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시장의 이성적인 '31사단 이전' 견해
尹시장의 이성적인 '31사단 이전' 견해
  • 정덕구 기자회원
  • 승인 2014.10.20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尹시장의 이성적인 '31사단 이전' 견해
[온 국민이 기자인 한국시민기자협회 정덕구 기자회원] 남도일보에 따르면 尹시장의 이성적인 '31사단 이전' 견해 입니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이 “31사단 이전문제는 국방부와의 협의절차를 제대로 밟아 추진돼야할 사안”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또 군 시설을 (도심발전을 저해하는)혐오시설로 보는 것에 대해서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시장은 23일 북구청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히고 여론몰이를 통해 군 부대 이전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보였다.

윤 시장의 이날 발언은 이전문제에 대한 시의 입장을 명확히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실 31사단 이전문제는 과거, 정치인들이 선거승리나 지역구민 관리를 위해 제기한 측면이 강했다.
이전 당사자인 31사단장은 물론이고 국방부와의 사전협의나 의견 교환 없이 일방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국방부를 당혹케 했다.

윤 시장의 “나라를 위해 애쓰는 군, 부대시설을 혐오시설 보듯이 하는 것은 문제”라는 발언은 광주시민들이 새겨들어야할 부분이다.  윤 시장은 “과거 상무지구에 상무대가 있었을 때는 지역 경제의 반을 차지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광주에 보탬이 됐다”고 밝혔다. 

31사단 역시 광주경제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는 것을 환기시킨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윤 시장은 군 부대의 국가 기여도를 경제적 측면에서만 예로 들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는 군부대를 경제적 가치로만 평가하고 집단민원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는 군의 역할에 대한 윤 시장의 견해와 시민들의 이해를 구하는 윤 시장의 자세에 대해 절대적인 동의를 나타낸다.

육군 제31사단은 지난 1955년 북구 삼각동 일대 44만여 평에 자리를 잡았다.
호남의 향토사단으로 후방지역 방어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수해와 가뭄으로 고통을 받는 지역민들에 대한 지원을 성실히 펼쳐왔다. 그러나 일곡지구 등 대단위 주택지구 개발로 부대가 도심 속에 위치해버리자 부대이전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문제는 정치인들이 국방부나 31사단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선거용이나 경제적인 논리로만 이전문제에 접근했다는 것이다. 지난 지방선거에서도 난데없이 국방부와의 사전협의 없이 31사단 이전문제가 불거진 것은 북구주민들의 표심을 자극하기 위한 성격이 짙다.

그러나 31사단 이전은 국방계획의 수정과 수백억원의 이전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간단한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이전당사자인 국방부와 31사단의 입장이 절대적이다.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고 협의를 거쳐 추진해야 한다는 윤 시장의 언급은 31사단 이전문제가 이제야 순리적으로 접근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