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유명한 조류학자가 산에서 예쁜 소리를 다양하게 내는 앵무새 둥지 하나를 발견했다. 그 둥지 안에는 앵무새가 부화시킨 새끼 앵무새가 자라고 있었다. 조류학자는 둥지 안에서 갓 털이 뽀송뽀송하게 나온 새끼 한 마리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서 정원의 새장 안에 넣고 먹이를 주었다. 그런데 다음날 조류학자는 깜짝 놀랐다. 어미새가 조류학자의 집까지 따라와서 새끼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주는 것이었다. 조류학자는 앵무새 새끼의 먹이 걱정은 더 이상 안해도 되겠다고 안심하며 며칠을 지났다.
하지만 며칠후 들여다 본 새장안의 새끼는 죽어 있었다. 깜짝 놀란 조류학자는 새장 안의 앵무새 새끼가 죽은 원인을 조사해 보았다. 그런데 놀라운 반전이 밝혀졌다. 어미 앵무새가 독성이 많은 것들을 새끼에게 집중적으로 물어다 먹였고 그로 인해 새끼는 곧 죽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조류학자는 본래 있어야 할 자연이 아니라 인위적 공간인 새장에 갖혀 울부짖는 새끼의 소리를 해결해 주지 못하는 어미새가 새끼를 독살시키는 최후 극처방을 했음을 깨달은 것이다. 새는 자연에서 자연스럽게 살아갈 때 행복한 것임을 유치원도 안 다닌 어미새가 유명하다고 자처하는 조류학자에게 가르친 것이 아닐까?

행복도 자연스럽게 매 순간 누려야 하는 일상적인 호흡과 같은 것이다. 진정한 행복이란 죽고 난 다음 저 세상에서의 생애에 경험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이 순간 자연스럽게 스물스물 체험되어야 하는 것이다. 행복 코디네이터가 모스크바를 갈 때마다 선배 행복 코디네이터인 톨스토이의 흔적이 남아 있는 그의 생가나 여름궁전을 찾는 이유는? 러시아 황제가 특별 선물한 황금마차를 돌려 보내고 직접 두발로 자전거를 타고 크레믈 왕궁을 들락거리던 톨스토이의 행복인문학적 생활철학의 담긴 '3가지 질문'이라는 단편소설 내용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3가지는 지금 이 순간이고, 이 순간 함께하는 사람이며, 지금 함께하는 사람에게 선을 베푸는 것'이라는 말 말이다.
톨스토이는 인생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Here and Now'로 제시한 것이다. 즉 '이 순간'의 매우 중요한 가치를 웰빙과 관련하여 강조한 것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귀한 금은 지금이라는 말이 있듯이, 나도 이 순간의 준엄한 가치는 한국행복학회 연구원 및 행코 책임교수인 중원대학교 교수 조민희 박사와 함께 대학 교재로 공저 집필하게 될 [행복인생경영]에서도 기본 맥락으로 디자인할 것이다. 아무튼 '이순간'이라는 가치는 누구에게서나 웰빙 및 웰에이징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행복 코디네이터는 예일대학교 교수 출신인 신학자 헨리 나우웬이 자신의 행복인문학을 농축한 'Here and Now'라는 저서에서, 나우엔 박사의 핵심 철학을 행복 코디네이터 실습교재의 프로그램에 일부분 활용하고 있다. 헨리 나우웬은 이 순간을 웰빙하는 방법을 명쾌하게 정리했다. 그는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불안을 단절시켜야만 행복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나우웬은 행복의 시작점은 과거도 아니고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도 아니며, 바로 '이 순간!'이라는것을 우리에게 강조한 것이다.
정말로 나우웬의 말은 맞는 말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감미로운 사랑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지금 이 순간이다. 스펜스 존슨은 [누가 내 치즈를 옮겼나]라는 저서에서 '신이 인간에게 주신 선물은 지나간 과거도 아니다.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도 아니다. 가장 크고 확실한 선물은 바로 지금 이 순간이다'라고 강조했다. 나도 존슨의 이러한 주장에 적극 동의한다.
인간론과 관련하여 불교의 핵심 이론인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인과론적 설명, 기독교에서 현생에 대한 심판에 대한 설명도 따지고 보면 Now and Here 즉 이 순간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강조하는 것만이 아니라 현재 누려야 할 행복의 가치를 높이 설명하고자 제시한 강조법이 아닐까 싶다.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가 [송가]에서 외쳤던 'Carpe Diem'(카르페 디엠) 역시 그런 맥락이기도 하고....
<글> 김용진 교수, 전)한남대학교 철학과 강의교수, 국제웰빙전문가협회 협회장, 행코교수단 단장, 한국행복학회 학회장, 행복 코디네이터 창시자, 유튜브 '인생이모작 행복 코디네이터' 크리에이터, 한국공보뉴스 칼럼니스트로서 국제웰빙전문가협회를 통해 행복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투 트랙(대학교에 행복교과목 또는 행복관련학과 개설 등 지원, 마을리더 행복멘토 직무교육 의무화 입법 추진)을 실현해 가는 중에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