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년동안 참을성과 단체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지도해온 극기훈련전문단체 해병대전략캠프( www.camptank.com ) 이희선 훈련본부장이 '어린이 명절 증후군 예방 7계명'을 소개했다.
1. 장거리 차량 이동에 따른 스트레스를 풀어줘라 : 장시간에 따른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게임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아이들의 피로를 줄여준다. 또한 차량 운행중 가급적 용변을 자주 보게 한다.
2. 대가족 스트레스에서 어린이를 보호하라 : 최근 가족제도는 3~4명의 핵가족이 많다. 핵가족 속에서 적응하고 살아왔던 아이들에게는 대가족이 모이는 명절에 익숙하지 못하고 부담스러울 수 있으므로 명절 내내 어른들 속에 아이를 가두지 마라.
3. 공부나 성적 스트레스를 받게 하지 마라 :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 아빠 친구 아들은…” “사촌 누구는 몇 등 한다더라, 학원을 몇 군데 더 다닌다더라” 등의 공부나 성적을 비교하지 마라. 특히 명절 연휴에 학원으로 보내는 것은 금물이다. 스스로 외톨이를 만들 수 있다.
4. 어린이를 소외시키지 말고 참여시켜라 : 고스톱, 카드놀이 등 성인 놀이에 빠져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고, 전통놀이나 고장의 역사 유물, 체험학습 등을 찾아 아이와 함께해라.
5. 음식 스트레스를 주지 마라 : 명절이니 전, 떡, 송편 등 전통음식만 먹으라고 강요하지 마라. 아이들에겐 갑자기 길들여지지 않은 음식을 먹을 경우 강한 거부감을 나타낼 수 있다. 아이가 평소 좋아하는 햄버거, 피자 등의 음식도 곁들여라.
6. 친인척 스트레스를 주지 마라 : 사촌, 오촌, 먼 친척들에게 무조건 인사를 시키다 보면 친인척들이 두려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서서히 자연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게하라.
7. 부모의 스트레스를 자식에게 전가하지 마라 : 회사 일, 사업 이야기 등 부모 자신이 겪는 아픔을 이겨내기보다 아이를 고통을 나눌 대상으로 여긴다. 이런 부모의 갈등을 고스란히 떠안은 아이들은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는다.

[모든 국민은 교육자다! - 뉴스에듀신문 www.newsedu.co.kr]
뉴스에듀 태그와 함께 교육목적의(상업목적 외) 전재·복사·배포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