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저널리즘
블로그 저널리즘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4.11.11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블로그의 유형
[사회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고성중 기자] 블로그 저널리즘

목차
1. 블로그의 유형
2. 개인 웹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블로그는 개인웹미디어의 대표적인 서비스 양식이다. 블로그 저널리즘은 블로그를 중심으로 한 웹상의 개인 미디어 활동을 이야기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언론사가 기자 블로그를 개설해서 운영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블로그 저널리즘의 특징은 첫째, 이용자 개인이 메시지 생산자이자 수용자 역할을 하는 기능적 융합성이다. 둘째, 블로그 등 개인 웹미디어가 가진 소통의 양면성이다. 개인 웹미디어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자기표현적(self-representative), 관계지향적(network-oriented), 참여지향적(participatory)인 성격을 갖는다. 셋째, 다양한 메시지들이 고르게 배포되고 수용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이다. 넷째, 블로그의 분산형 네트워크가 보여 주는 사회적 연결성이다. 다섯째, 메시지 생산과 소비의 실시간성이다.

1. 블로그의 유형

SNS를 이용한 크라우드소싱 저널리즘 사이트 '오프더버스'를 만든 뉴스어사인먼트넷의 제이 로젠(Jay Rosen, 1956~ )
SNS를 이용한 크라우드소싱 저널리즘 사이트 '오프더버스'를 만든 뉴스어사인먼트넷의 제이 로젠(Jay Rosen, 1956~ )
ⓒ 커뮤니케이션북스
블로그 저널리즘이란 블로그를 중심으로 한 웹상의 개인 미디어가 저널리즘 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를 통칭해서 일컫는 용어로 사용된다. 블로그의 등장과 더불어 웹에서 개인 미디어가 본격화되었다. 웹 기술의 진화에 따라 블로그나 SNS 등의 개념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는 결합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블로그의 유형은 관계지향형 블로그, 정보생산형 블로그, 두 유형을 절충한 복합형 블로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관계지향형과 정보생산형은 기존 연구를 통해 기존 미디어의 기능적 대체 수준의 가능성을 지적할 정도로 핵심 역할을 한다. 관계지향형 개인 웹미디어는 카페, 미니홈피 등과 같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 지향 웹미디어를 말한다. 정보생산형 개인 웹미디어는 블로그 같이 정보를 생산하는 기능을 주로 하는 웹미디어가 해당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대부분의 개인 웹미디어는 명확한 기능보다는 복합적인 절충형의 속성을 가진 경우가 많다. 개인 웹미디어가 관계 구축과 유지, 그리고 정보 생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블로그의 이용 목적이나 동기를 다룬 연구에서도 나타난다.

블로그 등의 개인 웹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것은 첫째, 블로그 운영자인 블로거가 기존 언론의 발행(publishing)에 준하는 정보생산 기능을 가짐에 따라 인터넷 공간에서 일정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됐다는 점, 둘째, 블로그의 네트워킹 기능을 통해 정보의 확산력(속도와 범위)이 기존 인터넷 서비스와 달리 매우 높아졌다는 점, 셋째, 개인 웹미디어가 정보의 생산과 이용구조가 수평적인 분산형 미디어이기 때문에 중앙 통제관리가 불가능한 점 등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은 개인 웹미디어로서 블로그의 확산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지만 동시에 다양한 권리침해 현상으로 인한 정책 움직임을 촉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2. 개인 웹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블로그를 중심으로 개인 웹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용자 개인이 메시지 생산자이자 수용자 역할을 하는 기능적 융합성이다. 블로그 공간에서 이용자, 즉 블로거(blogger)는 메시지 생산자의 역할과 수용자의 위치를 가짐으로써 이른바 생산소비자 또는 프로슈머(prosumer)의 역할을 한다. 블로거 자신이 생산자와 수용자의 위상을 동시에 가짐에 따라 아날로그 미디어 공간에서는 볼 수 없었던 메시지 생산자와 수용자의 수평적 관계가 형성된다. 블로그에 제도화된 메시지 생산관계가 없다는 점은 블로그의 역동적인 메시지 생산능력을 활용하는 장점이기도 하지만, 메시지 신뢰성에 한계로 작용하기도 한다. 수용자 개인이 정보생산 능력을 보유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책임 인식이 뒤따르지 않는 경우 다양한 사회적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 역시 그만큼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블로그 등 개인 웹미디어가 가진 소통의 양면성이다. 개인 웹미디어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자기표현적(self-representative), 관계지향적(network-oriented), 참여지향적(participatory)이기 때문에 블로그 공간 내 커뮤니케이션은 사적, 공적 속성을 동시에 보인다. 사적 공간에서 특정되지 않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글을 게시하는 공표행위(publishing)는 개인 웹미디어 공간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혼재된 상태로 만든다. 이 때문에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혼재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은 이상적, 규범적 상황과 달리 참여자들이 감정적, 비이성적 속성을 보이며, 이는 개인 웹미디어 공간에 대한 비판의 원인이 된다. 블로그 공간의 소통에서 준수되어야 할 윤리사항으로 타인에 대한 존중, 위해 요소의 최소화 등이 지적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메시지들이 고르게 배포되고 수용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이다. 개인 홈페이지와 달리 블로그를 포함한 개인 웹미디어들은 생산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특정 다수 또는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에게 발신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블로그 메타 사이트들이 이러한 기능을 하는데, 블로그 메시지 생산체계를 기술적으로 특정 블로그 포털과 연계해 이들이 생산하는 메시지들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지속적으로 부여된다. 이용자들에게 주목받는 메시지는 추천의 형태로 해당 사이트에서 주목도 높은 위치에 노출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모두 이용자들의 선택과 자발적 행위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국내의 경우에는 올블로그, 이올린 등이 대표적인 블로그 메타 사이트이며, 미국에서는 테크노크라티(Technorati)가 널리 알려져 있다.

블로그 메타 사이트들의 경우 포털 또는 다른 블로그 서비스 제공 사이트들과 경쟁하기 때문에 블로그 공개 범위가 제한적인 형태로 운영되기도 하는데, 이는 상업화된 블로그 공간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메타 블로그들이 제공하는 광범위한 발행 기능은 네이버, 다음 등의 종합포털에서도 제공하며, 이러한 발행 기능은 매스미디어에 준하는 대중적 주목과 확산 속도를 보여 준다. 이 때문에 네티즌들이 자신의 블로그 트래픽을 늘리기 위해 경쟁적으로 선정적 포스트를 만들어내는 문제점을 낳기도 한다.

넷째, 블로그의 분산형 네트워크가 보여 주는 사회적 연결성이다. 블로그는 다양한 링크장치를 통해 다른 블로거들과 연결되어 대규모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블로그가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 또는 소셜 미디어로 불리며 주목받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다른 블로그와 링크, 트랙백(Trackback) 등의 기능이 제공하는 네트워킹 서비스는 경제적으로는 대규모의 트래픽을 특정 블로그로 유도해 수익을 창출하는 장치로 사용되기도 하며, 사회적으로는 특정 이슈가 블로그 공간에서 의제화되는 동력으로도 작용한다. 블로그의 수평적 네트워크는 블로그에서 생산된 정보가 빠른 속도로 확산될 수 있도록 역할한다. 특히, 원격 댓글 기능을 의미하는 트랙백의 경우 블로그의 트래픽을 늘리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트랙백 기능을 지원하는 블로그의 경우 A 블로그에 가지 않고 B 블로그에서 바로 A 블로그에 댓글을 달 수 있다. 물론 B 블로그에도 해당 댓글이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 기능을 담당한다.

다섯째, 메시지 생산과 소비의 실시간성이다. 메시지 생산과 소비의 실시간성 때문에 블로그 메시지 대부분이 심층성 정보를 담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평가된다. 개인화된 공간과 일지 형식의 메시지는 짧은 단상 중심의 메시지를 생산함으로써 정보 자체의 깊이는 낮은 것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미국의 블로그들을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평균 문장 수가 15개에서 22개 사이로 메시지 자체가 그리 길지 않고 주제 역시 개인적 소재를 다룬 일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단순 일기나 일지식의 내용을 다룬 블로그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블로그 자체가 사적 공간의 성격이 강한 개인 미디어라는 점에서 개인적 관심사나 일상사를 다룬 메시지가 가장 많은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블로그 등의 개인 웹미디어 공간은 메시지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가 수평적이고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통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덜 받는다. 대부분의 블로거들이 매스미디어로부터 독립성을 강조하며, 메타 블로그 사이트에서 블로거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중요 메시지들을 보아도 매스미디어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현실 공간에 영향을 주는 매스미디어의 소통효과가 블로그에도 재연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검증을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블로그 공간에서 사회적 쟁점을 두고 벌어지는 논의구조가 매개와 재매개적 속성을 동시에 보이고 있기 때문에 쟁점의 규모와 수준에 따라 매스미디어와 탄력적인 소통관계를 맺을 것으로 예측된다.

참고문헌

권상희(2005). 블로그 양식: 커뮤니케이터, 구성형태, 내용, 연결성에 따른 장르유형분석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5, 93~134.
권상희·우지수(2005). 블로그 미디어 연구: 블로그 이용 및 만족과 인지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9권 2호, 419~460.
김영주(2005). 블로그, 1인 미디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언론재단.
노기영·이미영(2005). 블로그의 매체경쟁에 관한 연구: 관계지향 블로그와 정보지향 블로그의 적소분석을 통한 경쟁연구.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318~345.
이동훈(2007). 블로그를 통해 본 디지털 미디어의 정치적 진화와 가능성. 《디지털미디어트랜드》 15권 5~20.
이호영,정은회(2008). 블로그를 중심으로 본 디지털 콘텐츠의 사회적 확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슈리포트, 2008-12.
정순원(2006). 청소년의 인격성장권과 사이버공간에서의 청소년 보호.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Johnson, T. J., & Kaye, B. K.(2004). Wag the Blog: How Reliance on Traditional Media and the Internet Influence Credibility Perceptions of Weblogs among Blog User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1, No.3, 622~642.
Kaye, B. K.(2007). Blog Use Motivations: An Exploratory Study, in Tremayne, M.(2007), Blogging, Citizenship and the Future of Media, New York, NY: Routledge; 이동훈 옮김(2008). 『블로그와 시민권 그리고 미디어의 미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Kuhn, M.(2007). Interactivity and Prioritizing the Human: A Code of Bloggong Ethics. Journal of Mass Media Ethics, 22(1), 18~36.
주제어
[네이버 지식백과] 블로그 저널리즘 (온라인 저널리즘, 2013.02.25., 커뮤니케이션북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