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의 안일한 화학물질사고 대응을 규탄한다

사고발생 8일이 지났지만 군산시민들은 ‘왜 사고 발생 후 군산시는 바로 대피명령이나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았는지’ ‘왜 군산미군기지에는 알리고, 군산시는 사고소식조차 시민제보로 알았는지’ ‘군산OCI공장이 발표한 염화규소 62kg누출된 것이 맞는지’ ‘모노실란이 아니라는데 그걸 누가 확인해 줄 수 있는지’ ‘단순한 crack으로 인한 사고가 아니라는데’ ‘실제 발표된 시간보다 노출시간이 길었던 것은 아닌지’등 다양한 의문과 확인되지 않은 사실들이 회자되고 있다.
이는 군산OCI 화학물질사고에서 신속한 정보제공과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으면서 행정기관과 기업에 대한 불신에서 나온 결과이다. 특히나 사고발생직후 시민안전을 최우선으로 챙겨야 하는 군산시의 안일하고 무능한 대응이 시민불안과 불신을 키웠다. 실제 사고발생 직후 군산시가 시민안전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알 수가 없다.
군산지역시민사회단체는 유해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군산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요구한다.
첫째, 환경부는 사고수습본부(새만금환경청)를 설치하고 5개 기관이 합동으로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에 사고원인과 사고수습대응과정, 주민피해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결과를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여할 할 것이며, 사고에 대해 법적처벌을 촉구한다.
둘째, 전북도와 군산시는 군산관내 대형화학공장의 화학물질관리 및 시설 안전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군산시민과 전북도민들에게 공개할 것을 촉구한다.
셋째, 군산OCI공장은 제3자기관에 의뢰하여 공장내 화학물질관리와 시설안전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근무하는 노동자와 지역주민이 다시는 이런 화학물질유출사고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스누출사고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 대한 신속한 보상과 건강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추후에 나타날 수 있는 피해에 대해서도 책임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군산시가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에서 보여준 안일하고 무능모습에 군산시민들은 실망했다. 행정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군산시의회 나서서 군산시 행정감사를 실시하고 그 책임을 군산시장에게 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화학공장에서 지역사회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주민들이 알고, 주민이 참여하고 동의하는 화학물질 관리 및 비상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이와 관련된 제반 정보가 주민들에게 소통되도록 하는 체계를 만드는 화학물질안전관리조례 제정을 위해 나서야 할 것이다.
군산지역시민사회단체는 군산OCI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진상조사결과 및 법적처리가 이루어지고, 화학물질사고대응체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관련기관에 대한 감시활동을 해 나갈 것이며, 앞으로 화학물질안전관리조례 제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사고는 언제나 일어날 수 있지만 그 대응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우리는 지금 메르스에 대처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모습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시민의 안전이 우선되는 지방정부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2015년 6월 30일
군산지역시민사회단체
군산교육희망네트워크 군산민생연대 군산목회자정의평화협의회 군산비정규노동인권센터
군산생태환경시민연대회의 군산아이쿱생협 군산우리땅찾기시민모임 군산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금속노조전북지부 노동당군산시당원협의회 민주노총군산시지부 민주민생군산연대 새만금생태조사단
우리영농조합법인 전교조군산중등지회 전교조군산초등지회 전북한살림군산 정의당군산시당원협의회
참여자치군산시민연대 평화바람 환경사랑 하천사랑운동 (가나다순 22개단체)
* 전국시민단체 관계자 여러분 일선 기자들에게 사정하지말고, 이곳에 가입 후 바로 올리시면 4개포털에 뉴스로 게재되니 참고 하시어, 밝은 사회를 만들어 주시는데 앞장서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시민기자협회 사무총장 올림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