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대형차와 부딪혀 죽었습니다
아들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대형차와 부딪혀 죽었습니다
  • 고성중 기자회원
  • 승인 2014.08.13 1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고가 잦으니 중앙 분리 신호봉 세워야 한다고 했어도 사람 죽은 뒤에 신호봉이 세워졌다.
[사회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내 아들은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대형차와 부딪혀 죽었습니다. 
사고가 잦으니 중앙 분리 신호봉 세워야 한다고 했어도, 사람 죽은 뒤에 신호봉이 세워졌다.


“내 아들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서문에서 대형차와 부딪혀 죽었습니다.” 분통합니다. 회사에서 진즉 중앙분리신호봉만 세워놨어도 아들은 죽지 않았습니다.

“세월호 똑 같습니다. 사전에 안전사고 대비를 했어야 하는데 회사는 매출만 신경쓰니 사람죽어도 무신경 합니다.”

“사고 전에 중앙분리 신호봉이 있었으면 사고는 생기지 않았습니다.” “간부들이 몇 번이나 신호봉을 세우자고 말했으나 사람이 죽은 뒤에 신호봉은 세워졌다고 유족측이 말했다.

사측에서는 사람이 죽었음에도 자전거 탓만 하고 있고, 기아자동차 공장 내에서는 자전거를 타는 것이 규정위반이라고 하소연 하고 있다. 사람 죽기 전에 신호봉은 세워 졌어야 맞는 것이다.

32세 나이로 고인이 된 노동자 부모는 유골함을 들고 장송곡을 틀어놓고 항의 하고 있다.

노동자가 죽고 나서 서문 앞에는 도로를 분리하는 신호봉이 세워졌다. 기아차 관계자는 몇 번이나 사고가 잦으니 신호봉을 세워야 한다고 건의 했다고 한다.

대기업도 임원들이 노동자를 기만하여 사람이 죽은 다음에 시정을 하고, 유병언도 치과기록이 서로 맞지 않다는 소문이 무성하고, 공무원도 시민을 기만하면서 사는 나라가 한국사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