에 있어서 평생교육사의 역할
① 평생교육기관의 기능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그것에 헌신해야 한다.
② 평생교육기관의 구조를 이해하고 그 구조 속에 참여하여야 한다.
③ 평생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숙달되어 있어야 한다.
④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검증된 개념적 모델을 이해해야 하고, 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숙달되어 있어야 한다.
⑤ 잠재적 학습자들의 요구를 평생교육기관이 민감하게 수용하여 나갈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⑥ 평생교육기관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환경을 철저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⑦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기관의 고객들을 파악하기 위해 개념적 도구를 이해하고 이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⑧ 고평생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기회를 제공받게 될 잠재적 대상자를 확인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⑨ 잠재적 교육대상자의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리더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정과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⑩ 잠재적 교육대상자의 리더와 구성원들과 공동의 노력으로 교육요구 및 필요를 확인, 사정, 분석할 수 있는 과정에 능숙해야 한다.
3. 사회(국가)의 요구와 목표의 달성을 도와주는 교육자로서의 역할
- 평생교육사는 그들이 속한 시민들이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함 → 시민교육
- 따라서 평생교육사는 사회지도자로서의 사명의식을 갖고 있어야 하며, 구체적인 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있어야 함.
- 시민교육의 목표나 내용은 시민상이나 시대 및 국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함
현재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민주시민상은 ‘현명하고 책임있는 시민’임
15.2.2 평생교육사의 직무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기획, 프로그램의 개발, 프로그램 운영, 기관의 관리, 네트워크, 교수 학습 및 상담, 평가 등임
-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의 평생교육사 직무
① 전체 교육의 기획 : 전체적인 기획 직무에는 사회와 조직의 교육요구 분석하기, 마케팅하기, 성과 분석하기 등이 포함
② 프로그램 개발 직무 :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 프로그램 설계,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 매뉴얼 만들기 등이 핵심과업
③ 프로그램의 운영 직무 : 시설 및 매체 확보하기, 강사 및 교수자 섭외, 교육매체 조작하기, 성과분석하기 등
④ 기관관리의 직무 : 행정업무, 재정관리, 교육시설 및 환경 관리, 학습자 관리, 강사관리, 기관홍보 등이 포함
⑤ 네트워킹 및 지원의 직무 : 인적ㆍ물적 자원 교류하기, 정보 공유하기, 사업 제휴하기, 공동연수하기, 네트워킹 조직 구축하기
⑥ 교수학습의 직무 : 교수대상자 분석하기, 교수계획 세우기, 교수자료 개발하기, 강의 실행하기, 강의 평가하기 등
⑦ 학습상담의 직무 : 학습상담의 직무에는 학습자 진단하기, 교육정보 제공하기, 교수 및 학습 방법 조언하기 등
⑧ 평가 및 컨설팅의 직무 : 평가 및 컨설팅의 직무에는 교육문제 진단하기, 해결안 제안하기, 실시와 피드백하기 등
15.2.3 평생교육사의 사명
① 리더로서의 자질, ② 지각능력, ③ 유머 감각, ④ 인내력, ⑤ 풍부한 지식, ⑥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⑦ 좋은 화술 능력, ⑧ 융통성, ⑨ 열정적인 성격 ⑩ 인간에 대한 애착
15.3.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15.3.1 전문직의 특성
- 리버만(Liberman)이 제시하는 전문직의 특징
① 사회에 대하여 봉사기능을 갖는다.
② 직무수행에 있어서 고도의 이론적 배경을 갖는다.
③ 장기간의 양성과정이 필요하다.
④ 개인이나 직업집단으로서 자율성을 갖는다.
⑤ 자율성의 범위에서 행해지는 판단과 행위에 중대한 책임을 진다.
⑥ 경제적인 수입보다는 사회적 봉사업무의 정신을 강조한다.
⑦ 면허, 가입, 제명 등의 규제권을 갖는 자치조직을 갖는다.
⑧ 명확히 해석된 윤리강령을 갖는다.
15.3.2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평생교육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1.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
- 성인의 특성 : 삶을 통해 축적된 경험이 많음 / 주요 관심사는 직업, 가정, 사회 등임 / 미성년자보다 자립적이며 성숙하고 경제적으로나 감정적으로 독립적임 / 학습준비도가 높은 편이며 그것은 사회적 역할이나 발달과업과 관련됨
2. 교수원칙에 대한 지식
- 노울즈(Knowles)의 기본교수원칙
① 학습을 도울 수 있는 물리적 및 심리적 분위기를 제공한다.
② 교육과정의 방향과 방법을 계획하는 데 학습자를 참여시킨다.
③ 학습자의 요구를 진단하는 데 학습자를 참여시킨다.
④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목표를 세우도록 격려한다.
⑤ 학습자가 자원들을 확인하고 그와 같은 자원을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⑥ 학습자가 자신의 계획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⑦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평가하는 데 참여시킨다.
3. 교수내용에 관한 지식과 교육방법에 관한 기술
- 대체로 평생교육사는 진단자, 기획가, 조직가, 촉진자, 교수자, 지도자 및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지속적인 반성적 행위가 요구됨
- 숀(Schon)의 ‘반성적 실천가’, ‘실천적 반성’
• 실천적 반성(reflection-in-action) : 기존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실제상황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판단을 내림
•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 : 직면하고 있는 상황과 자신의 신념 및 가치관에 대해 반성하고 평가함으로써 현상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 상황에서 변화를 추구
15.3.3 평생교육사의 자격요건
1. 평생교육사의 자격기준
- 평생교육법(2002) 제17조와 제18조의 규정에 의해 대학(교)의 정규 양성체제와 실무자 중심의 양성기관체제로 이원화되어 이루어 짐
2. 평생교육 관련 과목
- 평생교육사 자격 취득을 위한 학습과목
① 평생교육 필수과목은 평생교육실습을 포함한 5과목, 선택과목은 총 21과목 구성
② 과목당 학점은 3학점으로 하고, 성적은 각 과목을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균 80점 이상
③ 평생교육기관에서의 4주 간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과정으로 구성됨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