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통신사 행렬도 전시전
조선 통신사 행렬도 전시전
  • 정덕구 기자회원
  • 승인 2015.07.18 0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식적인 외교사절.

[한국시민기자협회 정덕구 기자회원]  조선 통신사 행렬도 전시전

▲ 전시중인 닥종이로 만든 조선통신사 행렬도

광주광역시청 1층 로비에서 유니버시아드 경기가 열리는 기간 중에 열리고 있는 조선 통신사 행렬도 1711년 통신사 행렬 중 등급 행렬은 크게 선두호위 조선 통신사는 후미 호의 3부분으로 이어집니다, 이번 전시에는 선두호위 후미호위 일반구분과 조선 통신사 정사 부문 전부와 부사 종사 부문 중 일부분을 전시하고 있다,

닥종이 인형 543점, 말 42점을 전시하고 있었다, 현재 전시하고 있는 작품의 진열 도의 길이는 약 20m 이상의 길이로 전시하고 있어, 이 작품은 9명의 예술가가 한데 모여 작품을 만들고 있는데 나머지 작품이 완성되면 2016년에 대 거작 조선 통신사 행렬 도가 완전히 닥종이 인형으로 구성 되여 전시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작품이 완성되면 이 역사의 통신사 분야 대작으로 서울을 비롯하여 광역시 순회전시회가 있을 것이다, 라고 이야기하였다, 작가들은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하여 한 일간의 역사교류가 양국 간에 큰 시너지비중을 차지하는데 공헌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자료문헌참조 : 조선통신사 [ 朝鮮通信使 ] (두산백과)
요약조선시대 조선에서 일본의 막부(幕府)장군에게 파견되었던 공식적인 외교사절. 

▲ 조선통신사의 이동경로

1404년(태종 4) 조선과 일본 사이에 교린관계가 성립되자, 조선국왕과 막부장군은 각기 양국의 최고 통치권자로서 외교적인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절을 각각 파견하였다. 이때 조선국왕이 막부장군에게 파견하는 사절을 통신사, 막부장군이 조선국왕에게 파견하는 사절을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라고 하였다.

통신은 두 나라가 서로 신의(信義)를 통하여 교류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한 사절의 명칭은 보빙사(報聘使) ·회례사(回禮使) ·회례관(回禮官) ·통신관(通信官) ·경차관(敬差官) 등 다양하였다. 일본에 파견된 사절단에 통신사의 명칭이 처음 쓰인 것은 1413년(태종 13) 박분(朴賁)을 정사로 한 사절단이었지만, 중도에 정사가 병이 나서 중지되었다.

그뒤 통신사의 파견이 실제로 이루어진 것은 1429년(세종 11) 교토[京都]에 파견된 정사 박서생(朴瑞生)의 사절단으로 최초의 통신사라고 할 수 있다. 파견목적은 임진왜란 전에는 주로 왜구 금지요청이 주가 되었으나, 그 후에는 강화와 포로들의 쇄환(刷還), 일본국정의 탐색이었고, 1636년(인조 14) 이후는 막부장군의 습직(襲職) 축하가 주임무였다. 그러나 그 역사적인 의의는 조 ·일 양국간만이 아니라,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삼국의 평화공존을 위한 국제관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데 있다.

파견절차는 일본에서 새로운 막부장군의 승습이 결정되면, 대마도주는 막부의 명령을 받아 통신사청래차왜(通信使請來差倭)를 조선에 파견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 조정에서는 중앙관리 3인 이하로 정사 ·부사 ·서장관을 임명하고 300~500명으로 구성되는 사절단을 편성하였다. 여정은 한양을 출발하여 부산까지는 육로로 간 뒤, 부산에서부터는 대마도주의 안내를 받아 해로를 이용하여 대마도를 거쳐 시모노세키[下關]를 통과하여 일본 각번의 향응을 받으며 오사카[大阪]의 요도우라[淀浦]에 상륙하였다.

그뒤 육로로 교토로 갔다. 조선 전기에는 이곳에 장군이 있었기 때문에 교토가 종점이었지만, 조선 후기에는 장군이 도쿄[東京]에 있었기 때문에 목적지가 도쿄가 되었다. 일행이 통과하는 객사에서는 한시문과 학술의 필담창화라고 하는 문화상의 교류가 성대하였다. 특히 통신사에 대한 화려한 접대는 일본의 재정을 압박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으며, 그 때문에 1711년 아라리 하구세키는 통신사 접대에 관한 규정을 바꾸기도 하였으나 1719년에는 다시 환원되었다.

막부장군에게 조선국왕의 국서를 전달한 통신사는 대개 6개월~1년이 소요되었다. 그들은 방문하는 곳마다 서화 ·시문 등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그것이 화려한 행렬도를 그린 병풍 ·회권 ·판화 등의 형태로 전해진다. 또 그들은 귀국 후 일본에서 겪은 일들을 여러 형태로 남겼는데, 이것이 《해행총재(海行總載)》라는 견문록으로 엮어져서 당시 두 나라 간의 외교적인 역할 및 문화교류의 실상을 보여준다.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범일동 380-4) 조선통신사역사관 Tel : 051-631-085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