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길 깨진 항아리 속 '남천' 예술을 담았어요
강남길 깨진 항아리 속 '남천' 예술을 담았어요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4.04.24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예가이드꽃조경 강 남 길 항아리에 예술 담아
[온 국민이 기자인 한국시민기자협회]남구에 위치한 기독교병원이 새단장을 하였다. 입구에 들어서자 상쾌한 실내환경에 다시 찾고 싶은 병원이다. 실내 전시되어 있는 깨진 항아리에 생명을 불어넣어 남천나무를 분재형태로 심어 전시를 하고 있다. 강남길(50) 꽃조경 대표(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 191)가 분재용으로 처음시도한 이번 전시회는 환자들에게 눈길을 끌고 있다.

원예가이드꽃조경 강 남 길씨가 작품설명 "사계(四季)를 보다 남천(南天)이야기"
남천(南天)이란?

남천(Nandina domestica, 南天)
속씨식물>쌍떡잎식물강>미나리아재비목>매자나무과>남천속
학명: Nandina domestica
분포: 아시아

1.남천의 모습
남천(南天)은 매자나무과의 늘푸른 상록 관목이며, 키는 약 2~3미터까지 자란다.
잎은 가죽질이며 3회 깃골 겹잎이다.잎줄기에 마디가 있으며 작은 잎에는 잎자루가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3~10센티미터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가지 끝에 지름 6밀리미터의 흰색꽃이 6~7월경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봄에는 어린순이 푸르게 올라오고 열매가 열려 겨울철에는 잎전체가 불그스레한 모습을 띄고 있다. 봄에 흰꽃이 핀다음 가을에 빨간색의 둥근 열매가 열려 있는 모습이 마치 붉은 포도송이가 열려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보기에도 매우 아름답다.

2. 남천의 성분 및 효용
성분은 열매에 도메스틴이, 나무껍질에는 난디닌, 베르베린,도메스티신등이 들어 있다.
최근에는 마그노플로린이 분리되었다.

-문헌에 있는 남천의 효용
가. 남천의 잎을 남천죽엽이라 부르고, 뿌리를 남천죽근으로 부르며, 열매를 남천죽자라고 부른다.
열매는 오래된 해수, 천식, 백일해, 감기로 인한 해수등을 치료하고, 급성전염성간염, 급성위장염에
쓰인다. 잎도 감기, 기침, 백일해에 효험이 있으며, 안구충혈에도 사용한다. 뿌리는 감기로 인한
발열과 두통을 치료하고 폐열로 인한 해수에 좋은 효과가 있다.-북한에서 펴낸<약초의 성분과 미용>

나. 매자나무과의 식물인 남천죽이다. 상록성 관목으로 높이는 2미터에 이른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고 성숙하면 선홍색을 띤다. 산비탈의 잡목림 속 또는 관목이 모인곳에 자란다. 중국의 장강의
중하류에 있는 각 지역에 분포한다. 뿌리와 줄기는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절편하여 햇볕에 말리고,
열매는 가을과 겨울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뿌리와 줄기는 쓰고 차다. 열매는 쓰고 평하며 독이
조금 있다. 뿌리와 줄기는 청열제습, 통경활락하며, 열매는 해수를 그치게하고 천식을 낫게 한다.
뿌리와 줄기는 감모발열, 페열해수, 습열황달, 급성위장염을 치료하며, 열매는 해수천식을 치료한다.
하루에 뿌리와 줄기 10~3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열매는 하루 1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중국에서 펴낸 <본초도감>
**남천(南天)
남천은 참으로 고운 나무이다.
오랜 세월을 보내며 고목화된 뿌리위로 얄상한
가지를 드러내며, 잔잔한 잎새의 부딪힘속에
속삭이듯한 바람소리를 듣는다.

이처럼 고요하고 정적인 동양의 멋을 드러낸 나무가
어디 있을까 싶다.
예로부터 집안에 두면 액을 물리친다하여,
대문 들어서는 입구나, 집안 울타리 아래 주로 식재하 여, 집안의 운이 좋은 쪽으로 흐르도록 하였다한다.
남천의 꽃말 또한 전화위복이다.

▲ 지난 전시회사진
근래들어 아파트 문화가 발전하면서 집안에 나무를 식재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 차츰차츰 남천의
좋은 의미도 잊혀져 갔다.
허나, 최근 아파트 조경이 큰 쟁점으로 대두되면서 아름다운 조경의 비중을 크게 두다 보니 남천이 여기저기 등장하기 시작한다. 전자에 올린 내용대로 대문앞에 두면 액을 물리친다는 좋은 의미가
있어 아파트 입구쪽에는 주로 관목식재용으로 남천을 군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남천의 전화위복이라는 꽃말도 좋지만, 이처럼 잔잔한 사계를 느낄수 있는 나무가 어디 흔하랴.
봄에는 새순을 뽐내며 살며시 눈을 뜨고, 초여름 하얀꽃잎 대롱대롱 매달아 푸른열매 만들고,
초가을부터 익어가는 열매는 11월 중순쯤 정점을 이루듯 붉게 물든다. 12월 하얀 눈속에 붉게
빛나는 남천실(南天實)을 보고 어찌 황홀하지 않겠는가?!

요즘엔 주변에서 쉽게 볼수 있는 평범한 나무 남천. 군식용으로 평범하게 식재되는 남천이 색다른
모습으로 환골탈태(換骨奪胎)하였다.
각각의 남천마다 곧으면 곧은대로, 휘었으면 휜대로, 누이면 뉜대로 저마다 아름다운 작품이 된다.
고목화된 남천의 뿌리를 드러내어, 흙속에 숨은 남천의 매력을 최초로 선보이며 전시를 하였다.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남천의 매력에 본인이 빠져든 것처럼 많은 사람이 이러한 남천의 매력에
빠져 사계(四季)를 즐기길 바라며 오늘도 여전히 남천을 어루만지고 있다.

문의: 원예가이드꽃조경 강 남 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