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는 일자리 확충에서 시작
노인복지는 일자리 확충에서 시작
  • 한국시민기자협회
  • 승인 2013.10.02 2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 국민이 기자인 한국시민기자협회]오늘 노인의 날…광주·전남 65세 이상 50만명 일자리 대다수 단순 노무직 편중 “소득 창출 생산적 일자리가 최선의 대안”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늘어가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단순 노무직이 대부분이어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정도가 가파른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65세 이상 노년층의 취업률이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어 노인복지차원에서 일자리 확대가 시급한 실정이다.

1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 광주지역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4만4천732명으로 전체 인구 146만9천216명의 9.9%이며, 전남은 36만6천524명으로 190만9천618명의 19.2%를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달 30일 발표한 ‘2013년도 고령자 통계’에서 전체 인구의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 12.2%와 비교하면 광주는 평균보다 낮지만 전남은 7% 포인트가 높을 정도로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통계청은 현재 고령자 비율이 미국이나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지만 2030년 24.3%, 2050년 37.4% 수준에 이르러, 2040년에는 일본 다음으로 고령자 비율이 높은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은퇴 후에 생활이 넉넉지 못해 다시 일자리를 찾는 노인들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의 경우 지난 2010년 5만9천명이던 60세 이상 취업 인구가 2011년 6만2천명, 2012년 6만5천명, 2013년 8월말 현재 7만4천명으로 눈에 띄게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전남도 2010년 23만1천명, 2011년 23만2천명, 2012년 24만9천명, 2013년 8월 말 현재 26만1천명에 달했다. 전남의 경우 고령자 취업은 20-30대 청년 취업자 23만5천명을 뛰어넘고 있다.

통계청 조사 결과 국내 고령층(55-79세) 인구의 10명 중 6명은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하고 싶어 하는 이유로는 생활비 보탬(54.8%)이 가장 많았다.

이들이 이처럼 취업에 나서는 것은 속칭 ‘시니어 보릿고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고령자를 위한 취업 문호가 매우 좁을 뿐만 아니라 재취업 가능 직종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와함께 주요 취업직종이 단순노무직에 편중되고 일시적인 단기취업에 한정돼 있어서 고학력 및 전문직 퇴직자들의 일자리 마련에도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행정기관이 노인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일자리 창출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대부분 공익형에 머물고 있는 형편이다.

올 한해 9천712개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광주시의 경우 8월말 현재 노인일자리 사업 8천30개, 손자녀돌보미 185개, 도시거리환경정비 200개, 재활용품수거 100개, 노인일자리 취업지원 700개 등 8천515개의 일자리를 마련했다.

하지만 광주시가 마련한 일자리도 단순노무직에 편중되고, 일시적인 단기취업에 한정돼 있어 고학력 및 전문직 퇴직자들의 일자리 마련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화두가 되고 있는 노인 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이 일을 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마련하는 것이 최선의 정답이다.

이와 관련 방희명 남부대 교수는 최근 고령사회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노인들이 처한 열악한 경제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종 연금 확충 등의 소득보장과 함께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생산적 일자리 참여 지원책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고 강조했다. /정성문 기자  (광주매일신문은 시민기자양성을 위해 지역발전기금으로 운영을 했던 회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