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전 부장검사는 이날 광화문 광장에서 '정치검사 웬 말이냐, 조선일보 사과하라. 박성수는 그렇게 살지 않았다'는 문구의 피켓을 들고 조선일보 사옥을 향해 1시간동안 1인 시위를 벌였다.
박 전 부장검사는 조선일보 2월 8일자 사설 '정치검찰 비판하다 정치에 나선 전직 검사들'에 대해 "마치 (제가) 검찰 내에서는 인사 불이익이나 뒷조사를 받을 위험이 있어 눈치만 보다가 정계 투신의 명분으로 검찰개혁을 주장한 정치검사처럼 보도했다"며 "현직에서 기소권과 수사권을 갖고 사건을 은폐하거나 수사를 고의로 지연시키는 것이 정치검찰이지 검찰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려는 박성수가 왜 정치검찰인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박 전 부장검사는 "수십명의 검사가 정치를 한것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가 진보개혁 세력 민주당에 들어가서 새로운 정치를 한번 해보겠다는 논의에서 나왔는데 검찰 개혁을 주장하면서 비판했다고 해서 '정치검사'로 매도하는 것에 대해 불쾌했다'고 전했다.
'검찰개혁을 추진하려면 검찰내에 남아서 추진해야 되지 않으냐'라는 질문에 박 전 부장검사는 "검사 신분을 가지고 검찰개혁을 추진하는 것에 한계를 느꼈다. 그 자리는 부장검사나 중간 간부로서 추진하기에는 사실 한계가 있다. 청와대 참여정부 출신이다 보니까 검찰내에서도 여러가지 견제를 많이 받아왔다. 그래서 좀 더 빠르게 검찰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나온 것이고, 자신의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에 대해 '정치검사'라고 매도하는 것은 억울한 일이다"며 입장을 밝혔다.
"정치검사는 개인적인 출세를 위해 수사권을 남용하고, 정치권력에 굴종하고, 정치권력에 편승하고, 정치권력을 이용해 검찰내에 입지를 다지기 위해 고위직에 올라가려 하고, 특정 정파에 치우치는 편향된 생각을 갖고 있는 검사들이 '정치검사'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여 전했다.
박 전 부장검사는 참여정부 청와대 법무비서관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의 무리한 수사에 대한 비판과 검찰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지난달 4일 검찰을 떠난 뒤 제 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서울 강동 을구예비후보로 출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