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국민이 기자인 한국시민기자협회] 누구나 시내를 걷는다든지 시내버스에서 화장실을 가고 싶어 애간장을 태우며 발을 동동 구르며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어찌할 줄 모를 때가 한 두 번은 있었을 것이다. 더구나 겨울철이면 더 심하고 나이가 많을수록 개방화장실의 고마움을 느낄 것이다.

겨울철에 오줌이 자주 마려운 것은 몸 밖으로 배출되는 땀과 관련이 있는데 땀도 오줌과 마찬가지로 몸속에 생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설하는 것이다. 여름에는 땀으로 많이 흘러 배출하지만 겨울에는 땀을 적게 배출하고 오줌으로 배출하므로 오줌양이 많아 자주 소변을 보게 된다고 한다.
시내에서 일을 보다가 오줌이 마려우면 건물에 들어가면 열쇠가 채여 졌거나 화장실이 어디 있는 줄도 모른다. 발을 동동 구르면서 개방화장실을 찾지 못하면 찔끔거리면서 으슥한 곳에 어쩔 수 없이 실례를 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럴 때 노상방뇨로 범칙금(노상방뇨벌침금 5만원)도 물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범칙금은 차후 문제고 오줌통이 터질 것 같은데 체면쯤은 어쩔 수가 없다.

광주시에서는 지난 8월에 개방화장실을 확대하여 국제행사에 대비 특별교부금을 자치구에 지원해서 건물주들을 설득한다고 했으나, 시민들의 눈에는 개방화장실의 위치나 표지판이 어디에 있는지 불편하기는 마찬가지다.
개방화장실 표지판이 너무 적고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부착되어 있으며 현 위치에서 얼마의 거리에 무슨 건물에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전시행정처럼 보인다. 개방화장실에 되한 지원금이 일 년 예산은 상당한 모양이다.

개방화장실은 시민의 눈에 잘 띄는 시내버스 승강장 표지판 승강장 이름 아래에 개방화장실 이정표를 부착하는 것이 시민들에게 가장 편리를 제공하는 것이 될 것이다. 시내버스 승강장 표지판은 도로마다 없는 곳이 없으며 승강장 표지판을 보면, 개방화장실 위치. 몇m거리. 무슨 건물. 몇 층에 있음을 표시한다면 시민들을 위한 화장실 복지문화가 잘 되었다고 할 것이다.
광주는 국제행사를 많은 도시이고 외국인들이 와서 화장실 때문에 어려움이 없도록 개방화장실을 확대하고 개방화장실 이정표를 시내버스 승강장 표지판 승강장 이름 아래에 부착하면 좋을 것 같다.
관계당국은 개방화장실에 대한 관심이 도시환경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며, 시민들이 개방화장실을 찾지 못하고 오줌을 참음으로서 발생하는 심적 고통과 질병을 없애는 사업이므로 개방화장실에 관심을 갖고 국제도시답게 화장실문화를 개선해 주기를 시민들은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