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역사교과서가 친일 독재 미화한다는 주장은 얼토당토 않는 호도에 불과”

최근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오늘(8일) “사실에 기반을 두지 않은 일반적 주장에 호도돼 우리 역사교육의 정상화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역사교과서가 단지 정부의 입맛에 따라 좌우되고 왜곡될 것이라는 우려는 우리 국민의 역량과 민족의식을 폄하하는 주장”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일각에서는 역사교과서의 변경은 다양성을 파괴하고 시대 뒤떨어진 획일화된 역사관을 주입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우리의 역사교육이 처한 현실을 들여다보면 그들이 주장하는 다양성과 창의성은 오히려 현행 검정체제에서 더욱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예로 현행의 8종의 역사교과서 중 6종은 1948년 대한민국은 정부수립이라고 표현돼있고, 북한은 국가수립이라고 표현하고 있다”며, “우리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격하시키고 오히려 북한을 옹호하는 편향적인 역사소설이 만연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어떤 교과서를 선택해도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과 긍정적 역사를 배울 수 없는 구조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것을 막고자하는 것이 국론통일을 위한 ‘국민통합 역사교과서’를 만들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새로 쓰일 ‘국민통합 역사교과서’가 친일 독재를 미화한다는 주장은 얼토당토 않는 호도에 불과하다”며, “통합 역사교과서는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엄선된 집필들에 의해 쓰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정 이념이나 집단에 편향되지 않고 다양한 배경을 지닌 각계각층의 전문가가 참여함으로써 우리의 역사교육은 검증된 자료에 의거해 객관적 사실이 균형 있게 소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시민기자협회 뉴스포털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