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W 경제tv 신선미기자에 따르면 추경호 기획재정부 1차관이 "창조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이 성공하려면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추차관은 정부가 다양하고 새로운 정책을 내놓아도 정책만으로 창의성과 혁신이 생겨나지 않는다며, 과거와 같은 획일적인 규제나 지원이 아니라 현실과 제도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현장성과 융통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영국 런던 동부의 산업클러스터 `테크시티`와 이스라엘 정부가 벤처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조성한 `요즈마 펀드`도 정부가 소통을 바탕으로 민간의 역량발휘를 지원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우리 경제도 저성장을 극복하고 다시 성장 중심의 경제로 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의 창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의 혁신역량을 보면 GDP 대비 R&D 지출액, ICT 기반 등은 양호하지만,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어려운 교육시스템, 대기업 중심의 시장구조, 재기를 도와주는 지원방안이 부족하다며, `창조경제 실현계획`을 통해 2017년까지 한국의 혁신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추 차관은 국가별 혁신역량이 다른 만큼 선진국의 정책경험에서 교훈을 얻되 한국의 고유한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한국형 창조경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자료제공
기술거래사/강민균(010-3288-8630)
강민균 사업화전문위원의 벤처정책 벤처창업 카페http://cafe.naver.com/kovec1
(주)한국벤처기업육성센터 www.kovec.kr
(사)한시협 불공정거래제보센터http://www.civilreporter.co.kr/event/event5-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