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안기사입니다]
[사례 1] 지난 2000년 권리금 3000만원을 내고 남양유업 치즈 대리점을 개업한 김웅배씨는 같은 해 본사 영업사원에게 대리점 개설비 명목으로 200만원을 갈취당했다.
2009년에는 다른 영업사원에게 거래처를 쪼개는 조건으로 권리금 1100만원을 돌려받고, 300만원을 갈취당했다. 특히 김씨는 말일마다 본사로부터 500만원 상당의 물품을 강매당하고, 영업 손실에도 불구 물품대금을 입금해야 했다.
[사례 2] 남양유업 왕십리 대리점은 지난 1월 31일 본사로부터 계약해지를 통보받았다. 앞서 남양유업의 불법착취 규탄대회를 주최한 것이 화근이었다. 이후 남양유업은 인근 대리점을 회유해 상품을 납품했고, 왕십리 대리점은 권리금과 투자비용을 모두 날리고 폐업으로 몰렸다.
[사례 3] 지난 1999년 남양유업 능곡 대리점을 인수한 최근훈 씨는 2003년부터 하루 40~50만원 상당의 상품을 강매당했다. 월 평균 손실액은 500만원 내외. 결국 최씨는 지난 14년 동안 8억원의 손실과 빚을 지게 됐다.
특히 김씨는 정기적으로 영업사원에게 리베이트 명목의 현금을 상납하고, 2011년엔 매출육성 성공 구실로 본사에 560만원을 강제 입금했다. 결국 최씨는 고등학생인 아들을 아내에게 맡긴 채 지난해 법원에 이혼장을 접수했다.
대리점에 대한 본사 영업사원의 폭언과 ‘상품 떠넘기기’로 비난을 받고 있는 남양유업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사실을 은폐하고, 항의하는 대리점에 보복조치를 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창섭 남양유업대리점피해자협의회 대표는 7일 이종걸 민주당 의원 주최로 국회 본청에서 열린 ‘재벌·대기업 불공정·횡포 피해사례 발표회’에 참석해 △떡값 요구 △유통기한 임박 상품 보내기 △파견직 사원 임금 떠넘기기 등 남양유업의 추가 불공정거래 행위를 폭로했다.
특히 이 대표는 남양유업이 불공정거래에 항의하는 대리점에 대해 계약을 해지하거나 투자비용의 매몰 가능성을 빌미로 협박을 가하고, 본사 전산데이터를 조작해 증거를 은폐하는 등 비정상적인 방법을 동원해 가맹점주들을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남양유업은 명절마다 각 대리점으로부터 10~30만원을 떡값 명목으로 착취하고 있다. 또 판매 장려금과 육성 지원비 등의 명목으로 본사 리베이트 비용의 10~30%를 요구하며, 임직원의 퇴직 위로금까지 일부 부담케 하는 경우도 있었다.
심지어는 자사 직원들의 임금을 떠넘긴 경우도 있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등 대형유통업체에 판매사원 명목으로 직원을 파견하고, 해당 직원 임금의 70~80%를 부담케 한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대리점을 영업 파트너라고 인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남양유업은 대리점을 불법적 착취의 대상, 영원한 호구라고 생각한다”며 “어떤 수단을 사용해서라도 이익만 추구하겠다는 경영마인드를 가지고, 임직원에게도 이런 식의 정신교육을 시킨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이날 발표회에는 남양유업 외에도 CJ대한통운·한국GM자동차·크라운베이커리 등 대기업 대리점 피해자들이 참석해 이들 기업의 불공정거래를 고발했다. 이들 기업의 불공정행위는 주로 과도한 영업압박과 대리점에 대한 비용 전가 등이다.
발표회를 주최한 이 의원은 “대기업의 모럴해저드에 따른 시장경제의 폐해를 제도적으로 방지해야 한다”면서 “재벌·대기업의 횡포가 근절돼 경제민주화 실현에 의한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적 노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데일리안 =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