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老人) 대신할 명칭으로 연륜과 지혜에 대한 존중의 의미 담긴 ‘어르신’으로 선정" 서울시는 앞으로 ‘노인’ 명칭 대신 ‘어르신’을 사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나이 든 사람의 경험과 지혜에 대한 공경 그리고 활동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가 드러날 수 있는 대체명칭을 선정하기 위해 노인 대체 명칭 공모전을 개최한 결과 ‘어르신’이 새로운 명칭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대체명칭 결정 과정은 시민들에게 공모를 받은 후, 3단계 심사를 거치는 등 시민과 관계단체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했다.
우선 지난 6월18일부터 7월6일까지 노인 대체명칭을 공모해 총 2046건(노인복지관, 경로당 대체명칭 포함)의 명칭을 제안받았다. 이렇게 공모된 명칭을 대상으로 어르신명예부시장, 한글학회 관계자, 노년학회 관계자 등이 모여 상위 10개의 명칭을 1차 선정했다.
2차로 상위 10개 명칭을 대상으로 8월9일부터 8월17일까지 9일간 시민을 상대로 온라인 선호도를 조사를 했고, 이를 바탕으로 9월 5일 행정용어순화위원, 시의원, 노년단체 관계자, 공무원 등이 모여 최종 심사를 실시해 ‘어르신’을 대체명칭으로 최종 선정했다.
최종 심사에서는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정도(공감성), 쉽게 부를 수 있는 정도(대중성), 기존 명칭과 구분되는 정도(독창성)를 심사했다.
노인 대체명칭과 병행해 심사한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의 대체명칭으로는 ‘어르신복지관’과 ‘어르신사랑방’이 각각 선정됐다.
한편, 노인 대체명칭 공모전의 최우수상은 존중의 의미, 그리고 지혜와 경험이 풍부한 사람의 의미가 담긴 ‘어르신’을 제안한 최지혜씨에게 돌아갔다. 이외에도 우수 2편과 장려 2편이 선정됐다.
선정된 최우수 1편, 우수 2편, 장려 2편에게는 각각 50만원, 15만원, 1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노인복지관 대체명칭인 ‘어르신복지관’은 신규시설 건립 시 곧바로 적용하는 한편, 경로당의 경우는 현재 명칭이 어르신을 공경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어르신들이 선호하므로 그대로 사용하되 신규 등록시 대체명칭인 ‘어르신사랑방’의 병기를 권고하기로 했다.

「한국시민기자협회 서울특별시 조직위원회 조직위원 / 시민기자 김선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