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관장 강홍빈)에서는 8․15 광복절을 기념하여 재일한인역사자료관(일본 도쿄 소재) ․ 동북아역사재단과 공동으로 오는 8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열도 속의 아리랑>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재일동포가 일본에서 생활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비롯해, 열악한 환경과 차별 속에서도 역경을 극복하고 일본사회에서 당당한 한민족의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 등 ‘재일동포 100년의 역사’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아울러 일본 사회에서 재일동포들이 겪는 차별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일본 대중판화인 니시키에(綿畵)의 역사그림을 통해 짚어본다.
1920년대 후반 이후 매년 8~15만 명의 조선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갔으며, 1930년대 후반 중일전쟁 이후 부족해진 일본 내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일본 전역의 탄광과 광산, 토목공사 현장에 조선인이 동원되었다.
1945년 해방 후 일본에서 잔류한 재일동포가 약 70만 명. 이들은 지난 100여 년간 일본의 혹독한 차별과 억압 속에서도 한민족으로서의 긍지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PART Ⅰ: 재일동포 100년의 삶과 꿈은 일본의 식민지배로 인해 현해탄을 건너갔던 재일동포의 역사를 조명한다. 일본으로 건너가는데 필요한 도항증명서, 일제강점기 일본 내 조선인을 통제하기 위해 배부하였던 협화회 수첩, 한인이 운영한 파칭코기계 등은 궁핍과 차별을 견디며 살아야 했던 재일동포의 삶을 보여주며, 세계적인 바이올린 장인 진창현의 제작도구, 장훈 선수의 유니폼과 사인볼, 정대세 선수와 이충성 선수의 축구 유니폼 등은 오로지 실력만으로 인정받는 분야에 진출해야했던 재일동포의 현 주소를 보여준다.
이번 전시를 통해 서울역사박물관과 동북아역사재단, 재일한인역사자료관은 재일동포의 역사를 한국 사회에 널리 알리고, 재일동포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재일동포의 역사를 한국 근현대사의 한 장면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전시는 오는 9월 30일까지 계속되며, 관람문의는 724-0275~6으로 하면 된다.
「한국시민기자협회 서울특별시 조직위원회 조직위원 / 시민기자 김선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