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홍보관리사 자격과정, 실무연수 시작 9월13일 부터
언론홍보관리사 자격과정, 실무연수 시작 9월13일 부터
  • 이성래 기자회원
  • 승인 2014.09.10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홍보’ ‘뉴스가공’ 방법을 터득하여, 일반 ‘기사작성’ ‘동영상 기사작성법’ 등 을 배워 뉴스홍보의 ‘달인’이 되는 교육 실무과정입
언론홍보관리사 교육은 기자들의 특권인 뉴스가공 (뉴스홍보) 기능을 불특정 시민들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실무연수 교육입니다.

교육목적은 뉴스가 SNS와 결합한 패러다임으로 새롭게 탄생해 언론홍보 마케팅의 고급인력 양성을 통하여 홍보를 해야 하는 모든 중소상공인의 영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함입니다.

언론홍보관리사 교육은 글쓰기나 기사가공, 기사편집 SNS를 총망라하여 홍보할 수 있는 기본상식을 체계 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기틀을 잡아주며, 뉴스홍보전문가를 양성 배출하며 실생활에서 자신의 일을 언론으로 홍보 할 수 있도록 지도하겠습니다.

언론홍보를 잘 하려면 인터넷 윤리를 잘 이해하고, 어문규범에 충실하면서 구어체 중심으로 사실대로만 쓰면 됩니다. 읽기 편한 언론홍보란 ‘친구’에게 말을 하듯이 쉽게 쓰면 됩니다.

21세기는 SNS와 ‘글발’이 서로 만나, 공공저널리즘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굳이 6하 원칙을 지키지 못하더라도 알리고자하는 내용에 ‘진실’을 담았다면 “세상에서 가장 좋은 언론홍보입니다”

언론홍보관리 실무연수는 ‘뉴스홍보’ ‘뉴스가공’ 방법을 터득하여, 일반 ‘기사작성’ ‘동영상 기사작성법’ 등 을 배워 뉴스홍보의 ‘달인’이 되는 교육 실무과정이 될 것입니다.
각종 소셜미디어와 NEWS가 연동되어, 2차, 3차 홍보 까지 ‘최신 언론홍보 기법’을 배우는 과정이 ’언론홍보실무교육‘ 입니다. SNS와 언론 환경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의 홍보 방향을 설정하고 영업이익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중한 ’뉴스홍보전문가‘ 교육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SNS를 아는 사람이라면 ‘뉴스’로 먼저 알리자
‘홍보’ 言論을 이용하면 신뢰도 효과 백점

"언론홍보관리사 기능을 배워서 사업이든, 주변 소식이든, NEWS로 검색되는 홍보를 할 수 있다는 말이 사실이냐" 사실이다.

취업 때문에 4년 대학을 다니면서 또 다른 대학을 졸업한 친구들이 많아지고 있다. SNS를 배운 사람이라면 이제는 언론으로 홍보하는 기능을 배워서 활용해야 하는 시대이다. 내 손으로 기사를 가공 생산해서, 언론으로 홍보하는 교육과정이 전국각지에서 유행처럼 입소문이 퍼지고 있다. "언론홍보를 배워서 사업이든 일이든 기사로 검색되는 홍보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홍보의 큰 장점이다.

일반인이나 취업을 앞 둔 예비 직장인들에게는 희소식이다. 대학 4년을 다니고도 마땅히 취업하기가 어려운 사회여건상, 남들이 하지 않는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할 것이다. (사)한국시민기자협회에서 운영하는 ‘한국저널리스트 대안대학에서는 뉴스로 홍보하는 기능을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이 책이 강조하는 것은 ’언론으로 홍보‘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SNS를 배운 사람이나 활용하는 사람이 배우기가 더 쉽고, 언론과 소셜미디어가 만나 새로운 패러다임에 도전이 시작되는 교육이다. 21세기는 가상의 세계가 현실이 되는 사회이기에 소셜미디어가 판치는 세상이라 할 수 있다. 생산자보다도 유통업자가 높은 곳에서 가격을 결정하는 사회구조다. 그만큼 상품을 브랜드화 시키는데 홍보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홍보가 최선인 시대, 홍보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일까? 블로그 마케팅도 그에 버금가는 서민 홍보 수단이지만, 신뢰도가 더 높은 ‘뉴스’로 홍보를 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언론으로 홍보를 어떻게 해” 방법을 몰라 애타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언론홍보’ 전문 강사들이 교육에 나섰다. 박철수, 고성중, 김태훈, 최유경, 허광욱, 이성래, 임용기, 박마리아, 그들은 한국저널리스트대학의 교수진 이다.

한국저널리스트대학 언론홍보관리사 과정을 수료하면 뉴스로 홍보할 수 있는 전문인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