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민주자치연구회 “물포럼···시민을 물로 본 행사, 전시 행사 그만 해야”
대구민주자치연구회 “물포럼···시민을 물로 본 행사, 전시 행사 그만 해야”
  • 김을규 기자회원
  • 승인 2015.05.03 2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픈이벤트 자격루(물시계) 붕괴사고로 국제적 망신
지난 4월 12일부터 17일까지 6일간 대구·경북 세계 물포럼 행사가 대구엑스코와 경주 하이코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모로코·일본·멕시코·프랑스 등에 이은 제7차 세계행사로 국토교통부·대구시·경북도의 공동주최로 개최됐다.

행사를 위해 홍보현수막·간판 2천여 개를 시내 곳곳에 내 걸고, 대구공항 등 16곳에 꽃탑을 조성했다.

택시 1만 5천대에는 행사를 알리는 깃발을 달게 하고, 참가자들의 안전과 외곽 보완을 위해 CCTV 193대를 설치했다.

또한 도심가로수, 도심시설물 정비, 차선도색, 꽃거리 조성을 하고 2천8백 명이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존도 구축했다.

경주에서는 보문호수에 물포럼 성공기원과 분위기 고조를 위해 유등을 띄우고 임시주차장도 22곳을 운영하는 등 성대하게 행사 준비를 했다.

세계 물시장 규모는 2014년 기준 5730억 달러(630조원)으로 반도체 시장의 2배가 되며, 2025년에는 860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했다.

이번 행사로 인한 효과는 어떤 근거인지는 알 수 없지만 1993억원의 경제파급효과와 1900여명에 달하는 고용유발효과를 기대한다고 했다.

실제 168개국이 참가했고,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등 9개국의 정상급이 참석했다. 10개국의 국회의장·부의장, 106명의 장·차관급 인사, 71명의 국내외 국회의원과 4만996명(물포럼1만4320명,엑스코 전시실 2만6676명)이 등록하고 3만5000명이 참여했다고 한다.

4개분야(주제별·과학기술·정치적·지역별과정)의 16개 대 주제별 실행로드맵과 400여개의 세션(전문가별 주제회의)이 진행되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렀다.

모두를 위한 물 안보, 개발과 번영, 지속가능성을 위한 물, 실현 가능한 이해 메커니즘(기제)구축 등을 서약한 대구·경북 실행확약(DGIC)도 선포했다.

이 행사로 인해 대구는 물 산업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을 구축했으며, 경북은 상주 생수회사가 캄보디아에 6년간 최대 700억원 규모의 생수 수출협약 체결했으며, 에티오피아의 75,000개 마을의 상수도관 개설방안 마련, 새마을 운동보급 등 경제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조직위와 대구·경북이 자평했다.

21세기는 물 산업이 블루골드가 되며, 기대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이다. 대구시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물 중심도시 추진단을 구성하겠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조직위와 국토교통부는 행사 6일전인, 4월 6일에서야 서울에서 현장으로 사무실을 이전하는 등 대구시와 경주시와의 협조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여러 부분에서 불협화음을 냈다.

이를 반증하듯 4월 12일 개막식 날, 오픈이벤트인 자격루(물시계)의 붕괴사고가 일어났다.

밧줄을 당기면 항아리 물이 흘러내려 개막을 알리는 북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인데, 이게 제대로 되지 않고 2미터 목재 구조물이 무너지면서 허둥지둥 대어 국제적으로 망신을 당했다. 이에 대한 조직위원회(위원장 이정무)나 대구시장의 설명이나 사과나 해명이 없었다.

시민 참여가 절실하다고 대구·경북이 외치고선 개막식 날에는 대통령 경호문제, KBS의 생방송을 이유로 일반시민의 출입이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대구·경북의 지방자체단체에도 통보도 하지 않았고 초대도 하지 않았다. 이는 시민 우선이라기보다는 행사진행을 우선으로 한 전시행정의 폐단이자 적폐이다.

대구시와 조직위에서 운영한 6개 관광코스의 참가자가 819명뿐이었다는 점, 지난달 12일 대구 무료투어코스 4개중 도심 순환코스 외에는 이용객이 하나도 없었고 조직위에서 운영한 산업시찰 코스도 4~6명뿐이었다는 점이 이 물포럼 행사의 단면을 나타낸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서는 이 행사를 프랑스의 베올리아그룹, 수에즈그룹 등 초국적 물기업의 시장확대 및 이윤창출을 위한 행사로 해석했다.

유엔의 ‘물인권 선언’, 즉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와 위생시설을 보장받아야 하는 것은 ‘인권’임을 천명한 것을 상기시켰으며, 상수도, 정수장, 하수·폐수 처리장까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경제장관회의내용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행자부의 상수도 요금을 원가대비 90%이상 인상할 것을 지자체에 권고하고, 이에 미달하면 국비교부금을 삭감하겠다는 지침을 발송했다고 주장했는데, 이게 사실이라면 실로 심각하다.

대구시는 2013~15년 3년간 물포럼 부담금 20억원, 조직위의 출연금 10억원, 사전준비와 행사지원비 20억원, 홍보비 23억원 등 직·간접 경비 73억원의 혈세를 사용했다.

비용대비 효과가 있었다고 조직위와 대구시는 자평할 수 있는가?

조직위·국토교통부가 주가 되며, 종의 관계로 대구와 경북이 뒤 쫒기만 한 행사가 잘못 되었을 시 망신은 지방정부가 당하는 이 행사에 대해 유치시점에서 역할분담을 논의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다.

즉, 왜 이런 지방정부를 경시하고 홀대하는 행사를 유치했는가?

이 행사가 어떤 내용으로 치러지고 어떤 내용으로 운영되었는지, 관심이 있는 시민이 몇 명이나 있었는지 사전·사후 평가를 해 본적이 있는가?

시민들이 왜 이 행사에 관심이 없는지 알고는 있는가?

이제는 시민의 함의가 포함되지 않고 시민과 함께 호흡하지 않는 전시성, 성과성 행사유치는 그만할 때가 되었다. 시민 대다수가 언제 시작했으며 언제 끝난 지도 모르는 이 행사가 73억의 비용이 들었다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지금 부터라도 시민이 무엇에 대해 관심이 있으며 무엇에 대해 절박한지를 지역 정치권에서는 자문하고 자성해야 한다.

또한 대구시의회에서도 이번 행사의 운영 전반에 대해 문제점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시정활동을 해 주길 바란다.

글: 대구민주자치연구회 ‘파랑새’ 대변인 대구 수성구 의원 강민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