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문자 한자의 유래
언어와 문자 한자의 유래
  • 최금숙
  • 승인 2015.06.09 13: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금숙 이중언어가사의 한자 이야기
[온 국민이 기자인 한국시민기자협회 최금숙 ] 한자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오래된 문자중의 하나이며 동시에 세계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문자이다.한자의 총수는 60,000여자에 이르고 상용한자는 약 6,000자에 이른다.

한자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한자는 지금으로부터 4,000여 년전의 갑골문이다.갑골문은 성숙하고 발달된 문자였다.과학자의 계산에 따르면 한자의 역사는 5,000년 정도 된다고 한다.
한자는 일을 기록하고 그림을 그리는 것에서 기원하였다.

고대의 것과 비교했을때 한자의 형태에는 갑골문,금문,소전,예서 ,해서 등의 글자체의 변화가 있었다.현재 통용되고 있는 한자의 글자체는 해서체이다.

한자는 주로 다음 네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상형象形:사물의 형상을 그려내는것을 말한다.예를 들면 월은 양은 이다.

지사指事:상형자에 사물을 가리키는 부호를 덧붙인 것,혹은 완전 히 부호로 구성된 글자를 말한다.예를 들면 도는 도에 점을 하나 찍어 칼날의 방향이 어디 있는지 가리키고 있다.
회의會意:두개 혹은 이상의 부호를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의미를 표시하는 방법이다.예를 들면 휴는 한사람이 나무에 기대고 있는 모습으로 휴식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형성形聲:모양부분과 소리부분을 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내는 방법이다.모양부분에서는 글자의 의미와 속성을 나타내고 소리 부분에서는 글자의 발음을 표시해준다. 예를 들면 호에서 는 이 글자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고 호는 발음을 나타내고 있다.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한자가 형성자이다.

한자는 한국,일본,베트남 등의 국가에서 오랜 세월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국제적인 교류가 촉진되였다.현재 중국인들은 여러 방식을 써서 한자를 컴퓨터에 넣는 문제를 해결하엿고 또 정보 처리 문제도 해결하였다.역사가 증명하듯 한자는 왕성한 생명력을 갖추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