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 활동하면 뭐가 좋을까
시민기자 활동하면 뭐가 좋을까
  • 한국시민기자협회
  • 승인 2012.11.29 11: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8년  인터넷 시민기자 교육

 

3기 시민기자아카제미 교육 과정

 시민기자 활동하면 뭐가 좋을까

글쓰기를 좋아하는 시민의 입장에서 인터넷, 지면, 잡지, 책 속에 자기가 쓴 글이 수록 된다는 건, 가문의 영광이다.

가상의 세계가 현실이 되는 세상이 좋다. 21세기는 가상세계가 피부로 와 닿는 세계다.
시민기자들이 수만 명 늘어나면서 도시가 밝아지는 현상도 있으며, 기존의 언론에 한몫을 차지 할 정도로 시민들의 기사가 소통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내가 속해 있는 한국시민기자협회(http://www.civilreporter.co.kr)는 마라톤중이다. 약 4년 전 민주인권평화를 외치는 빛고을 광주에서 태어났다. 그 당시 103명의 시민들이 모여 인터넷 시민기자교육을 하였으나, 부족한 글쓰기를 보강 하여주기를 원했던 성원에 힘을 입어 체계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협회가 만들어졌다.

어떤 사람이 “시민기자가 뭐다요 아무것도 아니제” “예 맞아요” 생활하는 도중에 재미있거나 불편하거나 도시의 동네방네 이야기를 사회에 전하는 일반 시민들이 모여 만든 단체입니다.

그런데 활동을 하면 재미가 있습니다. ‘우리 동네는 어디가 더럽네요’ 하고 몇 글자를 쓰면 그 다음날 깨끗해지는 현상에 글 쓰는 재미가 붙었습니다. 자기 동네에 봉사하고 사회 정화차원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시민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도로 패인 곳을 구청에 전화해보세요 석 달은 걸리는데, 기사나 글로 써놓으면 일주일 안에 도로가 깨끗해집니다. “진짜 당케라 기사로 있응께 봐보쇼” 내가 쓴 글로 병든 도시가 고쳐진디 재미있는 것 아닙니까. 그냥 생활하다가 보시고 쓰면 됩니다. “옛날 같으면 택도없는소린디라” 요즘은 1인 미디어 시대입니다.

예 선생님 “글을 잘 못 쓴디 어쩐다요” “워매 사람죽것네” “글 잘 쓰면 조선일보 기자 해불제라” "아저씨 우리는요 중학생 이상이 이해 할 수 있는 글이면 좋은 글이라고 신방과 교수에게 교육 받았습니다". “대처나 시민기자니까 그러것소” 시민기자는 프리랜서이기 때문에 일 년에 한 번, 글을 쓰든 사진백장을 올리든 아무도 탓하지 않습니다. 자기 주변소식과 업무적인 홍보성 글을 써도 시민기자니까 괜찮습니다.

 

시민기자에 관심 있는 여러분

이제는 누구나 민주시민으로서 아젠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리라 믿습니다. 시민기자들이 전국에서 수많은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고, 가공해서 발 빠르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기자란 감히 아무나 넘 불 수없는 아성이었습니다. 하지만 21세기는 누구나 기자가 되는 시대이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대적 이데올로기라 해도 틀린 말이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그동안 시민과 대중은 언론의 주체라기보다는 객체이었습니다. 시민을 외면하고 우롱하는 대형 언론사만 살아남을 수 있는 사회적 경제 고리가 민주주의 발목을 붙잡고 있었기에 시민들은 억울하지만 소통하는 공간이 부족하여 통할 수 없었습니다.

지금은 21세기입니다. 누구나 기자가 될 수 있는 세상이고 메이저 기자의 글보다 시민기자들의 덜 떨어진 글들이 파괴력을 가질 수 있는 통 큰 세상입니다. 포털의 아고라. 판 등이 사회적 이슈를 몰고 다니듯이 시민의 글이 소통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는 말입니다.

시민이 스스로가 언론의 주체임을 자각하고 언론의 기능과 사명을 올바르게 인식하여야 할 시대적 책무가 모든 시민에게 주어진 것입니다. 전국의 많은 시민기자는 시대적 사명과 요구에 부응하여, 진정으로 소통되는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국시민기자협회는 체계별 시민기자아카데미 과정을 거쳐 법에 위반되지 않도록 지도 관리하며, 글을 잘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교육을 시켜 올곧은 시민들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자리를 잡도록 노력할 것 이다.


한 국 시 민 기 자 협 회 (KCRA - KOREA CIVIL REPORTER, INC ASSOCIATION)

2008년 민주, 인권, 평화를 외치는 광주에서 글쓰기를 좋아하는 시민들이 모여 광주전남시민기자총연합이 출범, 2010,10,9 한국시민기자협회로 창립 발돋움 하고, 2012년 5월3일 사단법인 등록증을 교부받았다. 태동하면서 언론관계자나 신문방송학 교수들의 프라보노로 성장 동력이 되었다. 본 협회뉴스 사이트(http://www.civilreporter.co.kr/)에서 교육을 받은 시민기자들이 협회 뉴스창과, 무등일보, 광주매일신문등 다양한 1인 미디어시대 시민기자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이다. 특히 특산물기자단과 1동네 1인 시민기자 활동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시민언론단체이다.

광주광역시 서구광천동 659-9 3층 TEL-431-0009/527-0009 (문의: 사무국장 010-7609-770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