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군, 내수면 어족자원 회복 위한 노력! 인공 산란장 조성!
단양군, 내수면 어족자원 회복 위한 노력! 인공 산란장 조성!
  • 이상린
  • 승인 2023.04.13 21: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공 산란장 조성 모습(사진 단양군청 제공)
인공 산란장 조성 모습(사진 단양군청 제공)

단양군은 매포읍 하괴리 도담삼봉 인근과 영춘면 하리 온달동굴 인근 2개소에 각각 75㎡ 규모로 어족자원 중식을 위해 인공산란장을 추가 설치했다고 11일(화) 밝혔다.

어류 산란기인 4∼5월은 댐 수위가 감소하는 시기로 붕어·잉어류 물고기들이 수초나 나뭇가지 등에 산란해 놓은 알이 육지로 드러나 말라 죽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수산자원 감소 원인이 돼왔다.

이에 군은 단양강에서 서식하는 민물고기 산란과 부화 등 지속적인 어족자원의 회복을 위해 총사업비 2,700만 원(국도비 86%, 군비 14%)을 들여 인공산란장 150㎡을 조성했다.

인공산란장은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만든 어소를 물에 띄워 놓고 어소 틀에 물고기가 알을 산란할 수 있도록 인공 어초를 만들어 고정한 시설이다.

군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인공산란장을 설치해왔으며, 지난해 단성면 하방리 적성대교 인근과 매포읍 삼봉로 도담삼봉 인근에도 288㎡ 규모로 설치 운영했다.

인공산란장은 산란지와 서식처를 잃고 제때 산란하지 못하는 물고기들을 위해 관내 자율관리어업공동체 회원들이 장마 전까지 꾸준히 관리·유지하게 된다.

군은 최근 3년 동안 인공산란장 효과를 충청북도내수면산업연구소에 의뢰한 결과 붕어와 잉어 등 평균 30% 생산량이 증가한 14만4,000여 마리의 산란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추가 설치한 인공산란장 효과 및 이용 효율 조사 등을 위해 군은 충청북도내수면산업연구소와 인공산란장 효과조사에 대한 위·수탁 협약을 체결했다.

충청북도내수면산업연구소는 인공산란장 시설 위치 적정성 및 설치유형, 주변 출현 어류, 품종, 산란량 및 부화량, 수질 환경조사 등을 시행하게 된다.

군 관계자는 “인공산란장 확대 및 철저한 유지관리를 통해 어류의 자연 산란 촉진 유도로 토종어류 서식 환경이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